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기독교역사 [웹북] <평생공부>/2.기독교교회사 (로마카톨릭) 36

[웹북] 성인력

성인력 (가톨릭 성인 달력에서 넘어옴)1340-60년경, 중세 성인 달력 필사본의 일부.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사용하였다(투르쿠 지역).성인력성인력(calendar of saints)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인정하는 그리스도교의 성인(聖人) 축일(feast day, feast)을 표시한 달력이다. 이 문서 작성에 참고가 되는 책으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어느 정도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성인들의 목록을 모은 로마 순교록이 있다. 한편 로마 가톨릭교회전체에서 미사와 성무일도 전례에서 기념하는 성인들의 축일을 선정하여 만든 달력을 로마 보편 전례력이라고 한다. 또한 로마 보편 전례력에 지역 교회나 수도 가족이 자신들의 고유한 성인 축일을 덧붙여 만든 것을 고유 전례력이라고 부른다. 1월1월 7일: 안티오키아의 성..

[웹북] 루시퍼

《루키페르의 추락》 — 귀스타프 도레.루시퍼루시퍼(영어: Lucifer, 라틴어: Lucifer 루치페르, 히브리어: הֵילֵל 헬렐)는 성경에 나오는 단어로 보통은 타락천사를 가리킨다.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이사야 14장 12절에 '헬렐'이 나오는데 이를 영어성경은 '루시퍼'로 번역했고 한글성경은 '계명성'으로 번역했다. 계명성, 아침별, 새벽별, 샛별, 금성 모두 동의어다. 원래 샛별은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단어였는데 하느님 보좌의 근위병이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상징을 사용할 수 있었던 루시퍼 천사가 교만해지자 창조주가 계급장을 박탈하고 천국에서 추방한 뒤 더는 루시퍼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루시퍼는 라틴어 루치페르의 영어식 이름이다. 어원루키페르는 ‘빛을 가져온 자’(lux, luci..

[웹북] 악마

《코덱스 기가스》에 묘사된 마의 모습.악마악마(惡魔, 히브리어: שָׂטָן 사탄, 영어: Devil 데블, 고대 그리스어: διάβολος 디아볼로스)는 마귀(魔鬼)라고도 하며, 하느님을 대적하는 사탄의 또 다른 이름이다. 사탄과 마귀는 동의어이며, 사탄은 히브리어이고 마귀는 그리스어이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아브라함계 종교와 달리 불교, 힌두교 등 다른 종교는 악마를 수행을 방해하는 영으로 이해하여 마귀에 대한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이분법이 특징인 조로아스터교의 교리 속에도 악마가 등장한다. 종교 속의 악마 / 조로아스터교조로아스터교의 경전 아베스타에 따르면 창조신 아후라 마즈다에서 두 영혼(신)이 나왔는데, 한명은 선(善)을 선택한 영으로써, 천사라고도 불릴 수 있는 스펜타 마이뉴이고,..

[웹북] 사탄

존 밀튼의 실낙원에 나오는 사탄을 묘사한 귀스타프 도레의 그림사탄사탄(히브리어: שָּׂטָן sāṭān, 고대 그리스어: σατανάς satanas, 아랍어: شَيْطَان šayṭān)은 마귀(魔鬼)라고도 하며 타락한 영들의 우두머리다. 사탄을 정관사 없이 사용하면 보통명사가 되어 "대적자, 반대하는 어떤 사람"이 되지만 정관사와 함께 사용하면 고유명사가 되어 “고발하는 자, 참소하는 자"가 된다. 예수 그리스도는 사탄에 대해 "그는 처음부터 살인자였다. 그에게는 진리가 없으므로 그가 진리의 편에 서지 못한다. 그는 거짓말을 할 때마다 자기 본성을 드러낸다. 이것은 그가 거짓말쟁이며 거짓의 아비이기 때문이다."라고 실체를 폭로했다. 기원사탄은 하느님의 피조물로서, 원래 하느님 왕좌의 근위병이었으나..

[웹북] 타락천사

스페인 마드리드의 부엔 레티로 공원에 있는 타락천사상.타락천사타락천사(墮落天使)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의 종교에서 하늘나라에서 추방당한 천사를 일컫는 말이다. 이들이 하늘나라에서 추방당한 이유는 대개 질투나 교만, 자유의지 등의 이유로 악행을 저지르고 하느님의 뜻을 거슬렀거나 하느님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결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락천사들은 하느님이 사랑하는 인간들을 공격하거나 죄를 지어 타락하게 만든다고 한다. 유대교일부종파에서 인정되는 외경 에녹서에 따르면 하늘나라에서 반역을 도모한 200명의 천사 무리 또는 욕정에 굴복하여 천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와 인간 여자들과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사람들에게 온갖 나쁜 기술을 가르친 감시자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다. 이들 타락천사와 인간 여자 ..

[웹북] 천사

1400년대 월튼 두폭화에 등장한 천사들의 모습천사천사(天使, 영어: Angel 히브리어: מַלְאָךְ 말앜)는 창조주가 자신을 섬기고 인간을 보호하도록 만든 영적인 존재이다. 주로 성경에 등장하며, 기독교에서는 불을 통해, 이슬람교에서는 빛을 통해 창조되었다고 전해진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는 천사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는다. 가톨릭에서의 천사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단을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2년 3월)천사라는 말은 하느님의 심부름을 하는 영적 존재들의 직명(職名)이지 그들의 본성(本性)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그래서 중국과 한국에서는..

[웹북] 대천사

대천사대천사 미카엘과 가브리엘의 이콘, 12세기, 시나이산의 성 카타리나 수녀원.대천사대천사(大天使, 라틴어: archangelus, 영어: archangels)는 능력이 뛰어나거나 높은 지위에 있는 천사들을 일컫는 말이다. 대천사들은 유대교, 기독교 전통에서 볼 수 있다. 가브리엘은 루카 복음서에 지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대천사로 취급받는다; 라파엘은 제2 경전인 토빗기에서 언급되며, 우리엘은 외경인 에녹서에서 언급된다. 대천사 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αρχ- arch-(첫 번째, 주요한, 우두머리 또는 가장 높은)와 άγγελος angelos(심부름꾼)를 합친 αρχάγγελος archangelos에서 유래한 것이다. 천사들 중에서도 신의 뜻을 체현하는 특별한 이들을 대천사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유대..

[웹북] 일곱 대천사 (예구디엘, 가브리엘, 셀라피엘, 미카엘, 우리엘, 라파엘, 바라키엘)

동방 정교회의 일곱 대천사 이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예구디엘, 가브리엘, 셀라피엘, 미카엘, 우리엘, 라파엘, 바라키엘.일곱 대천사일곱 대천사(七大天使, Seven Archangels) 체제는 기독교의 오래된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일곱 대천사에 대해 가장 빨리 언급한 것은 유대교의 경전에 포함되지 않은 《에녹1서》이다. 이 책에 나와 있는 일곱 대천사들의 이름은 이 책의 제20장 〈일곱 대천사의 이름과 임무〉에 기술된 순서대로 나열하면 우리엘 · 라파엘 · 라구엘 · 미카엘 · 사라카엘 · 가브리엘 · 레미엘이다.[1] 이 일곱 대천사는 어전천사(御前天使)라 불리기도 한다. 《에녹1서》에는 일곱 대천사들의 임무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으며, 이 임무들이 하느님(God)에 의해 부여된 것..

[웹북] 우리엘 (대천사)

성 우리엘 대천사교파 유대교,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성공회축일 9월 29일(서방), 11월 8일(동방)상징 불, 태양, 책, 두루마리, 불타는 검수호 견진성사, 시인 우리엘우리엘(히브리어: אוּרִיאֵל, 영어: Uriel, 그리스어: Ουριήλ, 콥트어: ⲟⲩⲣⲓⲏⲗ)은 바빌론 유수기 이후 유대교의 전승과 기독교의 전승에 나오는 대천사 가운데 하나이다. 그의 이름은 “하느님의 불꽃”이란 뜻이다. 이름과 출처본래 옛 히브리어 성경에 기록된 천사들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실제로 일부 학자들은 특정한 천사들의 모든 이름이 바빌론에서 유래한 것이며, 유대인이 그들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바빌로니아 유수 이후 유대교의 천사학에서 일곱 대천사 가운데 가브리엘, ..

[웹북] 라파엘 (대천사)

성 라파엘대천사교파 천주교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오리엔트 정교회, 콥트교회,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티오피아 정교회, 루터교, 성공회)축일 9월 29일수호 약사, 간호사, 내과 의사, 시각 장애인, 질병에 걸린 사람, 악몽을 꾸는 사람, 정신질환자, 양치기, 여행자, 나그네, 젊은이, 아픈 사람라파엘(히브리어: רפאל)은 ‘ ‘하느님께서 고쳐 주셨다.’라는 뜻으로, 유대교와 천주교, 이슬람교에서 존재한다고 믿는 대천사이다. 특히 기독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치유의 천사로 전해지고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전통적으로 4대 천사 가운데 한 명으로서, 이스라필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라파엘은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성공회와 루터교에서 정경, 준정경으로 인정하는 외경중 하나인 토빗기에 ..

[웹북] 가브리엘 (대천사)

성 가브리엘대천사교파 기독교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오리엔트 정교회, 콥트교회,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티오피아 정교회, 루터교, 성공회)축일 9월 29일상징 백합수호 전기 통신 종사자, 라디오 방송인,, 집배원,성직자,외교관,우표 수집가가브리엘가브리엘(히브리어: גַּבְרִיאֵל, 그리스어: Γαβριήλ, 라틴어: Gabrielus 가브리엘루스, 아랍어: جبريل 지브릴은 ‘하느님의 사람, 영웅, 힘’이라는 뜻으로,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들에서 주로 하느님의 전령(傳令)으로 전해지는 대천사이다. 가브리엘은 타나크와 신약성경에 모두 등장한다. 다니엘서에서 그는 예언자 다니엘에게 나타나 그가 체험한 환시의 의미를 설명해 주는 모습으로 등장한다(다..

[웹북] 미카엘 (대천사)

성 미카엘대천사교파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축일 9월 29일수호 로마 가톨릭교회, 바티칸 시국, 유대인, 경찰, 군인, 식료품 잡화상, 선원,응급구조사, 병든 사람 미카엘 (대천사)미가엘 또는 미카엘(히브리어: מיכאל, 그리스어: Μιχαήλ, 라틴어: Michael 또는 Míchaël, 아랍어: ميخائيل)은 히브리성경에 등장하는 천사의 이름이다. 히브리성경을 인정하는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의 대천사 또는 천사장이다. 특히 기독교 내에서는 신약성경에도 이름을 기록하여서 기독교 전반에 수호자로서 상징이 널리 퍼졌다. 특히 종교적 형상에 관대하던 서방교회에서 관련 그림 및 상징 등이 발달하였다. 동방 정교회 및 서방교회인 천주교회와 성공회, 루터교 등에서는 그를 ‘성 미카엘 대천사’ 또는 간략하..

[웹북] 파리 외방전교회 (1658) -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

파리 외방전교회(라틴어: Societas Parisiensis missionum ad exteras gentes, 프랑스어: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MEP)는 1658년 설립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이다. 해외선교 / 아시아 선교파리 외방전교회는 1659년 팔뤼(F. Pallu)와 모트(P.L. de la Motte)주교를 시암에 선교사로 보냈었다. 1664년에는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학교를 설립하여 선교사들을 가르쳤다. 또한, 파리 외방전교회는 천주교 조선교구가 설립된 1831년에 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 주교를 조선 선교사로 파견하였다.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당시, 선교사들이 순교하거나 청나라 등으로 도피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의 활동파리 외방전교회..

[웹북]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1506~1502) - 사제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출생 1506년 4월 7일 / 스페인, 하비에르선종 1552년 12월 3일 / 명나라 광둥성 장먼시 타이산시 상촨섬교파 로마 가톨릭교회시복 1619년 10월 25일, 교황 바오로 5세시성 1622년 3월 12일,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축일 12월 3일상징 십자고상, 종, 백합, 타오르는 심장수호 선교사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라틴어: Sanctus Franciscus Xaverius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스페인어: Francisco Javier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바스크어: Frantzisko Xabier 프란치스코 샤비에르); (1506년 4월 7일 ~ 1552년 12월 2일)는 나바라 왕국(지금의 스페인 바스크) 하비에르 출신의 가톨릭 선교사이자 로마 ..

[웹북] 이냐시오 데 로욜라 (예수회 창시자: 1491~1556 (64세)

이냐시오 데 로욜라성 이냐시오이냐시오 데 로욜라출생 1491년 10월 23일 / 스페인 바스크선종 1556년 7월 31일(64세) / 교황령 로마축일 7월 31일상징 IHS, 갑주, 십자가, 제의수호 군인, 만학도, 영신수련, 예수회, 피정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라틴어: Sanctus Ignatius de Loyola, 1491년 10월 23일 ~ 1556년 7월 31일) 또는 이냐시오 데 로욜라(스페인어: Ignacio de Loyola)는 스페인 바스크 귀족 가문의 기사이자 (1537년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의 은수자이자 사제, 신학자이다. 또한 그는 예수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총장이기도 하다.이냐시오는 가톨릭 개혁 시기에 특출난 영적 지도자로 급부상하였다. 가톨릭교회에 대한 그의 ..

[웹북] 예수회 (1540)

예수회 Societas Iesu‏예수회의 문장예수회유형 복음 전도목적 가톨릭 복음전파활동 지역 전 세계회원 15,500여명공식 언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웹사이트 http://www.sjweb.info/예수회예수회(라틴어: Societas Iesu, 영어: Society of Jesus, Jesuit Order, Jesuits)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엄밀한 학문과 사도적 열성으로 알려진 수도회이다. 이 수도회는 1539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에 의해 창립되어 1540년 교황 바오로 3세로부터 정식 승인을 받았다. 선교사 지원 활동, 복음화, 연구와 교육의 분야에서의 활동으로 명성이 높다. 널리 알려진 예수회 수도사로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피에르 파브르가 있다. 예수회는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그들의..

[웹북] 콘클라베

콘클라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1492년 처음 콘클라베가 이루어졌으며, 1878년 이후로 모든 콘클라베가 이 곳에서 행해졌다.콘클라베(라틴어: conclave)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제도로, 교황 선종시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단이 소집되어 진행되는 교황 선출 비밀 회의를 말한다.라틴어의 cum(함께), clavis(열쇠)의 합성어인 ‘쿰 클라비’(cum clavis)에서 유래하였으며 ‘열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한다. 선거인단인 추기경들이 외부와 차단된 비밀 투표장인 시스티나 성당을 걸어 잠그고 그 안에서 선거를 하기 때문에 콘클라베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 교황 선출 방법은 시대마다 조금씩 변화가 있었다. 황제가 임명하는가 하면, 로마 귀족들간 협의로 선출하기..

[웹북] 아비뇽 유스 / 바빌론유수

아비뇽 교황청아비뇽 유수아비뇽 유수(-幽囚, Avignon Papacy)는 14세기 당시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던 서방교회의 교황청을 신성 로마 제국이 강제적으로 프랑스 남부 아비뇽으로 옮겨 1309년부터 1377년까지 머무르게 한 사건을 말한다. 고대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에 빗대어 쓰인 표현이다. 약 70년 동안 머물렀으며 그 시기에 모두 7명의 교황이 아비뇽에서 생활하였다. 교황청을 다시 로마로 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유럽사회에 빗발치자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1377년에 로마로 교황청을 이전하며 아비뇽 유수를 종식시켰다. 경과필리프 4세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대립이 있던 중에 1303년 9월 7일 프랑스군이 이탈리아 아나니의 별장에 있던 교황을 습격한 아나니 사건이 발생하였다.교황 보니파시..

[웹북] 서방교회 대분열 (1378–1417)

서방교회의 분열을 상징화한 14세기의 세밀화.서방교회 대분열날짜 1378–1417년장소 서방 기독교 국가 (주로 유럽)결과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임기와 그 후 몇 년간인 1417–1429년 동안 안정화.교전국 아비뇽 교황청지지 세력: 프랑스 / 아라곤 연합왕국 / 카스티야레온 / 스코틀랜드 / 나바라 / 나폴리 / 시칠리아 / 보헤미아 연합왕국 / 키프로스 / 사보이아 / 부르고뉴 / 브르타뉴 / 로도스 기사단 / 웨일스 반군 / 포르투갈 / 푸아 / 아르마냐크 로마 교황청지지 세력: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 잉글랜드 / 아일랜드 / 헝가리 / 플랑드르 / 베네치아 / 신성 로마 제국 / 폴란드 / 리투아니아 / 덴마크 / Norway / 스웨덴 / 튜튼 기사단 / 포르투갈 / 아키텐..

[웹북] 동서교회의 대분열 (1204)

동서교회 대분열동서교회 대분열(영어: East–West Schism)은 4세기부터 이어진 전통인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지역 교회의 연합체인 공교회(보편교회)의 분열이었다.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교회의 서방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교회의 동방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한다. 이에 대해 입장은 서로 나뉘는데, 동방교회의 입장은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서방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며, 서방교회 입장은 동방 교회와 분리된 것으로 이해한다. 11세기의 분열은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과 동로마 제국의 정치적 실리를 위한 협상의 일환이었고, 동서 교회는 이후로도 상호 협력과 지원을 하곤 했다. 실제적인 분열은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