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215

[웹북] 프랑스 제1제국 (1804~1814)

프랑스 제국 Empire français 1804년~1814년/1815 ↓ 국기 문장표어 자유, 공공질서(프랑스어: Liberté, Ordre Public)국가 출발의 노래 alt=1812년 9월의 프랑스 제1제국 직할 통치령 종속국 점령지 프랑스 정부나 종속국의 통제 하에 있지 않지만 영향력이 미친 국가1812년 9월의 프랑스 제1제국 직할 통치령 종속국 점령지 프랑스 정부나 종속국의 통제 하에 있지 않지만 영향력이 미친 국가수도 파리정치정치체제 단일 보나파르트권위주의적 절대군주제(1804년 ~ 1814년)단일 보나파르트준헌법적 입헌군주제(1815년) 황제1804년~1814년1814~1815년1815년 나폴레옹 1세(공석)나폴레옹 1세 (복위)입법부 프랑스 의회상원 보수당 상원(1814년까지)귀족원(..

[웹북] 프랑스의 역사

프랑스의 역사Histoire de France프랑스 역사의 시작은 대체로 프랑크족의 왕 클로비스 1세(Clovis Ier)가 갈리아 지방의 가장 큰 부분을 정복했던 486년으로 알려져있다. 프랑크 정부 후의 프랑스 정부는 이 시기부터 중단 없이 존재해온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이다. 만약 프랑스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대략 1190년이 돼서야 사용되었다면 필립 2세의 상서국이 왕을 가리키기 위하여 프랑크족의 왕(프랑스어: Roi des Francs)이란 단어 자리에 프랑스의 왕(프랑스어: Roi de France)이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프랑스라는 단어는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라스코(Lascaux) 동굴 벽화.프랑스의 역사선사 시대프랑스에는 서남 프랑스에 마들렌 문화가 발달하였는데 ..

큰 뜻을 품은 자여, 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가 (2025)

책소개다산 정약용은 마흔의 나이에 큰 잘못 없이 종교 문제와 정치적 이유로 유배를 당했습니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왔던 그였기에, 하늘이 자신을 가로막는다고 느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그는 무려 18년 동안 강진의 외딴 유배지에서 살아야 했고, 57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세상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약용은 그 오랜 시간 동안 신세를 한탄하는 대신,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수많은 실학 저서를 집필했습니다. 오직 붓과 먹, 그리고 한지로만 2,400여 권 분량에 달하는 문서를 써 내려갔습니다. 그런 그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오늘날 우리가 꿈을 이루지 못하는 건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어쩌면 그만한 의지와 끈기가 부족했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그의 글을 읽어보면 200년 전..

일단 의심하라, 그 끝에 답이 있다 (2025)

책소개“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 너머, 데카르트 철학의 진짜 얼굴을 만나다. 이 책은 근대 철학의 아버지, 르네 데카르트의 사유 여정을 따라가는 철학 에세이로, 회의(懷疑)를 통해 진리에 다가가는 과정을 오늘날 우리 삶에 비춰 풀어낸다. 일상 속 고민과 결정 앞에서 ‘생각한다는 것’의 의미를 되묻고 싶은 이들에게, 데카르트는 가장 단단한 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목차프롤로그Chapter. 01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나는 어떤 존재인가내가 쓸모없게 느껴지는가당신은 자신을 잘 안다고 확신하는가자신을 증명하고 싶다면질문을 통해 존재를 확장하는 법Chapter. 02 가능한 모든 것을 의심하라당신은 어디까지 의심해 보았는가한 번도 의심하지 않은 삶은, 제대로 살아 보지 않은 삶이다사람은 믿..

나를 아프게 한 말들이 모두 진실은 아니었다 (2025)

책소개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행동이 아니라면 철학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사람은 자기의 본성에 따라 살아야 한다. 그리고 그 본성은 이성적이고, 공동체적이며, 행동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말보다 행동을 중요시한 철학자였다. 로마의 황제라는 절대 권력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그는 하루를 돌아보며 자신이 올바르게 살았는지를 끊임없이 생각했다. “철학은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라는 그의 신념은, 생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삶으로 증명되어야 한다는 태도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을 접하는 현대인들이 그의 태도를 배워, 더 나은 삶을 살길 바란다.목차Chapter 1. 왜 당신은 상처받지 않아도 될 말에 아파하는가01. 나를 아프게 한 건 나의 해석이다02. 우리가 보는 것은 관점이지 진실이 아니다03. 아무 말이..

초역 명상록 (2025) - 마음의 평화를 찾는 가장 쉬운 길

책소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위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의 새로운 초역본* 스토아 철학의 정수를 담아낸 인생의 지침서* 2,000년 전 황제의 질문이 오늘의 나를 다시 일으킨다* 외부에 휘둘리지 않고 나를 지키는 내면 단련법“고전은 모든 사람이 읽었다고 말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다”라는 말이 있다. 특히 철학서는 더욱 그러한데, 난해한 용어와 문장, 그리고 시대적 맥락의 차이가 낯설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시 『명상록』을 펼치는 이유는, 그 안에 담긴 질문들이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초역 명상록』은 로마 제국 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을 위해 남긴 사색의 기록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책이다. ‘초역(抄譯)’이라는..

어떻게 살 만한 세상을 만들 것인가 : 흔들리는 세계의 질서 편 시대의 지성, 노엄 촘스키에게 묻다 (2025)

책소개‘어떻게 살 만한 세상을 만들 것인가’지성의 거장 촘스키가 전하는 마지막 경고· 기후 위기와 생태 파괴· 전쟁과 세계 질서의 균열· 경제적 불평등과 신자유주의의 폐해·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의 위기· 기술 발전과 인간 존엄성의 딜레마“노엄 촘스키는 오늘날 살아 있는 지식인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이며,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최고 지성이다."- 《뉴욕타임스》‘역사는 진보한다’라는 믿음은 여전히 유효할까? 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인류의 삶은 과거보다 풍요로워졌지만, 세계 곳곳에서는 여전히 죄 없는 이들이 굶주리고 총탄에 쓰러진다. 인공지능은 가진 자들의 도구가 되어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정치는 오히려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며 권력을 휘두른다. 문명의 빛 아래 드리운 이 어두운 그림자 속에서, 우리는 다..

[웹북] 여수·순천 사건 (1948)

여순사건날짜 1948년 10월 19일 ~ 1948년 10월 27일장소 전라남도 동부 일대결과 대한민국 국군의 승리, 반란 진압 교전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국방경비대-여수·순천 경찰 남조선로동당-육군 14연대 지휘관이승만 / 송호성 / 원용덕 / 김백일 / 백선엽 / 정일권 / 백인엽 / 송석하 / 김창룡 김지회 † / 지창수 † 병력10,000여 명 / 2,000여 명 피해 규모군인 약 180명경찰 74명 불명 민간인(경찰 제외)대략 3,384명(행방불명 825명 포함) 여수·순천 사건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웹북]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1950)

사건의 현장이였던 경부선 철도교(2008년 11월 촬영). 당시 탄환의 흔적이 남아 있다노근리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老斤里 良民 虐殺 事件, 영어: No Gun Ri Case)은 6.25 전쟁 중 1950년 7월 25일 ~ 7월 29일 사이에, 미군 제1기병사단 제7기병연대 예하 부대가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경부선 철로와 쌍굴다리에서 민간인 피난민 속에 북한군이 잠입했다고 주장하며 폭격과 기관총 발사로 민간인들을 무자비하게 살해한 사건이다. 학살당한 이들은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였다. 노근리 사건을 실제 경험했던 생존피해자와 유족들인 정은용, 정구도, 양해찬, 정구호, 서정구씨 등으로 1994년에 구성된 노근리 사건 대책위원회(위원장 : 정은용)에서는 사망자 135명,부상자 ..

[웹북] 대구 10·1 사건 (1946)

대구 10·1 사건(大邱 10·1 事件)은 1946년 10월 1일에 미군정하의 대구에서 발발, 이후 남한 전역으로 확산된 일련의 사건을 지칭한다. 역사적 관점에 따라 10월 인민항쟁,10·1사건, 영남 소요, 10월 폭동 등으로 불린다.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10월 인민항쟁,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영남 소요, 10월 폭동으로 부르며, 중립적인 입장에서는 10·1사태로 부른다. 조선공산당의 선동 및 주도를 주장하는 시각에서는 10월 폭동으로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10월 폭동, 영남 소요, 10월 항쟁의 용어가 혼용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보다 중립적인 10·1사건이라는 지칭을 사용한다. 2010년 3월 대한민국 진실화해위원회는 《대구 10월사건 관련 진실규명결정서》에서 해당 사건을 "식량난이 심각한 상태에서..

[웹북]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박종철이 고문으로 요절한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날짜 1987년 1월 14일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결과 6월 항쟁, 대한민국의 민주화사망자 박종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박종철 고문치사 사건(朴鍾哲 拷問致死 事件)은 1987년 1월 14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 수사관들이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 박종철을 심문하던 중 물고문으로 요절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에서 집회가 시작되었고, 6월 항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전개 / 고문치사와 사건 은폐사건 당시 박종철 학생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재학생이었다. 1986년 청계피복노조 합법화 요구 시위를 ..

[웹북] 제주 4.3사건 (1947~1954)

제주 4·3 사건제주43평화공원 다랑쉬굴 학살 현장 재현제주 4·3 사건날짜 1947년 3월 1일 ~ 1954년 9월 21일 장소 제주도 전역 결과 대한민국 정부의 소요사태 진압수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됨사건 이후 진상 규명을 위한 여러 노력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2000) 교전국미국 미군정 (-1948)대한민국 대한민국 (1948-)서북청년단 남조선로동당 지휘관미국 윌리엄 F. 딘대한민국 송요찬대한민국 유재흥대한민국 김익렬대한민국 조병옥대한민국 박진경 † 김달삼 † 이덕구 †병력3000여명 남조선로동당원 500여명­피해 규모1,091명 (군인 162명, 경찰 289명, 우익단체 640명 등) ?명 (전멸)확인된 민간인 희생자 14,442명 (진압군에 의한 희생..

탄압이면 항쟁이다 (2025) - 제주도인민유격대 이야기

책소개총구 앞에 가슴을 내민 사람들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4·3의 한가운데서 무장대, 유격대, 폭도, 산사람 등 그 평가만큼이나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제주도인민유격대’의 태동부터 소멸을 살핀 책이다. 제1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태동’에서는 해방 이후 제주도의 정치 상황을 시작으로 하여 제주4·3의 시발점이 된 3·1발포사건과 총파업, 그리고 이어지는 남로당 제주도위원회의 무장봉기 결정 과정을 살핀다. 제2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조직과 운영’에서는 제주도인민유격대의 조직체계와 조직개편 과정, 계보 등을 살피고, 이어서 교육 및 훈련, 규율, 환경과 근거지 등을 통해 그 운영 상황을 기술한다.제3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활동’에서는 시기별 지역별 활동일지를 통해 세부적인 활동 상황과 주요 전투를 담고 있는..

심문실의 한국전쟁 (2025) - 포로 송환과 자유주의 전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책소개2022년 맥아더 펠로십 수상자 : “새로운 통찰을 제시하는 역사학자”2022년에 한국계 학자 세 명이 미국의 ‘천재들의 상’(Genius Grant)으로 불리는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다는 뉴스가 한국에서 화제가 되었다. 이들은 수학자 허준이 교수, 인공지능 분야 최예진 교수, 그리고 모니카 김이었다. 맥아더 재단이 밝힌 모니카 김의 수상 이유에는 이 책 『심문실의 한국전쟁』이 갖는 의미가 잘 나타나 있다.“모니카 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탈식민화라는 맥락 속에서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밝혀내고 있는 역사학자이다. ... 저서 『심문실의 한국전쟁』에서 모니카 김은 미국과 국제적 자료뿐만 아니라 4개 언어로 된 아카이브 자료와 심문관들과의 직접 인터뷰를 바탕으로, 정전 협상 기..

6·25 전쟁의 아마겟돈 전투 (2025) - 호국향리 팔거현(칠곡)을 중심으로

책소개6·25전쟁의 아마겟돈 언덕,다부동 전투의 생생한 기록으로 역사의 진실을 마주하다『6·25전쟁의 아마겟돈 전투』『6·25전쟁의 아마겟돈 전투』는 6·25전쟁의 판세를 뒤집은 결정적 전투이자, 요한계시록의 인류 종말 전쟁터인 ‘아마겟돈 언덕’에 비견되는 다부동 전투의 진실을 파헤친다. 전전세대와 전후세대가 사라져 가는 지금, 호국향리 칠곡에 사는 지역민으로서 역사를 기록해야 한다는 저자들의 깊은 사명감에서 시작된 이 책은, 단순한 전쟁사가 아닌 ‘죽은 앞이 산 뒤를 살린다(死先生後)’는 철학 아래 호국영령과 민주화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이 오늘날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지탱하고 있음을 역설한다. 칠곡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다부동 전투를 재조명하며, 잊혀가는 역사의 현장을 생생하게 되살려 독자들에게 깊은 ..

나는 신이로소이다 (2025) - 한때 괴물이라 불렸던 존재들의 이야기

책소개불화, 민화, 조각상, 고문헌 등아시아 각국의 귀하고 의미 깊은 문화재들로미처 몰랐던 우리 문화 속 위대한 존재들을 조명하다신비한 존재들의 이야기가 궁금한 독자부터문화재와 전통미술을 사랑하는 예술 애호가까지상상력의 유산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인문예술 자료집목차추천사: 형상에 담긴 시대의 사유를 읽다프롤로그: 신의 얼굴, 괴물의 그림자1. 자유로운 수행자, 야차민간에 등장하는 털북숭이 야차인도의 정령, 약샤여덟 신의 일원이 되다신라 불교미술 속 야차 이미지끊임없는 무한매력작가 노트: 야차는 변화무쌍한 변신의 귀재다2. 사찰의 수문장, 금강역사호법신의 탄생부처님의 보디가드, 불법을 수호하다지키는 자의 해학작가 노트: 금강역사는 변함없는 사랑이다3. 투쟁의 신, 아수라아수라와 우유 휘젓기투신에서..

[웹북] 주한미군 (1957년 7월 1일 ~ 현재)

주한 미군 United States Forces Korea 駐韓 美軍주한 미군의 마크주한 미군활동 기간 1957년 7월 1일 ~ 현재국가 미국소속 미국 국방부병과 육군종류 예하 통합전투사령부(전구 사령부)역할 전시 한반도 방어 및 대한민국 국군 유지 지원규모 23,000~28,500명(1개 여단 순환배치)[1][2]명령 체계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한미연합군사령부본부 대한민국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지휘관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부사령관 데이비드 아이버슨참모장 존 웨이드너주임원사잭 러브표장고유 부대 휘장 주한 미군주한 미군(駐韓 美軍, 영어: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은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군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지위협정에 의해 대한민국 내에서 합법적 지위..

[웹북] 한반도 평화협정 (2018)

한반도 평화협정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합의서에 서명하는 모습한반도 평화협정지역 한반도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저자 문재인·청와대서명인 미국의 기 미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목적 한반도의 비핵화를 달성하여,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 체제와 한반도의 공동 번영을 달성한반도 평화협정(韓半島 平和協定, 영어: Peace Treaty on Korean Peninsula, PTKP)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유엔의 중재하에 1953년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의 후속 조치로서 한반도에서 공식적으로 전쟁을 종료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제네바 합의 표지 - IAEA제네바 합의 ..

[웹북] 주한 미군 지위 협정 (1967)

주한 미군 지위 협정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아메리카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大韓民國과 아메리카 合衆國間의 相互防衛條約 第4條에 依한 施設과 區域 및 大韓民國에서의 아메리카 合眾國 軍隊의 地位에 關한 協定; Agreement under Article 4 of the Mutual Defenc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garding Facilities and Areas and the Status of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the Republic of Korea) 또는 약칭으로 한미 SOFA(Stat..

[웹북] 한미상호방위조약 (1953)

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1953년 8월 8일 서울 경무대에서 외무부장관 변영태와 미국의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가 본 조약에 가조인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뒤에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이 참관하였다.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서명일 1953년 10월 1일서명장소 워싱턴 D.C.서명자 대한민국 외무부장관 변영태미국 국무부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발효일 1954년 11월 18일조약번호 제34호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약칭: 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되고 1954년 11월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