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식민사관이 건국 60년이 되도록 청산되지 못하고 오히려 뿌리를 더 깊이 박고 가지를 쳐서 학계에서 큰소리를 치는 주류로 성장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식민사관이란 태생부터 어떤 실체가 있는 역사관이 아니라, 철저히 권력에 복종하고 현실과 야합하는 반역사적 태도를 학문의 이름으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역설한다. 고대사 학계에 남아있는 식민사관을 드러내면서, 식민사관을 넘어서기 위한 해석들을 찾아볼 수 있다.
목차
들어가기 전에
들어가면서
제1장 식민사학 왜 문제인가?
1. 역사학과 식민사학
역사학, 왜 필요한가?
영원한 이율배반
억압 구조와 권력
야누스의 얼굴 - 역사학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식민사학의 뿌리, 황국사관
2. 식민사학이란 무엇인가
어디까지가 식민사학인가?
식민사학의 갈래
쓰다의 의도
3. 한국 고대사 학계의 기득권층과 식민사학
식민사학의 추종자와 그 기원
한국 고대사 학계의 원로와 식민사학
일류 대학과 식민사학
식민사학의 재생산 - 창의력 말살
표절?재탕 그리고 철면피
그렇게 만들어진 후계자들 - 식민사학의 계보
제2장 한국 고대사 학계에 침투해 있는 식민사학의 논리
1. 고대 한·일 관계사 해석의 분기점―초기 기록
말살된 초기 기록
후유증
트집 잡기
고구려 트집 잡기
백제 트집 잡기
신라 트집 잡기
『삼국사기』 트집 잡기
뒤바뀐 신뢰성
이유 없는 타임 워프
2. 뒤바뀐 힘의 균형과 임나일본부
4세기 신공황후와 백제
4세기 지우기
식민사학의 희생자, 매장된 천재 천관우
고고학 팔아 식민사학 비호하기
도미노
무능한 일본부, 감싸는 천황
베낀 논리에 대한 변명
조상 바보 만들기
3. 신라가 일본에게 저자세 외교를 했다?
일본에 대한 신라의 저자세(?)가 가지는 의미
저자세 외교의 근거
실종된 사료 비판
과장 심한 전쟁 기록
오해하기 딱 좋은 ??삼국유사??의 기록
일본의 과대망상증
고대 일본의 열등감과 역사 왜곡
남의 학설까지
제3장 깡패 논리로 심어지는 식민사학
검열보다 더한 검열 - 심사
망나니
기득권층을 위한 시스템
무책임한 관료 조직
파워와 야합
야합의 길 - 학술지 등급제
야합에서 비호로
나라 팔아먹기
쇼 같지 않은 쇼 - 공개 발표
편파 판정
검증 기피
패거리 가르기 - ‘재야 사학’과 ‘강단 사학’
맺으면서
참고문헌
들어가면서
제1장 식민사학 왜 문제인가?
1. 역사학과 식민사학
역사학, 왜 필요한가?
영원한 이율배반
억압 구조와 권력
야누스의 얼굴 - 역사학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식민사학의 뿌리, 황국사관
2. 식민사학이란 무엇인가
어디까지가 식민사학인가?
식민사학의 갈래
쓰다의 의도
3. 한국 고대사 학계의 기득권층과 식민사학
식민사학의 추종자와 그 기원
한국 고대사 학계의 원로와 식민사학
일류 대학과 식민사학
식민사학의 재생산 - 창의력 말살
표절?재탕 그리고 철면피
그렇게 만들어진 후계자들 - 식민사학의 계보
제2장 한국 고대사 학계에 침투해 있는 식민사학의 논리
1. 고대 한·일 관계사 해석의 분기점―초기 기록
말살된 초기 기록
후유증
트집 잡기
고구려 트집 잡기
백제 트집 잡기
신라 트집 잡기
『삼국사기』 트집 잡기
뒤바뀐 신뢰성
이유 없는 타임 워프
2. 뒤바뀐 힘의 균형과 임나일본부
4세기 신공황후와 백제
4세기 지우기
식민사학의 희생자, 매장된 천재 천관우
고고학 팔아 식민사학 비호하기
도미노
무능한 일본부, 감싸는 천황
베낀 논리에 대한 변명
조상 바보 만들기
3. 신라가 일본에게 저자세 외교를 했다?
일본에 대한 신라의 저자세(?)가 가지는 의미
저자세 외교의 근거
실종된 사료 비판
과장 심한 전쟁 기록
오해하기 딱 좋은 ??삼국유사??의 기록
일본의 과대망상증
고대 일본의 열등감과 역사 왜곡
남의 학설까지
제3장 깡패 논리로 심어지는 식민사학
검열보다 더한 검열 - 심사
망나니
기득권층을 위한 시스템
무책임한 관료 조직
파워와 야합
야합의 길 - 학술지 등급제
야합에서 비호로
나라 팔아먹기
쇼 같지 않은 쇼 - 공개 발표
편파 판정
검증 기피
패거리 가르기 - ‘재야 사학’과 ‘강단 사학’
맺으면서
참고문헌
책 속으로
식민사학 자체는 근대에 들어와 일본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려고 만든 역사학이다. 하지만 그 뿌리를 캐고 들어가다 보면 고대사에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료가 적은 고대사 분야는 각 시대사 가운데 가장 조작하기 쉬운 분야일 뿐만 아니라, 일제가 만든 식민사학의 구조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는 분야이다. 이것이 고대사에 중점을 두고 식민사학을 다루려는 두 번째 이유다. --- p.14
여기서 의아해질 사람이 있을 것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아니다. 그런데도 어떻게 아직까지 일제의 식민사학에 추종하는 자들이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인지? 또 그런 자들은 무엇 때문에 식민사학에 집착하는지? 어떻게 그런 자들의 세력이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점을 보여주는 게 바로 이 책을 쓰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이쯤이면 뭐 하려고 이 책을 쓰고 있는지도 대충 정리될 것 같다. 하나는 식민사학이 자신이 원하는 역사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속임수를 쓰고 있는지 밝혀 보자는 것이다. 이 작업에는 무엇을 조작했는지 뿐만 아니라, 무슨 심보로 역사를 조작해 왔는지까지 포함된다. 제법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며, 이 자체로도 하나의 검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의아해질 사람이 있을 것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아니다. 그런데도 어떻게 아직까지 일제의 식민사학에 추종하는 자들이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인지? 또 그런 자들은 무엇 때문에 식민사학에 집착하는지? 어떻게 그런 자들의 세력이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점을 보여주는 게 바로 이 책을 쓰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이쯤이면 뭐 하려고 이 책을 쓰고 있는지도 대충 정리될 것 같다. 하나는 식민사학이 자신이 원하는 역사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속임수를 쓰고 있는지 밝혀 보자는 것이다. 이 작업에는 무엇을 조작했는지 뿐만 아니라, 무슨 심보로 역사를 조작해 왔는지까지 포함된다. 제법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며, 이 자체로도 하나의 검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p.15~16
출판사 리뷰
건국 60년, 왜 아직도 식민사학을 이야기하는가?
책머리에서 저자는 흥미있으면서도 씁쓸한 이야기를 인용하고 있다.
“얼마 전 각종 포털 사이트에 ‘잃어버린 고구려 역사 137년을 찾았다’는 제목의 기사가 떴다. 이 책에서 앞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추려 보면 이렇다.
‘외국의 초·중·고·대학생 및 교사들이 세계사 수업시간에 즐겨 찾는 유명 교육 포털사이트가 한국의 삼국시대 역사를 심각하게 왜곡했던 것을 시정했다. 삼국의 건국 연도를 고구려는 BC 37년 대신 AD 100년으로, 백제는 BC 18년 대신 AD 250년으로, 신라는 BC 57년 대신 AD 350년으로 각각 기술했다. 이렇게 된다면 고구려는 137년, 백제는 268년, 신라는 407년의 역사가 사라져 버린 셈이다.’
그런데 이렇게 목청껏 외국의 무식한(?) 한국사 인식을 비난하고 보니 뭔가 이상하다. 이 내용은 바로 우리나라 교과서에 쓰여 있는 그대로 아니던가? ‘고구려는 2세기 태조왕, 백제는 3세기 고이왕, 신라는 4세기 내물왕 때가 되어서가 비로소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이면 무조건 이렇게 외워야만 대학 입학시험에서 피해를 보지 않는다. 바로 이렇게 교과서에 써 놓고, 이제 와서 외국에다가 너희들이 왜곡된 내용을 써 놓았으니 고쳐라?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곧 수정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하는데, 나중에 그쪽에서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다. ‘우리가 역사 왜곡했다며 고쳐 달라면서 왜 자기네 교과서에서는 그렇게 가르치느냐?’ 속으로는 욕깨나 해댈지 모를 노릇이다. 노골적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한국 사람은 앞뒤가 맞지 않는 짓을 하면서 감정만 앞세우는 족속이라고 몰기 딱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독도나 정신대 문제를 비롯한 일본의 역사왜곡이 불거질 때마다 온나라가 뒤끓는 대한민국에서 일제 식민사학이 틀을 세운 한국 고대사를 후손들에게 교과서에서 가르치고 있다니 이게 도대체 어찌된 일인가? 이 책은 한국 고대사 학계에서 일제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것이 이러한 비극의 출발점이었다고 진단한다.
논점 하나:식민사학은 실증사학인가?
이병도를 비롯한 해방후 한국 고대사학계를 장악한 인물들은 자신들의 역사학을 실증사학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반대편의 역사학은 반실증적인 것 즉 반과학적인 것으로 몰아가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다. 그러나 과연 그들의 역사학이 실증적인가? 그들이 말하는 실증성을 대변한 인물이 쓰다 소키치이고, 쓰다의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이 초창기 한국 고대사학계였다. 하지만 그들이 배운 쓰다 소키치의 한일 고대사 체계는 실증사학의 탈을 쓴 황국사관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단언한다. 사실 체계라고 할 것도 없다는 것이다. 『일본서기』의 일부를 비판하는 척 하면서, ??삼국지?? 위지동이전과 한전의 기록을 활용해 한반도 초기 국가의 식민성을 강조하는 그림 만들기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 맞추기를 위해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그 결과 한반도 고대 국가의 건립 연대는 수 백년이나 늦추어졌다는 것이다. 이제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토대로 한국고대사를 복원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을 것을 저자는 제안하고 있다.
논점 둘:누가 식민사학을 옹호하는가?
청산해야 할 역사를 청산하지 못했을 때, 역사가 어떻게 뒤틀린 길을 가는가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분야가 고대사 학계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이병도가 키운 제자들이 대한민국 학계를 장악하고 역사학을, 기득권을 수호하는 ‘그들만의 리그’로 키운 결과가 바로 현재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들의 기득권 수호 투쟁이 어떻게 학계의 신진대사를 방해하고, 학자들을 패거리 집단으로 전락시키며, 저잣거리의 시정잡배만도 못한 짓을 하면서도 일말의 양심의 가책도 안 느끼는 파렴치한이 되고 있는지를 저자는 처참한 내부 고발자의 심정에서 진술하고 있다.
논점 셋:누가 이들을 방조하는가?
이들에게 연구 기금과 학회지 발간 및 활동비를 지원하는 관료들이 결국 이들과 야합하게 되는 과정을 이 책에서 낱낱이 고발하고 있다. 국민의 혈세가 무사안일과 출세주위에 물든 관료들의 손을 통해 학계 기득권 세력에게 선심 쓰듯 뿌려지는 모습은 독자들에게 충격적인 모습으로 다가갈 것이다. 또 이러한 학계 기득권 세력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 언론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이 일본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하자면서 만든 프로에 어떻게 식민사관에 입각한 논리를 담고 있는지를 지적하고 있다. 또 이를 비판하자 진상을 외면하는 것은 물론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을 문제 있는 것으로 몰고 가고 또 그런 내용을 책으로 만들어 전국민에게 배포함으로써 결국 식민사관을 국민에게 주입시키는 결과를 자아냈던 경험담을 수록하고 있다.
결국 식민사관이란 태생부터 어떤 실체가 있는 역사관이 아니라, 철저히 권력에 복종하고 현실과 야합하는 반역사적 태도를 학문의 이름으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식민사관이 건국 60년이 되도록 청산되지 못하고 오히려 뿌리를 더 깊이 박고 가지를 쳐서 학계에서 큰소리를 치는 주류로 성장한 것은 대한민국 사회의 병리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이것이 신진 학자에 불과한 저자가 미래의 모든 가능성을 포기하고 스스로 몸을 던져 불속에 뛰어드는 이유일 것이다.
책머리에서 저자는 흥미있으면서도 씁쓸한 이야기를 인용하고 있다.
“얼마 전 각종 포털 사이트에 ‘잃어버린 고구려 역사 137년을 찾았다’는 제목의 기사가 떴다. 이 책에서 앞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추려 보면 이렇다.
‘외국의 초·중·고·대학생 및 교사들이 세계사 수업시간에 즐겨 찾는 유명 교육 포털사이트가 한국의 삼국시대 역사를 심각하게 왜곡했던 것을 시정했다. 삼국의 건국 연도를 고구려는 BC 37년 대신 AD 100년으로, 백제는 BC 18년 대신 AD 250년으로, 신라는 BC 57년 대신 AD 350년으로 각각 기술했다. 이렇게 된다면 고구려는 137년, 백제는 268년, 신라는 407년의 역사가 사라져 버린 셈이다.’
그런데 이렇게 목청껏 외국의 무식한(?) 한국사 인식을 비난하고 보니 뭔가 이상하다. 이 내용은 바로 우리나라 교과서에 쓰여 있는 그대로 아니던가? ‘고구려는 2세기 태조왕, 백제는 3세기 고이왕, 신라는 4세기 내물왕 때가 되어서가 비로소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이면 무조건 이렇게 외워야만 대학 입학시험에서 피해를 보지 않는다. 바로 이렇게 교과서에 써 놓고, 이제 와서 외국에다가 너희들이 왜곡된 내용을 써 놓았으니 고쳐라?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곧 수정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하는데, 나중에 그쪽에서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다. ‘우리가 역사 왜곡했다며 고쳐 달라면서 왜 자기네 교과서에서는 그렇게 가르치느냐?’ 속으로는 욕깨나 해댈지 모를 노릇이다. 노골적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한국 사람은 앞뒤가 맞지 않는 짓을 하면서 감정만 앞세우는 족속이라고 몰기 딱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독도나 정신대 문제를 비롯한 일본의 역사왜곡이 불거질 때마다 온나라가 뒤끓는 대한민국에서 일제 식민사학이 틀을 세운 한국 고대사를 후손들에게 교과서에서 가르치고 있다니 이게 도대체 어찌된 일인가? 이 책은 한국 고대사 학계에서 일제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것이 이러한 비극의 출발점이었다고 진단한다.
논점 하나:식민사학은 실증사학인가?
이병도를 비롯한 해방후 한국 고대사학계를 장악한 인물들은 자신들의 역사학을 실증사학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반대편의 역사학은 반실증적인 것 즉 반과학적인 것으로 몰아가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다. 그러나 과연 그들의 역사학이 실증적인가? 그들이 말하는 실증성을 대변한 인물이 쓰다 소키치이고, 쓰다의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이 초창기 한국 고대사학계였다. 하지만 그들이 배운 쓰다 소키치의 한일 고대사 체계는 실증사학의 탈을 쓴 황국사관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단언한다. 사실 체계라고 할 것도 없다는 것이다. 『일본서기』의 일부를 비판하는 척 하면서, ??삼국지?? 위지동이전과 한전의 기록을 활용해 한반도 초기 국가의 식민성을 강조하는 그림 만들기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 맞추기를 위해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그 결과 한반도 고대 국가의 건립 연대는 수 백년이나 늦추어졌다는 것이다. 이제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토대로 한국고대사를 복원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을 것을 저자는 제안하고 있다.
논점 둘:누가 식민사학을 옹호하는가?
청산해야 할 역사를 청산하지 못했을 때, 역사가 어떻게 뒤틀린 길을 가는가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분야가 고대사 학계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이병도가 키운 제자들이 대한민국 학계를 장악하고 역사학을, 기득권을 수호하는 ‘그들만의 리그’로 키운 결과가 바로 현재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들의 기득권 수호 투쟁이 어떻게 학계의 신진대사를 방해하고, 학자들을 패거리 집단으로 전락시키며, 저잣거리의 시정잡배만도 못한 짓을 하면서도 일말의 양심의 가책도 안 느끼는 파렴치한이 되고 있는지를 저자는 처참한 내부 고발자의 심정에서 진술하고 있다.
논점 셋:누가 이들을 방조하는가?
이들에게 연구 기금과 학회지 발간 및 활동비를 지원하는 관료들이 결국 이들과 야합하게 되는 과정을 이 책에서 낱낱이 고발하고 있다. 국민의 혈세가 무사안일과 출세주위에 물든 관료들의 손을 통해 학계 기득권 세력에게 선심 쓰듯 뿌려지는 모습은 독자들에게 충격적인 모습으로 다가갈 것이다. 또 이러한 학계 기득권 세력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 언론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이 일본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하자면서 만든 프로에 어떻게 식민사관에 입각한 논리를 담고 있는지를 지적하고 있다. 또 이를 비판하자 진상을 외면하는 것은 물론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을 문제 있는 것으로 몰고 가고 또 그런 내용을 책으로 만들어 전국민에게 배포함으로써 결국 식민사관을 국민에게 주입시키는 결과를 자아냈던 경험담을 수록하고 있다.
결국 식민사관이란 태생부터 어떤 실체가 있는 역사관이 아니라, 철저히 권력에 복종하고 현실과 야합하는 반역사적 태도를 학문의 이름으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식민사관이 건국 60년이 되도록 청산되지 못하고 오히려 뿌리를 더 깊이 박고 가지를 쳐서 학계에서 큰소리를 치는 주류로 성장한 것은 대한민국 사회의 병리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이것이 신진 학자에 불과한 저자가 미래의 모든 가능성을 포기하고 스스로 몸을 던져 불속에 뛰어드는 이유일 것이다.
'60.교육의 이해 (독서>책소개) > 3.역사왜곡비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일 종족주의 (2019) - 대한민국 위기의 근원 (0) | 2023.04.03 |
---|---|
한국역사학의 계보 (2017) - 식민주의 사학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0) | 2023.01.21 |
식민사학.동북공정 (2017) - 4,000년 동안 봉인된 갑골음의 비밀이 풀렸다 (0) | 2022.10.11 |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고대사 (0) | 2022.10.11 |
식민사학의 카르텔 - 역사를 왜곡하는 자는 누구인가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