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책 머리에
Ⅰ고려 태조 왕건 동상 탐사기
1. 기다림
2. 북한 방문 세 번째에 이루어진 만남
3. 보고서에 없는 새로운 사실들
4. 재 회
Ⅱ 동상의 현재와 원래의 모습
1. 채색 청동상의 현재 상태
2. 왕건 동상의 크기 실측
Ⅲ 동상의 조형상징 태조황제의 신성한 권위
1. 황제의 관복
2. 신성함의 조형적 표현
Ⅳ 고려 조정의 왕건 동상 경배
1. 태조 왕건의 신망·카리스마·신화화
2. 광종의 봉은사 건립과 태조 왕건상의 제작
3. 성종대 종묘 건립 후의 변화
4. 현종대 천하다원론계 정책 부활 후의 봉은사
5. 정종대의 제례법 제정
6. 강도江都의 봉은사와 개경 환도
7. 고려말 봉은사 태조진전의 명칭 변화
Ⅴ 태조 건국 후 지워진 봉은사의 위치
Ⅵ 숭의전 제례의 성립과 왕건 동상의 매장
맺는말 고려 태조 왕건 동상의 역사적 의미
부록 고려시대 왕건 동상 및 관련제례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Ⅰ고려 태조 왕건 동상 탐사기
1. 기다림
2. 북한 방문 세 번째에 이루어진 만남
3. 보고서에 없는 새로운 사실들
4. 재 회
Ⅱ 동상의 현재와 원래의 모습
1. 채색 청동상의 현재 상태
2. 왕건 동상의 크기 실측
Ⅲ 동상의 조형상징 태조황제의 신성한 권위
1. 황제의 관복
2. 신성함의 조형적 표현
Ⅳ 고려 조정의 왕건 동상 경배
1. 태조 왕건의 신망·카리스마·신화화
2. 광종의 봉은사 건립과 태조 왕건상의 제작
3. 성종대 종묘 건립 후의 변화
4. 현종대 천하다원론계 정책 부활 후의 봉은사
5. 정종대의 제례법 제정
6. 강도江都의 봉은사와 개경 환도
7. 고려말 봉은사 태조진전의 명칭 변화
Ⅴ 태조 건국 후 지워진 봉은사의 위치
Ⅵ 숭의전 제례의 성립과 왕건 동상의 매장
맺는말 고려 태조 왕건 동상의 역사적 의미
부록 고려시대 왕건 동상 및 관련제례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 > 9.한국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 ‘삼국통일’을 둘러싼 해석과 논쟁 (2023) (0) | 2023.11.28 |
---|---|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 (2021) (0) | 2023.11.28 |
고려국가와 집단의식 - 자위공동체, 삼국유민, 삼한일통, 해동천자의 천하 (2009) (0) | 2023.11.28 |
절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2023) (0) | 2023.06.27 |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2012) - 천문기록에 담긴 한국사의 수수께끼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