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책은 영령(英領) 인도라고 알려진 시대의 역사를 조망한다. 본문은 대부분 인도의 민족주의와 식민주의에 관한 저자의 연구와 이 분야에서 출판된 많은 학문적 성과를 기반으로 쓰여졌다. 이 책은 과거의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사관을 극복하고 수정했으며, 역사와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기타 관련 학문들의 상호관련성을 강조하는 역사-정치적 내러티브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이 책은 왜 특정 사건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보다 광범위한 사회 세력들, 운동들, 제도와 개인들을 연구하고자 했으며, 그 발전의 결과를 연대기적 구성 안에서 분석했다. 이 책은 왜 인도가 영국 동인도회사와 이후 대영제국의 희생물이 되었는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18세기 인도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인 조건들을 서술한다. 그리고 영국의 지배가 인도의 정치, 행정 그리고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자세히 알아본다.
목차
제1장_무갈 제국의 쇠퇴
1) 18세기 무갈의 상황
2) 무갈 제국 쇠퇴의 원인
제2장_18세기의 국가와 사회
1) 무갈의 뒤를 이은 나라들
하이데라바드와 까르나틱 / 벵갈 / 아와드
2) 새로 부상하는 독립세력들
마이소르 / 께랄라 / 라즈뿌뜨 국가들 / 자뜨 / 방가쉬 빠탄과 로힐라 / 시크교도 / 란지뜨 싱 치하의 뻔잡 / 마라타 세력의 번영과 몰락
3) 생활과 문화
사회경제적 상황 / 교육 / 사회생활과 문화생활
제3장_유럽의 진출과 영국의 인도 정복
1) 유럽 동방무역의 새로운 국면
2) 동인도회사의 교역과 영향력의 증대, 1600~1714
남인도에서의 영국과 프랑스의 투쟁
3) 영국의 벵갈 점령
벵갈의 이중 행정제도
4) 영국 동인도회사의 영토 확장
워런 헤이스팅스와 콘월리스 치하에서의 전쟁 / 웰즐리 시대의 확장 / 헤이스팅스 치하의 확장
5) 영국의 인도 정복 완성(1818~57)
신드 정복 / 뻔잡 정복 / 달하우지와 합병정책(1848~56)
제4장_인도 대영제국의 정부 구조와 경제정책, 1757-1857
1) 정부의 구조
2) 영국의 인도에서의 경제 정책(1757~1857)
상업 정책 / 부의 유출 /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전
3) 지세 정책
영구지대제 / 라이요뜨와리 제도 / 마할와리 제도
제5장_행정 조직과 사회?문화 정책
1) 통치 제도
행정관 / 경찰
2) 사법 조직
법치 / 법 앞에서의 평등
3) 사회 문화 정책
정책기조 / 인도주의적 조치 / 근대 교육의 확산
제6장_19세기 전반의 사회적, 문화적 자각
1) 람모한 로이
2) 디로지오와 청년 벵갈
3) 데벤드라나트 타고르와 이슈와르 짠드라 비드야사가르
4) 서부 인도 지역의 개혁 선구자들
제7장_1857년 항쟁
1) 원인
반란의 배경 / 직접적인 원인
2) 반란의 시작과 경과
3) 반란의 허약함과 진압
제8장_1858년 이후 행정의 변화
1) 행정
주(州) 행정 / 지방 기구
2) 군대의 변화
3) 공직
4) 지방 군주국과의 관계
5) 통치 정책
분할 통치 / 교육받은 인도인들에 대한 적대 / 자민다르에 대한 태도 / 사회개혁에 대한 태도 / 극도로 낙후된 사회공공사업 / 노동 입법 / 언론에 대한 제약
6) 인종적 적대감
7) 대외정책
1814년 네팔과의 전쟁 / 버마 정복 /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
제9장_영국지배가 가져온 경제적 충격
1) 전통경제의 붕괴
장인과 수공업자의 몰락 / 농민층의 빈곤화
2) 구 자민다르의 몰락과 새로운 지주제의 출현
3) 농업의 침체와 부진
4) 근대 산업의 발달
5) 빈곤과 기근
제10장_민족주의 운동: 1858~1905
1) 외국 지배의 결과
행정과 경제적 통일 / 서구 사상과 교육 / 출판과 인쇄물의 역할 / 과거의 재발견 / 지배자들의 인종적 오만
2) 인도국민회의의 선임자들
3) 인도국민회의 초기 민족주의자들의 강령과 활동
제국주의에 대한 경제적 비판
4) 초기 민족주의의 활동
헌법 개혁 / 행정과 기타 개혁 / 시민권의 보호 / 정치 활동을 위한 방법
5) 민족주의에 대한 반응
대중의 역할 / 정부의 태도
6) 초기 민족주의 운동의 평가
제11장_1858년 이후의 종교와 사회 개혁
1) 종교개혁
브라흐모 사마즈 / 마하라슈뜨라 지역의 종교개혁 / 라마끄리슈나와 비베까난다 / 스와미 다야난드와 아리아 사마즈 / 신지학회 / 사이드 아흐마드 칸과 알리가르 학파 / 무함마드 이크발 / 파르시의 종교개혁 / 시크의 종교개혁
2) 사회개혁
여성해방 / 반(反)카스트 투쟁
제12장_민족주의 운동: 1905~18
1) 민족주의 확산의 이유
영국지배의 진정한 성격에 대한 인식 / 자존과 자신감의 증대 / 교육의 확대와 실업 / 국제적인 영향 / 전투적 민족주의 사상 / 훈련된 지도자들
2) 벵갈 분할
분할 반대 운동 / 스와데시와 보이콧 운동 / 학생, 여성, 이슬람교도와 대중들의 역할 / 벵갈분할 반대운동의 전국적 측면 / 투쟁성의 증대 / 급진적 민족주의의 성장
3) 인도국민회의(1905~1914)
4) 커뮤널리즘의 성장
5) 민족주의자들과 제1차 세계대전
자치연맹 / 폭력파 운동 / 국민회의 럭나우 회의(1916)
제13장_독립을 위한 투쟁: 1919~27
1) 식민정부의 개혁 시도
몬타구-첼름스포드 개혁 / 롤라트 법
2) 마하뜨마 간디 지도력을 얻다
간디 선생과 그의 사상 / 짬빠란 사뜨야그라하(1917) / 아메다바드 공장 파업 / 롤라트 사뜨야그라하 / 잘리안왈라 공원 대학살
3) 킬라파트와 비협조운동(1919~22)
4) 스와라즈주의자
제14장_독립을 위한 투쟁: 1927~47
1) 배경
새로운 세력의 부상 / 싸이먼 위원회의 거부 / 완전 독립
2) 시민불복종운동
3) 민족주의 정치, 1935~1939
1935년 인도정부법 / 국민회의 내각
4) 1935~1939년의 정치적 발전
사회주의 사상의 성장 / 농민과 노동자 운동 / 국민회의와 세계 정세 / 지방 군주국에서의 민중 항쟁 / 커뮤널리즘의 성장
5)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의 민족 운동
6) 전후의 투쟁
1) 18세기 무갈의 상황
2) 무갈 제국 쇠퇴의 원인
제2장_18세기의 국가와 사회
1) 무갈의 뒤를 이은 나라들
하이데라바드와 까르나틱 / 벵갈 / 아와드
2) 새로 부상하는 독립세력들
마이소르 / 께랄라 / 라즈뿌뜨 국가들 / 자뜨 / 방가쉬 빠탄과 로힐라 / 시크교도 / 란지뜨 싱 치하의 뻔잡 / 마라타 세력의 번영과 몰락
3) 생활과 문화
사회경제적 상황 / 교육 / 사회생활과 문화생활
제3장_유럽의 진출과 영국의 인도 정복
1) 유럽 동방무역의 새로운 국면
2) 동인도회사의 교역과 영향력의 증대, 1600~1714
남인도에서의 영국과 프랑스의 투쟁
3) 영국의 벵갈 점령
벵갈의 이중 행정제도
4) 영국 동인도회사의 영토 확장
워런 헤이스팅스와 콘월리스 치하에서의 전쟁 / 웰즐리 시대의 확장 / 헤이스팅스 치하의 확장
5) 영국의 인도 정복 완성(1818~57)
신드 정복 / 뻔잡 정복 / 달하우지와 합병정책(1848~56)
제4장_인도 대영제국의 정부 구조와 경제정책, 1757-1857
1) 정부의 구조
2) 영국의 인도에서의 경제 정책(1757~1857)
상업 정책 / 부의 유출 /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전
3) 지세 정책
영구지대제 / 라이요뜨와리 제도 / 마할와리 제도
제5장_행정 조직과 사회?문화 정책
1) 통치 제도
행정관 / 경찰
2) 사법 조직
법치 / 법 앞에서의 평등
3) 사회 문화 정책
정책기조 / 인도주의적 조치 / 근대 교육의 확산
제6장_19세기 전반의 사회적, 문화적 자각
1) 람모한 로이
2) 디로지오와 청년 벵갈
3) 데벤드라나트 타고르와 이슈와르 짠드라 비드야사가르
4) 서부 인도 지역의 개혁 선구자들
제7장_1857년 항쟁
1) 원인
반란의 배경 / 직접적인 원인
2) 반란의 시작과 경과
3) 반란의 허약함과 진압
제8장_1858년 이후 행정의 변화
1) 행정
주(州) 행정 / 지방 기구
2) 군대의 변화
3) 공직
4) 지방 군주국과의 관계
5) 통치 정책
분할 통치 / 교육받은 인도인들에 대한 적대 / 자민다르에 대한 태도 / 사회개혁에 대한 태도 / 극도로 낙후된 사회공공사업 / 노동 입법 / 언론에 대한 제약
6) 인종적 적대감
7) 대외정책
1814년 네팔과의 전쟁 / 버마 정복 /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
제9장_영국지배가 가져온 경제적 충격
1) 전통경제의 붕괴
장인과 수공업자의 몰락 / 농민층의 빈곤화
2) 구 자민다르의 몰락과 새로운 지주제의 출현
3) 농업의 침체와 부진
4) 근대 산업의 발달
5) 빈곤과 기근
제10장_민족주의 운동: 1858~1905
1) 외국 지배의 결과
행정과 경제적 통일 / 서구 사상과 교육 / 출판과 인쇄물의 역할 / 과거의 재발견 / 지배자들의 인종적 오만
2) 인도국민회의의 선임자들
3) 인도국민회의 초기 민족주의자들의 강령과 활동
제국주의에 대한 경제적 비판
4) 초기 민족주의의 활동
헌법 개혁 / 행정과 기타 개혁 / 시민권의 보호 / 정치 활동을 위한 방법
5) 민족주의에 대한 반응
대중의 역할 / 정부의 태도
6) 초기 민족주의 운동의 평가
제11장_1858년 이후의 종교와 사회 개혁
1) 종교개혁
브라흐모 사마즈 / 마하라슈뜨라 지역의 종교개혁 / 라마끄리슈나와 비베까난다 / 스와미 다야난드와 아리아 사마즈 / 신지학회 / 사이드 아흐마드 칸과 알리가르 학파 / 무함마드 이크발 / 파르시의 종교개혁 / 시크의 종교개혁
2) 사회개혁
여성해방 / 반(反)카스트 투쟁
제12장_민족주의 운동: 1905~18
1) 민족주의 확산의 이유
영국지배의 진정한 성격에 대한 인식 / 자존과 자신감의 증대 / 교육의 확대와 실업 / 국제적인 영향 / 전투적 민족주의 사상 / 훈련된 지도자들
2) 벵갈 분할
분할 반대 운동 / 스와데시와 보이콧 운동 / 학생, 여성, 이슬람교도와 대중들의 역할 / 벵갈분할 반대운동의 전국적 측면 / 투쟁성의 증대 / 급진적 민족주의의 성장
3) 인도국민회의(1905~1914)
4) 커뮤널리즘의 성장
5) 민족주의자들과 제1차 세계대전
자치연맹 / 폭력파 운동 / 국민회의 럭나우 회의(1916)
제13장_독립을 위한 투쟁: 1919~27
1) 식민정부의 개혁 시도
몬타구-첼름스포드 개혁 / 롤라트 법
2) 마하뜨마 간디 지도력을 얻다
간디 선생과 그의 사상 / 짬빠란 사뜨야그라하(1917) / 아메다바드 공장 파업 / 롤라트 사뜨야그라하 / 잘리안왈라 공원 대학살
3) 킬라파트와 비협조운동(1919~22)
4) 스와라즈주의자
제14장_독립을 위한 투쟁: 1927~47
1) 배경
새로운 세력의 부상 / 싸이먼 위원회의 거부 / 완전 독립
2) 시민불복종운동
3) 민족주의 정치, 1935~1939
1935년 인도정부법 / 국민회의 내각
4) 1935~1939년의 정치적 발전
사회주의 사상의 성장 / 농민과 노동자 운동 / 국민회의와 세계 정세 / 지방 군주국에서의 민중 항쟁 / 커뮤널리즘의 성장
5)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의 민족 운동
6) 전후의 투쟁
책 속으로
이 책은 비빤 짠드라 선생님이 말년에 남기신 『인도 근대사』History of Modern India의 완역에 역자가 주를 붙여 어휘나 인물에 대한 설명을 추가한 것이다. 비빤 짠드라 선생님은 한평생 인도의 근·현대사, 특히 민족운동사와 관련한 연구에 매진하여 수많은 저서를 남기셨으나, 한 시대를 아우르는 통사(通史)를 저술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이 책은 그의 평생을 바친 연구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결실이라 할 것이다.
비빤 짠드라 선생님의 저서를 소개하고자 한 것은 이 책이 진보를 통한 민족국가의 형성을 중심에 두고 인도 근·현대사를 통찰하는 저자의 시각을 통하여 인도사 서술의 한 전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책의 미덕은 온갖 의견을 섭렵하고 종합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저자 자신의 의견을 단호하게 피력하고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하여 스스로 평가를 내리는 데 있는 것이다. 역사의 진보와 민족은 저자가 역사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진보를 중시한 역사관은 그가 철저히 근대적인 의식을 가진 역사학자였음을 보여준다. 그에게 있어 인도의 역사는 꾸준한 진보의 선상에 있었고, 그 귀결은 인도 민족의 형성, 또는 식민통치를 극복한 인도 국가의 성립이었다. 그는 인도 민족주의 역사학의 태두(泰斗)로 여겨진다.
비빤 짠드라 선생님의 저서를 소개하고자 한 것은 이 책이 진보를 통한 민족국가의 형성을 중심에 두고 인도 근·현대사를 통찰하는 저자의 시각을 통하여 인도사 서술의 한 전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책의 미덕은 온갖 의견을 섭렵하고 종합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저자 자신의 의견을 단호하게 피력하고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하여 스스로 평가를 내리는 데 있는 것이다. 역사의 진보와 민족은 저자가 역사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진보를 중시한 역사관은 그가 철저히 근대적인 의식을 가진 역사학자였음을 보여준다. 그에게 있어 인도의 역사는 꾸준한 진보의 선상에 있었고, 그 귀결은 인도 민족의 형성, 또는 식민통치를 극복한 인도 국가의 성립이었다. 그는 인도 민족주의 역사학의 태두(泰斗)로 여겨진다.
---「역자 서문」중에서
'27.세계국가의 이해 (독서>책소개) > 12.인도의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 읽는 인도사 (2018) (0) | 2024.09.19 |
---|---|
인도전통의학 아유르베다 (2015) (1) | 2024.09.19 |
인도가 보이는 인도사 (2024) (0) | 2024.09.19 |
한 권으로 읽는 인도신화 (2024) - 신화부터 설화, 영웅 서사시까지 이야기로 읽는 인도 (1) | 2024.09.19 |
알기 쉬운 인도 신화 (2019)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