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1.고대.삼국.통일신라

가야사의 제문제 - 가야사 새로보기 (2022)

동방박사님 2022. 11. 24. 22:12
728x90

책소개

최근 몇 년 동안 이루어진 가야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는 가야사 이해의 확대와 함께 이제까지의 가야사 인식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였다. 가야 각국의 중심지에서 가야사회의 내적 발전을 보여주는 성곽과 고분에서 출토되는 수준 높은 유물 때문이다. 왕성으로 추정되는 가야리 토성, 중국과의 교류로 볼 수도 있는 청자완, 아라가야 정치적 발전을 보여주는 금동관, 그리고 다양한 세련된 상형토기의 발굴이 그것이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은 아라가야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근거이며, 아라가야의 재해석은 가야사 전체의 재검토와 맞물려 있다.

이에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초에 학술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책으로 묶어냈다. 기조발표 내용으로는 가야를 고대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있고, 세부주제는 아라가야의 정치적 발전을 보여주는 근거인 가야리토성과 금동관, 그리고 가야사에서 아라가야의 성장과 대외관계를 추정하게 하는 청자완 등을 비롯한 발굴성과를 정리하였다. 그 외 가야의 성장을 가능케 했던 당시의 자연환경, 가야사연구 자료인 『일본서기』의 활용, 가야권역의 확대를 보여주는 호남지역 가야유적의 성격, 가야봉토분의 축조기법과 매장의례에 대한 내용도 담겨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가야사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 가야사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글도 보태져 있다.

목차

‘아라가야학술총서4’를 발간하며

한국의 고대국가론과 ‘가야’ | 김영하

Ⅰ. 전근대사서의 가야 인식: 왕조론
Ⅱ. 근·현대사학의 가야 인식: 국가론

최신 조사성과를 통해 본 아라가야의 재인식 | 조신규

Ⅰ. 머리말
Ⅱ. 조사성과
Ⅲ. 새로운 조사성과를 통해 본 아라가야
Ⅳ. 맺음말

가야시기의 자연환경 | 김정윤

Ⅰ. 머리말
Ⅱ. 낙동강 중하류부의 지형 및 경관 변화
Ⅲ. 선사시대 동안 낙동강 중하류부의 해수면 변동과 고지형 변화 복원
Ⅳ. 함안천 하류부 고환경 변화 논의
Ⅴ. 맺음말

아라가야 봉토분 축조기법과 매장의례 검토 | 정인태

Ⅰ. 머리말
Ⅱ. 아라가야 봉토분의 축조공정과 유형 설정
Ⅲ. 아라가야 봉토분의 축조공정별 축조기법과 매장의례
Ⅳ. 아라가야 봉토분 축조와 매장의례의 특징
Ⅴ. 맺음말

5-6세기 호남 동부지역 가야세력의 정치적 향방 | 박천수

Ⅰ. 머리말
Ⅱ. 호남 동부지역 가야세력에 대한 諸 논의
Ⅲ. 호남 동부지역 가야 유적 유물
Ⅳ. 호남 동부지역 가야세력의 정치적 향방
Ⅴ. 맺음말

가야의 금동관과 왕권 | 이한상

Ⅰ. 머리말
Ⅱ. 금동관 출토 사례
Ⅲ. 금동관에 투영된 왕권
Ⅳ. 맺음말

가야의 왕성을 찾아서 | 권오영

Ⅰ. 머리말
Ⅱ. 몇 가지 전제 조건
Ⅲ. 가야 왕성의 구조 복원 시안
Ⅳ. 기존 견해에 대한 몇 가지 의문
Ⅴ. 맺음말

『일본서기(日本書紀)』의 가야 인식과 사료적 활용 | 정동준

Ⅰ. 머리말
Ⅱ. 전설시대(崇神紀∼應神紀)의 가야 인식과 사료적 활용
Ⅲ. 역사시대(雄略紀∼宣化紀)의 가야 인식과 사료적 활용
Ⅳ. 맺음말

가야사연구의 진전을 위한 모색 | 남재우

Ⅰ. 연구의 시작과 변천
Ⅱ. 연구 성과와 한계
Ⅲ. 가야사연구를 위한 모색
 

저자 소개

저 : 김영하
 
강원 동해시 출생. 고려대학교 사학과(문학사)와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박사)을 졸업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방문교수, 한국고대사학회, 고려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고대사회의 군사와 정치』, 『신라중대사회연구』, 『한국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