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15

[웹북] 김좌진 (1889~1930 (40세)

김좌진조선한민족총연합회 회장 겸 총재김좌진임기 1929년 2월 15일 ~ 1929년 11월 1일주석 이동녕 대한 임정 수반총리 김구 대한 임정 총리장관 김구 대한 임정 내무총장차관 이유필 대한 임정 내무차장 이름별명 자(字)는 명여(明汝)호(號)는 백야(白冶) 신상정보출생일 1889년 11월 24일출생지 조선 충청도 홍주목사망일 1930년 1월 24일(40세)사망지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베이젠다오 하이린시국적 대한제국경력 군인 / 독립운동가 / 시인 / 저술가 / 문장가정당 무소속부모김형규(부), 한산 이씨 부인(모)형제자매 김경진(형), 김옥출(누나), 김동진(남동생) 배우자 초배 부인 오숙근계배 부인 나혜국측실 김계월(일명 박계숙)측실 이씨자녀 2남 2녀 (서장남 김두한, 서장녀 김석출 / 적차남 김..

[웹북]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6~7일)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날짜 1920년 6월 6일~6월 7일장소 한국 함경북도 종성군중국 지린성 도문시 안산, 고려령중국 지린성 도문시 봉오동중국 지린성 도문시 삼둔자결과 대한독립군과 신민단 독립군 연합군의 승리 교전국대한제국 대한독립군대한제국 국민회군대한제국 군무도독부대한제국 신민단 일본 제국 지휘관대한군북로독군부대한제국 홍범도대한제국 최진동대한제국 강상모대한제국 안무 신민단대한제국 이흥수대한제국 한경세 일본 야스카와 사부로 일본 니히미 지로군대신민단 예하 독립군 대한독립군 제19사단 남양수비대병력약 1,280~1,300명 약 1,220명~1,230명 (대한북로독군부)약 670명(군무도독부계)약 550명(대한독립군과 간도국민회계+)약 60명 (신민단 독립군)약 490~500여 명 약 240~250명 ..

[웹북] 청산리 전투 (1920년 10월 21~26일)

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청산리 전투날짜 1920년 10월 21일 ~ 10월 26일장소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관내결과 한-일 양측이 모두 자신의 승리를 주장. 독립군 일부가 러시아령 만주 근처 밎 다른곳으로 피신. 교전국 한국 독립군북로군정서군 / 대한독립군/군무도독부/국민회군/신민단/의군부/대한광복단/한민회/의민단 일본 제국 육군일본군 동지대 37여단/한국주재 육군 19사단/육군 20사단 파견병/포조군 제14사단/포조군 제11사단/포조군 제19사단/북만주 파견대/관동군 파견대대 지휘관북로군정서군최고사령관 서일 /사령관 김좌진 / 대대장 김규식 / 참모장 나중소 / 연성대장 이범석대한독립군홍범도군무도독부군최진동국민회군안무의민단허근, 강창대, 방위룡, 김연군신민단김준근, 박승길, 양정하일본군 ..

[웹북] 삼둔자 전투 (1920년 6월 4~6일)

삼둔자 전투날짜 1920년 6월 4일 - 1920년 6월 6일장소 동간도 화룡현 월신강결과 대한북로독군부의 승리 교전국대한제국 대한북로독군부대한제국 신민단 일본 제국 지휘관대한제국 홍범도대한제국 최진동대한제국 안무대한제국 이흥수 일본 제국 아라요시 지로 삼둔자 전투삼둔자 전투(三屯子戰鬪)는 1920년 6월 4일 새벽 5시부터 6월 6일 자정까지 대한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만주 동간도 화룡현(和龍縣) 월신강변 삼둔자(三屯子)에서 니히미 지로 중위가 이끄는 (일본군 남양수비대(南陽守備隊) 예하 1개 중대를 격파한 소규모 전투였다. 한국인 독립군이 국내 진공을 목적으로 일본군을 선제 공격한 사건이기도 하다. 봉오동 전투로 이어..

[웹북] 군무도독부 (1919~1920) - 만주 최진동

군무도독부(軍務都督府)는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한국인 독립 운동 단체이다. 연원 및 변천도독부(都督府)·독군부(督軍府)라고도 한다. 1919년 만주 왕청현 봉오동(汪淸縣鳳梧洞)에서 최진동(崔振東)이 편성하였다. 편성 당시에는 6백여명의 병력으로 참모장에 박영(朴英), 대대장에 이춘승(李春承), 중대장에 이동춘(李東春), 소대장에 최문인(崔文仁)으로 조직되었다. 이 단체는 홍범도(洪範圖)의 대한독립군과 연합하여 활발한 국내 진입작전을 전개하였다. 1920년 5월 28일 최진동의 군무도독부, 안무(安武)의 국민회군,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이 연합하여 대한북로독군부를 구성함으로써 총병력이 1천명을 상회하였다. 1920년 6월 7일 중국 지린성 왕칭현 봉오동에서 일어난 봉오동 전투는 홍범도 장군이 이끈 대..

[웹북] 간도국민회 (1919~1920) - 북간도 구춘선

간도국민회(間島國民會)는 1919년 북간도에서 조직된 자치 기관이었다. 3·1 운동 이후 한국에서 많은 사람이 간도에 이주하자, 연길(延吉)·화룡(和龍)·왕청(王淸) 등 세 개 현(縣)의 대표는 자치 기관의 필요성을 느끼고 구춘선(具春先)을 회장, 강구만(姜九萬)을 부회장, 고동환(高東煥)을 비서 겸 재무로 임명하고 간도국민회를 조직하였다. 국민회는 세 현을 다섯 구회(區會)로 나누고, 그 밑에 52개의 지회(支會)를 두어 기구를 정비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종하면서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훈춘(暉春)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회원 21,000명을 포섭, 지회를 80개소로 확대시키는 한편, 임원을 개선하여 회장에 구춘선과 이명순(李明淳)이 함께 피선되었고, 부회장에 박관일(朴觀一), ..

[웹북] 대한독립군 (1919~1921) 사령관 홍범도

대한 독립군 大韓 獨立軍한국의 독립운동, 삼둔자 전투,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 참전대한독립군의 사령관 홍범도대한독립군의 사령관 홍범도활동기간 1919년 ~ 1921년 6월이념 한국 민족주의지도자 사령관 홍범도부사령관 주건 참모장 박경철 대한독립군활동지역 만주병력 약 600 - 1400명상위단체 대한국민회동맹단체 대한국민회 / 대한군무도독부 / 국민회군 / 대한신민단 적대국가 일본 제국 참여한 전투 한국의 독립운동삼둔자 전투 / 봉오동 전투 / 청산리 전투 대한독립군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Korean Independence Army)은 1919년 홍범도(洪範圖)가 의병 출신을 중심으로 창설한 항일 독립군 부대로 간도국민회와 연합하여 활발한 국내진공작전을 펼쳤으며,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의 승리에 크게..

[웹북] 건국훈장

건국훈장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건국훈장(建國勳章, 영어: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다. 과거에는 중장(重章), 복장(複章), 단장(單章)의 3등급으로 나누어 수여하였다가 1990년에 상훈법>이 개정되면서 기존의 3등급에 해당되는 국민장의 명칭이 독립장으로 변경되었고, 4등급의 애국장과 5등급의 애족장이 추가되어 현재,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으로 5등급으로 세분화 되었다. 건국훈장 아래의 훈격으로 건국포장과 대통령표창이 있다. 역사건국훈장은 1949년 4월 27일에 대통령령..

[웹북]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독립유공자(獨立有功者)는 '독립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에 따른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말한다. 이러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계승, 선양하고 민족정기와 민족단결을 고취하며 조국의 평화통일과 민족중흥의 역사적 대업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2년 1월 29일, 한국독립유공자협회(韓國獨立有功者協會)가 설립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국가보훈처가 서훈한 독립유공자는 15,511명이다. 대한민국의 대중적 정서에서는 독립유공자와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구별하지 않는 성향이 강하다. 반대로 친일파와 친일파의 후손을 구별하지 않는 성향도 강하다. 이는 조상과 자손을 일체로 보는 동양적 사고방식이다. 조상이 공을 세우면 후손도 공이 있는 사람으로 대우를 받고, 조상이 죄를 지으면 후손도 죄인에 ..

[웹북] 신흥무관학교 (1911~1920)

신흥무관학교 新興武官學校신흥무관학교개교 1911년폐교 1920년 7월국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서간도위치 간도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는 개신교인 감리교회와 장로교회의 지원을 받은 신민회가 1911년 서간도(길림성 통화시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으로,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이다. 신흥무관학교의 졸업생들은 서로군정서 의용대, 조선혁명군, 대한독립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등에 참여해 무장 독립운동의 한 축을 차지하며 민족 해방에 크게 기여했다. 배경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조선에서는 일본 제국의 침략 야욕에 맞서 항일 의병 전쟁과 같은 저항이 있었다. 특히 을사늑약 체결 전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에 의병 활동이 활발하였다.그러나 일제는 민간인을 ..

[웹북] 서로군정서 (1919)

서로군정서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는 서간도 혹은 남만주에 있던 한국의 독립혁명단체이다.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이 주로 참여하였다. 서로군정서는 1919년 한족회(漢族會)와 함께 조직된 군 정부가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배 아래 있을 때부터 불렸던 이름이다. 조직독판(督辦) 이상룡, 부독판 여준, 정무청장 이탁, 국정청장 양규열, 참모장 김동삼, 교관 지청천·신팔균 등이 활동하였으며, 군사훈련과 동지 양성에 노력하다가 1922년 통군부에 이어 통의부에 통합하였다. 사이토 마코토 조선 총독의 암살을 기도했던 남자현 또한 서로군정서에서 활동했다.

[웹북] 북로군정서 (1919)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는 1919년 동간도에서 만든 무장독립운동 단체이다. 대종교 계통에서 비롯되었다. 1919년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서일(徐一), 김좌진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개요1919년 결성된 대한정의단과 그 산하의 대한군정회가 통합하여 만든 대한군정부가 그 시초로 그 해 12월 상하이 임시정부의 지시로 대한군정서로 개명하였다. 이를 서로군정서군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북로군정서군으로 칭한다. 창립 당시 주요 인물은 서일, 현천묵 등으로 김좌진을 총사령관으로 초빙하여 독립군의 조직과 훈련을 담당하게 하였다. 조직총재에 서일, 총사령관에 김좌진, 참모장에 이장녕, 사단장에 김규식, 여단장에 최해, 연대장 정훈, 연성대장 이범석, 길림분서고문 윤복영, 군기감독 양현 등으로 편성하였다. 독립군 편제..

[웹북] 의병

1907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무장한 의병의병의병(義兵)은 주로 한국사에서 정의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민병을 뜻하는 말이다. 창의군(昌義軍)으로 불리기도 하였다.한국의 역사에는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같은 외적의 침략에 맞서 자발적으로 구성된 민간 무장 조직을 의병이라 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의 의병 역시 이러한 흐름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들은 변변한 무기도 갖추지 못하였으나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싸웠다. 조선시대 이전조선시대 이전에도 외적의 침략에 맞서 자발적으로 의병이 일어났다. 다만, 대체적으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의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조선 이전에는 개인의 지배하는 사병이 존재하였고 때로는 사병이 나라의 명을 받아 활동하기도 하는 등 관군과 비관군의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고려시..

[웹북] 한국의 독립운동

한국의 독립운동은 한국이 일제를 주축으로 한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 및 지배로부터 대항한 일련의 운동이다. 이러한 독립운동은 19세기 중엽부터 시작해 1945년 8월 15일에 일제가 항복을 선언할 때까지 진행되었다. 독립 운동의 전개일제의 한국의 강제 병합 이후, 한반도에서 전개된 헌병 경찰을 통한 무단통치 시기에는 공개적으로 독립운동을 하기가 어려웠다.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는 비밀결사형태의 항일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이들은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하였다. 특히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결성된 신민회는 애국계몽세력 등이 주축이 되어 서간도의 삼원보에 있는 한국의 독립운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신흥무관학교의 설립에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105인 사건 등의 일제의 조작 사건에 의해 1911년에 해산..

[웹북]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1945년 11월 3일 임시정부 환국 기념 촬영독립운동가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 영어: independence activist)란 어떤 국가의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독립하기 위한 사회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말한다.1940년 9월 17일 충칭에서 한국광복군과 국민혁명군 장병들의 단체사진한국의 독립운동가한국에서는 개항 이후 한국을 점령하여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통치한 일본 제국에 대항하여 한민족의 독립을 쟁취하려는 일체의 민족주의적 운동에 참여한 인물들을 뜻한다. 이들은 근대 한국사에 있어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 민족주의는 1876년 강화도조약 전후로 일제침략이 시작된 이후, 외교적으로 국권을 상실하게 되는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 전후까지 일제의 단계적 침략에 대한 각종 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