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6

[웹북] 알프레드 노벨 (1833~1896)

노벨(1883년)알프레드 노벨출생 1833년 10월 21일(월요일) / 스웨덴 스톡홀름사망 1896년 12월 10일(목요일) / 이탈리아 왕국 산레모 / 스웨덴주요 업적 다이너마이트 발명 분야 화학, 공학, 방위산업, 발명 노벨상알프레드 베른하르드 노벨(스웨덴어: Alfred Bernhard Nobel 이 소리의 정보듣기 (도움말·정보), 1833년 10월 21일(월요일)~1896년 12월 10일(목요일))은 스웨덴의 남성 과학자, 산업가다. 개요그는 고체 폭탄인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다. 노벨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산으로 노벨상이 제정되었다.생애 동안 355개의 특허를 보유하는 등 과학에 여러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노벨 가문의 일원이었던 그는 어릴 때부터 과학과 학문, 특히 화학과 언어에 뛰어난 재능을..

[웹북] 노벨 평화상 (첫시상: 1901)

노벨 평화상 수상 대상 평화에 관한 큰 공헌을 한 사람장소오슬로나라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진행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주최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첫 시상 1901년웹사이트 Nobelprize.org 노벨 평화상노벨 평화상( - 平和賞, 스웨덴어: Nobels fredspris, 노르웨이어: Nobels fredspris, 영어: Nobel Peace Prize)은 스웨덴 출신의 기업가이자 발명가인 노벨의 유언으로 만들어진 5가지 부문 중의 하나인 노벨상이다. (나머지 부문에는 화학, 물리학, 생리학·의학, 문학이 있다. 경제학상은 1968년 스웨덴 국립은행에 의해 신설되었다.) 1901년부터 매년(몇몇 예외 존재) 국가간의 우호, 군비의 감축, 평화교섭 등에 큰 공헌이 있는 인물이..

[웹북] 이데올로기 (이념)

이념이념(理念, 문화어: 사상체계) 또는 이데올로기(독일어: Ideologie, 영어: ideology)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인간 ·자연 ·사회에 대해 규정짓는 현실적이면서 동시에 이념적인 의식의 형태를 가리킨다. 이념의 현대적 의미는 나폴레옹이 자신의 반대자들을 이데롤로그(idéologues), 즉 "관념학파"로 부르면서 탄생하였다. 카를 만하임은 이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를 채택하여 그의 작품에 사용하였다. 어원 및 역사이데올로기라는 용어와 그와 관련된 사상 체계는 1796년 공포 통치 기간 동안 수감 중이던 안톤 데스튀트 드 트레시(Antoine Destutt de Tracy)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수감 중 그는 로크와 콘딜락의 작품을 읽었다.도덕과 정치 과학의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 트레이시는 '관념..

[웹북] 홀로코스트 (유대인 대학살 (1939-1942)

1944년 5월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도착한 유대인들. 대부분은 가스실로 가기 위해 선택되었다.홀로코스트(The Holocaust) 또는 쇼아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던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아돌프 히틀러가 이끈 나치당이 나치 독일과 독일군 점령지 전반에 걸쳐 계획적으로 유대인과 슬라브족, 집시, 동성애자, 장애인, 정치범 등 약 1,100만 명의 민간인과 전쟁포로를 학살한 사건이다.사망자 중 유대인은 약 600만 명으로, 그 당시 유럽에 거주하던 900만 명의 유대인 중 약 2/3에 해당한다.유대인 중에서 어린이 약 100만 명, 여자 약 200만 명, 남자 약 300만 명이 죽은 것으로 파악된다.유대인과 기타 피해자들은 독일 전역과 독일 점령지의 약 40,000여개의 ..

[웹북] 원산항 봉쇄 작전

원산항 봉쇄 작전원산항 봉쇄 작전은 유엔 해군이 1951년 2월 16일부터 정전 때까지 원산항 항만을 봉쇄한 작전으로 소련에서 북한으로 이어지는 해상 보급로를 완전히 차단했다. 북한군의 최대의 보급로인 동해안 루트가 차단되었으며 원산항을 탈환하기 위해 수많은 병력을 투입해야만 했기 때문에 전선의 UN군의 부담을 크게 덜어 주었다. 배경중국군의 인해전술로 UN군은 1951년 1.4후퇴를 한다. 하지만 UN군은 후퇴를 하면서도 다시 북한지역으로 진격해야 한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 특히 해군은 지상군의 후퇴와 상관없이 바다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상군의 재반격과 북진을 대비하여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전략적 요충지는 진남포 입구의 초도, 장산곶을 감시할 수 있는 백령도 등 원산만 ..

[웹북] 장진호 전투 (1950년 11월 26일 ~ 12월 13일)

장진호 전투 (한국 전쟁의 일부)장진호 전투 중 중국인민지원군 저지선을 뚫고 이동하는 미 제1해병사단 해병대. 장진호 전투 날짜 1950년 11월 26일 ~ 12월 13일장소 함경남도 장진호 및 장진군 일대결과 중국인민지원군 승리미군의 함경도 철수 및 중공군의 장진호 점령중국인민지원군의 미 해병대1사단 포위섬멸 목적은 달성 실패 교전국유엔미국대한민국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지휘관미국 더글러스 맥아더미국 에드워드 알몬드미국 올리버 P. 스미스미국 조지 스트레트메이어대한민국 이종찬대한민국 송요찬영국 더글라스 드라이스데일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중화인민공화국 펑더화이중화인민공화국 쑹스룬 군대전투 서열 참조 전투 서열 참조 병력명목상 103,520명실제 30,000명 이하명목상 150,000명실제 120,000명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