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1.고대.삼국.통일신라

고대 동아시아의 수군과 해양활동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동방박사님 2022. 11. 24. 22:16
728x90

책소개

“강력한 해군을 보유한 국가가 세계적으로 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급변하고 있는 동아시아 국제 정세 속에서 남과 북으로 분단된 우리나라는 섬처럼 고립되어 있습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려면 바다가 필요했고, 그에 따라 바다에 대한 관심(해양활동)은 더 높아졌습니다다. 그리고 앞으로 더 높아져야 합니다.

한반도·중국대륙·일본열도의 역사는 바다와 함께했습니다. 한?중?일의 교류와 전쟁은 바다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중원왕조의 침입이나 왜구의 침략은 바다를 빼놓고는 이야기하기 어렵습니다. 수군은 해양활동과 바다를 지키는 힘의 근원입니다. 고대 동아시아의 수군을 돌아보면서 수군의 활동과 현재적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합니다.
(책을 펴내며 중에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고조선·고구려·백제의 수군과 해양활동

제1절 고조선의 산동지역 교류와 해상 교통로 ▣ 박준형 3
Ⅰ. 머리말 4
Ⅱ. 비파형동검문화기의 교류와 교통로 6
Ⅲ. 기원전 4~3세기 교류와 교통로 20
Ⅳ. 위만집권 전후 교류와 교통로 27
Ⅴ. 맺음말 35

제2절 4세기 전반 고구려의 해양활동과 황해 ▣ 이정빈 39
Ⅰ. 머리말 40
Ⅱ. 338년 고구려-후조 연합과 황해의 두 연안항로 41
Ⅲ. 341년 고구려-후조 연합의 安平 공격과 해양활동 50
Ⅳ. 安平을 통한 해양활동의 추이와 313년 낙랑 병합 58
Ⅴ. 맺음말-압록강에서 황해로- 67

제3절 광개토왕대의 대백제전 수군 운용 ▣ 정동민 71
Ⅰ. 머리말 72
Ⅱ. 수군의 편성과 활동 73
Ⅲ. 수군의 거점 설치와 운용 84
Ⅳ. 맺음말 95

제4절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 이민수 97
Ⅰ. 머리말 98
Ⅱ. 당의 공격군 편성 99
Ⅲ. 당의 공격로와 水軍 운용 전략 110
Ⅳ. 맺음말 130

제5절 백제의 해양 환경과 수군 운용 ▣ 이재준 133
Ⅰ. 머리말 134
Ⅱ. 백제의 해양 환경 136
Ⅲ. 백제의 공세적 수군 운용 148
Ⅳ. 백제의 수세적 수군 운용 157
Ⅳ. 맺음말 166

제2장 신라의 수군과 해양활동

제1절 신라 상·중대 船府(署)의 정비와 水軍 ▣ 정덕기 173
Ⅰ. 머리말 174
Ⅱ. 신라 船府(署)의 업무와 성격 180
Ⅲ. 船府署·船府의 정비과정과 水軍 194
Ⅳ. 맺음말 209

제2절 신라 문무왕대 삼국 통일의 완성과 水軍의 활약 ▣ 한준수 213
Ⅰ. 머리말 214
Ⅱ. 외침의 극복과 水軍力의 강화 218
Ⅲ. 나당 연합군의 덕물도 合軍과 대백제 水戰의 전개 226
Ⅳ. 나당 동맹의 결렬과 대당 水戰의 전개 236
Ⅴ. 맺음말 244

제3절 문무왕의 遺詔와 대왕암 ▣ 조범환 247
Ⅰ. 머리말 248
Ⅱ. 문무왕의 火葬 유언 250
Ⅲ. 문무왕의 장골처와 대왕암 260
Ⅳ. 맺음말 267

제4절 신라 장구진의 위치 비정에 대하여 ▣ 이상훈 271
Ⅰ. 머리말 272
Ⅱ. 장구진 관련 기록과 위치 문제 273
Ⅲ. 장구진과 장산곶의 입지 280
Ⅳ. 오차진의 장구진 가능성 286
Ⅴ. 맺음말 296

제3장 발해·일본의 수군과 해양활동

제1절 8세기 전반 발해의 해양 교통로와 제해권 범위 ▣ 신범규 301
Ⅰ. 머리말 302
Ⅱ. ??道里記??에서 확인되는 등주도와 압록강 하구 305
Ⅲ. 732년 등주 공격과 발해의 서쪽 제해권의 변화 313
Ⅳ. 연해주 연안 제해권 장악과 초기 일본도 324
Ⅴ. 맺음말 332

제2절 일본 헤이안시대 수군의 존재 여부 ▣ 김현경 335
Ⅰ. 머리말 336
Ⅱ.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 340
Ⅲ. 군의 편성과 지휘관 구성 349
Ⅳ. 선박과 해안 경비 358
Ⅴ. 맺음말 364

제3절 마쓰라·아키타·쓰시마에 출현한 신라해적 ▣ 정순일 367
Ⅰ. 머리말 368
Ⅱ. 9세기 말 신라해적의 동향 370
Ⅲ. 쓰시마의 사키모리제(防人制)와 물자조달방식 377
Ⅳ. 히젠 마쓰라 군과 히고 아키타 군 384
Ⅴ. ??扶桑略記??의 신라해적기사를 둘러싸고 392
Ⅵ. 견훤세력과 신라해적 397
Ⅶ. 맺음말 402

제4장 후삼국·고려의 수군과 해양활동

제1절 후삼국시대의 水軍 운용과 주요 水戰 및 水路 활용 검토 ▣ 송영대 407
Ⅰ. 머리말 408
Ⅱ. 후삼국시대의 水軍 운용 410
Ⅲ. 후삼국시대 주요 水戰 사례 분석 414
Ⅳ. 陸戰에서의 水路 활용 가능성 검토 437
Ⅴ. 맺음말 444

제2절 왕건의 서남해 도서지방 경략과 해양사적 의미 ▣ 신성재 447
Ⅰ. 머리말 448
Ⅱ. 서남해 도서지방 해상세력의 동향과 존재 양태 450
Ⅲ. 서남해 도서지방의 전략적 자산과 가치 458
Ⅳ. 왕건의 도서지방 경략과 해양사적 의미 467
Ⅴ. 맺음말 475

제3절 고려 전기 水軍의 운영 ▣ 이창섭 479
Ⅰ. 머리말 480
Ⅱ. 수상 활동 군대의 명칭 483
Ⅲ. 고려 전기 수군의 발전과 변화 489
Ⅳ. 맺음말 502

참고문헌 505
찾아보기 539
 

저자 소개 

 

출판사 리뷰

최초의 동아시아 고대 수군사 종합 학술서

이 책은 해당 분야의 저명한 관련 학자들을 망라하여 준비한 최초의 동아시아 고대 수군사 종합 학술서이다. 동아시아 고대 군사사를 연구하는 신진 연구자로부터 고대사 중진·원로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전문 필진 15명의 연구성과가 담겨있다.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일본, 발해, 후삼국, 고려 등 국가별·시대순으로 고대의 수군, 수전, 해적, 제해권, 해양로, 해양 정책, 해양 활동 등 다양한 논의를 담고 있다.

고조선부터 고려 전기까지 이 책 하나로 동아시아 고대 수군사 전체를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 책의 발간을 계기로 동아시아 고대 수군사에 대한 전체적인 논의와 이해가 종으로 횡으로 더욱 확장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