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전쟁사 [웹북] <전공학습> 24

[웹북] 30년 전쟁 (1618~1648)

유럽 종교 전쟁의 일부전쟁의 엄청난 비극, 프랑스 화가 자크 칼로의 그림. 1632년 작.30년 전쟁날짜 1618년 5월 23일 ~ 1648년 10월 24일장소 유럽, 주로 독일결과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프로테스탄트의 종교 인정네덜란드 공화국과 스위스 서약동맹의 독립 인정스웨덴 제국, 프랑스 왕국 및 잉글랜드 왕국의 성장봉건 제도의 쇠퇴신성 로마 제국의 지방 분권화프랑스-스페인 전쟁이 1659년까지 지속가톨릭 교회의 영향력 및 세력 쇠퇴독일 인구의 3분의 1에서 3분의 2 사망독일 연방 제후국 파괴 교전국프라하 조약 이전:보헤미아 왕국 보헤미아 왕국팔츠 선제후국 팔츠 선제후국네덜란드 공화국 네덜란드 공화국헤센카셀 방백국 헤센카셀 방백국덴마크-노르웨이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제국 스웨덴 제국사보이아 공국 사..

[웹북]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일부 / 델로스 동맹 지도날짜 기원전 460년 – 445년장소 그리스 본토결과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정립 교전국델로스 동맹 (아테네 주도)아르고스 펠로폰네소스 동맹 (스파르타 주도)테바이 지휘관페리클레스 / 키몬 / 레오크라테스 / 톨미데스 / 뮈로니데스 / 카르니오스 플레이스토아낙스 / 니코데모스 타나그라 - 오이노피타 - 제2차 신성 전쟁 - 코로네이아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First Peloponnesian War, 기원전 460년 - 기원전 445년)는 스파르타가 맹주를 맡고 있는 펠로폰네소스 동맹과 다른 동맹국(보이오티아 등)과 아테네가 맹주를 맡고 델로스 동맹 사이에서 싸운 전쟁이다.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스파르타와 아테네 간에 〈삼십년 평화 조..

[웹북]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원전 460~404)

기원전 460년 시작된 전쟁에 관해서는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 문서를 보십시오.펠로폰네소스 전쟁펠로폰네소스 전쟁날짜 기원전 431년경 ~ 기원전 404년 4월 25일장소 그리스 본토, 소아시아, 시칠리아결과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승리, 델로스 동맹 해체 교전국델로스 동맹 (아테네 주도) 펠로폰네소스 동맹 (스파르타 주도)지휘관페리클레스 / 클레온 / 니키아스 / 알키비아데스 / 데모스테네스 아르키다모스 2세 / 브라시다스 / 뤼산드로스 / 알키비아데스피해 규모4,130+ 전사 2,256+ 전사 펠로폰네소스 전쟁펠로폰네소스 전쟁(Πελοποννησιακός Πόλεμος)은 기원전 431년에서 404년까지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네 주도의 델로스 동맹과 스파르타 주도의 펠로폰네소스 동맹 사이에 일어난 전쟁이다..

[웹북] 이오니아 반란 (기원전 499년~493년)

이오니아 반란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일부 소아시아 내의 이오니아의 위치날짜 기원전 499년~493년장소 소아시아, 퀴프로스결과 페르시아 제국의 승리페르시아가 이오니아와 퀴프로스를 다시 회복함. 교전국이오니아, 아이올리스,도리스, 카리아아테나이, 에레트리아,키프로스 페르시아 지휘관아리스타고라스,카로피노스,헤르모판토스,에우알키데스†,멜란티오스포카이아의 디오뉘시오스히스티아이오스 메가바테스,아르타페르네스,다우리세스†,휘아메에스,오타네스,다티스이오니아 반란이오니아 반란이오니아 반란은 아이올리스, 도리스, 퀴프로스, 카리아가 관련된 반란이자 더불어 소아시아 지역의 그리스 여러 지방들이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으로 기원전 499년에서 기원전 493년까지 이어졌다. 이 반란의 중심에는 페르시아 제국이 통치를 위..

[웹북] 마라톤 전투 (기원전 490년 9월)

오늘날의 마라톤 평원마라톤 전투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일부날짜 기원전 490년 9월장소 그리스 이타카 북동부 마라톤결과 그리스의 결정적 대승리 교전국아테네 페르시아 제국 지휘관칼리마코스†밀티아데스 다리우스 1세 병력아테네 1만 명플라타이아이인 1000명총병력 1만 1000명 페르시아군 1만 5000명 피해 규모칼리마코스 등 192명 전사 6400명 전사마라톤 전투는 기원전 490년 제1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 아테네의 칼리마코스와 밀티아데스가 지휘하는 아테네군이 마라톤 평원에서 페르시아군을 무찌른 전투로, 이 전투에서 올림픽 경기의 마라톤 경주가 유래되었다. 배경그리스는 기원전 6세기 이래 번영을 구가해 왔으며, 소아시아에 식민지를 갖고 있었다. 한편 동방에서는 페르시아가 통일제국을 형성하여 팽창정..

[웹북]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년경 - 기원전 449년경)

당시 전쟁 상황도그리스-페르시아 전쟁날짜 기원전 499년경 - 기원전 449년경장소 그리스 본토, 소아시아,퀴프로스, 이집트결과 페르시아의 패퇴 교전국고대 그리스아테나이스파르타테바이테스피아이이오니아 동맹고대 키프로스아케메네스 제국고대 그리스 속국할리카르나소스테살리아보이오티아테바이마케도니아 왕국 지휘관고대 그리스 속국밀티아데스테미스토클레스레오니다스페리클레스키몬다리우스 1세마르도니오스다티스아르타페르네스크세르크세스 1세 그리스의 역사에게해 해안의 해안국가들을 휩쓸었고 육군은 헬레스폰토스 해협을 건너 트라케와 마케도니아로 진군해 들어가서 복속시켰다. 그러나 아토스산에서 페르시아 해군 선단은 폭풍을 만나 몰살했는데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300척의 배가 침몰하고 20,000명의 병사가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마르도니..

[웹북] 일본의 전쟁 범죄

1938년 쉬저우에서 일본군에 의해 학살된 중국인들일본의 전쟁 범죄(日本- 戰爭犯罪, 일본어: にほんの せんそうはんざい, 영어: Japanese war crimes)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 일본 제국에 의해 자행된 일련의 전쟁 범죄를 지칭한다. 일본 내에서는 우익 정치의 영향으로 극동 국제 군사 재판(IMTFE)만을 한정하여 의미를 축소해석하기도 한다. 몇몇 전쟁 범죄는 19세기 말 일본 제국의 군 인사들에 의해 자행됐으며, 대부분이 쇼와 시대 초에 일어났고, 1945년 일본의 항복까지 계속되었다.난징 시민들을 생매장하는 일본군민간인 학살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군은 중국, 만주, 한반도, 동남아시아, 태평양 군도에서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 대표적으로 중국에서 민간인들을 집단살해..

[웹북] 태평양 전쟁 (1941~1945)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태평양 전쟁 몽타주태평양 전쟁날짜 1941년 12월 7일 ~ 1945년 9월 2일장소 태평양, 북아메리카, 중국, 동남아시아결과 연합국의 승리 연합국의 일본 점령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에서 전쟁 발발유엔의 남양 군도 신탁 통치소련의 쿠릴열도 병합만주국과 몽강국, 일본 제국 등의 멸망 교전국연합국 중화민국미국영국 소련 (1945)일본 제국 지휘관미국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해리 S. 트루먼중화민국 장제스중화민국 마오쩌둥영국 윈스턴 처칠영국 루이 마운트배튼소련 이오시프 스탈린일본 제국 히로히토일본 제국 스기야마 하지메일본 제국 도조 히데키일본 제국 야마모토 이소로쿠일본 제국 우메즈 요시지로일본 제국 나가노 오사미 병력중화민국 14,000,000미국 3,621,383+ (194..

[웹북] 일본의 전쟁 범죄

1938년 쉬저우에서 일본군에 의해 학살된 중국인들일본의 전쟁 범죄일본의 전쟁 범죄(日本- 戰爭犯罪, 일본어: にほんの せんそうはんざい, 영어: Japanese war crimes)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 일본 제국에 의해 자행된 일련의 전쟁 범죄를 지칭한다. 일본 내에서는 우익 정치의 영향으로 극동 국제 군사 재판(IMTFE)만을 한정하여 의미를 축소해석하기도 한다. 몇몇 전쟁 범죄는 19세기 말 일본 제국의 군 인사들에 의해 자행됐으며, 대부분이 쇼와 시대 초에 일어났고, 1945년 일본의 항복까지 계속되었다. 포로 대우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의 연합군 포로 대우는 매우 잔인했다. 특히 인도차이나 전쟁에서는 절대다수의 포로들이 교량 건설, 기지 건설 등의 노동에 동원되었다. 이 과정에서..

[웹북] 겨울 전쟁 (1939~1940)

겨울 전쟁겨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날짜 1939년 11월 30일 ~ 1940년 3월 13일장소 동부 핀란드결과 소련군이 승리했으나 피해가 심함핀란드 국경 영토 상실 / 모스크바 평화 조약 / 소련이 국제 연맹에서 축출됨 / 계속 전쟁으로 새로운 전쟁 시작교전국핀란드 / 해외 자원군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이탈리아 왕국 / 헝가리 왕국 / 미국 / 폴란드소련 소비에트 연방 / 핀란드 민주공화국지휘관핀란드 퀴외스티 칼리오 / 핀란드 리스토 뤼티 / 핀란드 만네르헤임 남작 소련 이오시프 스탈린 /  오토 쿠시넨 항복 / 소련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소련 키릴 메레츠코프 / 소련 세묜 티모셴코 / 소련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소련 레오니트 고보로프병력병력 337,000–346,5..

[웹북] 스탈린그라드 전투 (1942~1943)

스탈린그라드 전투동부 전선의 일부스탈린그라드의 상징인 바말리 분수. 1943년 촬영스탈린그라드 전투날짜 1942년 8월 21일 ~ 1943년 2월 2일장소 소련 스탈린그라드결과 소련의 결정적인 승리 / 독일 제6군의 궤멸 / 소토성 작전을 비롯한 소련군의 반격 작전 시작교전국나치 독일 / 루마니아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헝가리 왕국 /  크로아티아 독립국 / 소련지휘관나치 독일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항복 / 나치 독일 에리히 폰 만슈타인 / 나치 독일 하인츠 구데리안 / 나치 독일 볼프람 / 폰 리히트호펜 / 나치 독일 헤르만 호트루마니아 왕국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 루마니아 왕국 콘스탄틴 콘스탄티네스쿠이탈리아 왕국 이탈로 가리볼디 / 헝가리 왕국 구스타브 야니 / 크로아티아 독립국 빅토르 파비치치..

[웹북] 레닌그라드 전투 (1941~1944)

레닌그라드 포위전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의 일부1942년, 포위전 중 네브스키 프로스펩트 대로의 레닌그라드 시민. 레닌그라드 포위전 날짜 1941년 9월 8일 ~ 1944년 1월 27일 / 2년 4개월 19일장소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SFSR 레닌그라드결과 소비에트 연방의 승리교전국 나치 독일 /  핀란드 /  이탈리아 왕국 / 스페인 청색 사단 소련지휘관나치 독일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나치 독일 게르그 폰 퀴흘러핀란드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스페인 아우구스틴 무뇨스 그란데 소련 마르키안 포포프 / 소련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소련 게오르기 주코프 / 소련 이반 페드닌스키 / 소련 미하일 호신 / 소련 레오니트 고보로프피해 규모포위전: 미상소련의 공세: 140,739명 이상 사상 붉은 군대..

[웹북]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 / Иосиф Сталин / იოსებ სტალინი이오시프 스탈린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서기장임기 1922년 4월 3일 ~ 1952년 10월 16일전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책임서기 직함)후임 니키타 흐루쇼프(제1서기 직함)소련의 국무회의 의장임기 1941년 5월 6일 ~ 1953년 3월 5일전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후임 게오르기 말렌코프대통령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소련의 군무상임기 1946년 3월 15일-1947년 3월 3일전임 이오시프 스탈린(군무인민위원)후임 니콜라이 불가닌대통령 니콜라이 슈베르니크총리 이오시프 스탈린소련의 군무인민위원임기 1946년 2월 25일-1946년 3월 15일전임 이오시프 스탈린(국방인민위원) /니콜라이 쿠즈네초프(해군인민위원)후임 이오시프 스탈린..

[웹북] 아돌프 히틀러

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1938년 아돌프 히틀러의 초상 사진 총통기(지도자 겸 국가수상 상징기)아돌프 히틀러 (간략소개)독일국의 지도자 겸 국가수상히틀러 내각임기 1934년 8월 2일 ~1945년 4월 30일전임 파울 폰 힌덴부르크 (국가대통령)후임 카를 되니츠 (국가대통령)부수상 헤르만 괴링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독일국의 수상히틀러 내각임기 1933년 1월 30일 ~1945년 4월 30일전임 쿠르트 폰 슐라이허후임 요제프 괴벨스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부수상 프란츠 폰 파펜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수임기 1921년 6월 29일 ~1945년 4월 30일전임 안톤 드렉슬러후임 마르틴 보어만나치 독일 독일국의 제3대 육군최고지휘관임기 1941년 12월 19일 ~1945년 4월 30일전임..

[웹북] 윈스턴 처칠

윈스턴 처칠 / Winston Churchill 윈스턴 처칠 영국의 제42대 총리임기 1940년 5월 10일~1945년 7월 26일전임 네빌 체임벌린(제41대)후임 클레멘트 애틀리(제43대)영국의 제44대 총리임기 1951년 10월 26일~1955년 4월 7일전임: 클레멘트 애틀리(제43대)후임: 앤서니 이든(제45대)신상정보출생일 1874년 11월 30일 / 출생지 영국 옥스퍼드셔주 우드스톡사망일 1965년 1월 24일(90세) / 사망지 영국 런던학력 해로우 스쿨 / 영국 육군사관학교 /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 아르헨티나 육군군사참모대학교정당 보수당(1900~1904) / 자유당(1904~1924) / 보수당(1924~1964)배우자 클레멘타인 처칠종교 성공회 → 불가지론윈스턴 레너드 스펜서처..

[웹북] 주축국의 부역 (2차세계대전)

추축국 부역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의 영향 국가에서, 일부 시민은 민족주의, 타민족 증오, 반공주의, 반유대주의, 기회주의 또는 잠재적 사망 원인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추축국에 대한 부역을 했다. 이들 중 일부의 부역은 홀로코스트 등 최악의 범죄와 만행이 된다.부역은 충돌 없이 진정하게 점령된 민간인이 원거리에서 무역 조직, 생산, 무장 세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삼국 동맹 조약의 지휘하에 싸우는 특별한 병력이 있다.부역을 위한 조건 사항나치는 모두가 동등한 부역을 고려하지 않았다. 밀접하게 관련된 국가도 인종 정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유대인은 모든 인종 중 최악으로 간주하고 협력에 부당하다고 생각하고, 일부는 강제 수용소에서 카포를 통해 수용자를 감시 및 질서 유지를 시행했다. 또 다..

[웹북] 나치독일 (1933~1943)

나치 독일독일국 (1933년~1943년)대독일국 (1943년~1945년)Deutsches ReichGroßdeutsches Reich1933년~1945년 국기국기(1935년 ~ 1945년)문장국장 (1935년 ~ 1945년)표어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 /(독일어: 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나치 독일이 최대 영토를 장악하던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말) 기간의 영토 독일국 (진한녹색) 민정청 관리 점령지 (연두색) 군정청 관리 점령지 (흐린연두색)수도 베를린 북위 52° 41′ 동경 13° 24′최대도시 베를린정치정치체제 나치즘 일당제 전체주의 / 퓌러 아돌프 히틀러역사 • 건국 1933년 2월 27일 • 해체 1945년 5월 23일 • 멸망 ..

[웹북]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1951.9.8)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Treaty of San Francisco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서명하는 요시다 시게루 총리 및 이케다 하야토, 도마베치 기조, 호시시마 니조, 도쿠가와 무네요시, 및 이치마타 히사토.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유형 종전 조약서명일 1951년 9월 8일서명장소 샌프란시스코 전쟁기념 공연예술 센터발효일 1952년 4월 28일조약번호 1952년 조약 제5호언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주요내용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일본 사이의 평화 조약관련링크 대일평화조약협상 전문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講和條約, 영어: Treaty of San Francisco, Treaty of Peace with Japan, San Francisco Peace Treaty, 일본어: 日本国との平和条..

[웹북] 독일의 재통일

독일의 재통일독일의 역사 Geschichte Deutschlands독일의 재통일(獨逸의 再統一, 독일어: Deutsche Wiedervereinigung 도이체 비데르페라이니궁[*], 영어: German reunification)은 1990년 10월 3일 과거 독일 민주 공화국에 속하던 주들이 독일 연방 공화국에 가입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실질적으론 멸망한 독일민주공화국의 영역을 독일연방이 흡수 통일한 것이다. ‘재통일’이라는 단어는 1871년 독일 제국의 성립(독일의 통일)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같은해 3월 18일 처음으로 실시한 자유 선거로 뽑힌 독일민주공화국의 정부는 독일연방공화국과 독일을 점령했었던 네 나라 사이에 이른바 독일관련 최종해결에 관한 조약 (2+4 조약)을 맺어서 통일 독일의 ..

[웹북 ] 소련붕괴

소련의 붕괴소련의 붕괴날짜 1988년 11월 16일~1991년 12월 26일~188위치 소련참여자 소련인, 소련 정부, 자치 공화국 정부결과 소련의 해체 및 신생 독립국 수립냉전의 종식1. 아르메니아 / 2. 아제르바이잔 / 3. 벨라루스 / 4. 에스토니아 / 5. 조지아 / 6. 카자흐스탄 / 7. 키르기스스탄 / 8. 라트비아 / 9. 리투아니아 / 10. 몰도바 / 11. 러시아 / 12. 타지키스탄 / 13. 투르크메니스탄 / 14. 우크라이나 / 15. 우즈베키스탄동구권소련의 붕괴(러시아어: распад СССР)는 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42-Н 선언으로 일어났다. 이 선언문은 모든 소련의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며 독립국가연합(CIS) 수립을 허용하는 안이었다.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