04.한반도평화 [웹북] <전공학습>/2.평화지정학 (한미관계.미군) 4

[웹북] 주한미군 (1957년 7월 1일 ~ 현재)

주한 미군 United States Forces Korea 駐韓 美軍주한 미군의 마크주한 미군활동 기간 1957년 7월 1일 ~ 현재국가 미국소속 미국 국방부병과 육군종류 예하 통합전투사령부(전구 사령부)역할 전시 한반도 방어 및 대한민국 국군 유지 지원규모 23,000~28,500명(1개 여단 순환배치)[1][2]명령 체계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한미연합군사령부본부 대한민국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지휘관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부사령관 데이비드 아이버슨참모장 존 웨이드너주임원사잭 러브표장고유 부대 휘장 주한 미군주한 미군(駐韓 美軍, 영어: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은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군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지위협정에 의해 대한민국 내에서 합법적 지위..

[웹북] 한반도 평화협정 (2018)

한반도 평화협정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합의서에 서명하는 모습한반도 평화협정지역 한반도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저자 문재인·청와대서명인 미국의 기 미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목적 한반도의 비핵화를 달성하여,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 체제와 한반도의 공동 번영을 달성한반도 평화협정(韓半島 平和協定, 영어: Peace Treaty on Korean Peninsula, PTKP)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유엔의 중재하에 1953년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의 후속 조치로서 한반도에서 공식적으로 전쟁을 종료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제네바 합의 표지 - IAEA제네바 합의 ..

[웹북] 주한 미군 지위 협정 (1967)

주한 미군 지위 협정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아메리카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大韓民國과 아메리카 合衆國間의 相互防衛條約 第4條에 依한 施設과 區域 및 大韓民國에서의 아메리카 合眾國 軍隊의 地位에 關한 協定; Agreement under Article 4 of the Mutual Defenc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garding Facilities and Areas and the Status of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the Republic of Korea) 또는 약칭으로 한미 SOFA(Stat..

[웹북] 한미상호방위조약 (1953)

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1953년 8월 8일 서울 경무대에서 외무부장관 변영태와 미국의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가 본 조약에 가조인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뒤에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이 참관하였다.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서명일 1953년 10월 1일서명장소 워싱턴 D.C.서명자 대한민국 외무부장관 변영태미국 국무부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발효일 1954년 11월 18일조약번호 제34호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약칭: 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되고 1954년 11월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