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평화역사여행 [웹북] <국내해설>/1.국토지리관광 (지명해설) 10

[웹북] 간도

간도간도 간도 (間島, 중국어 간체자: 间岛, 병음: Jiāndǎo 젠다오)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다.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기도 한다. 간도(間島)는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사이섬(사잇섬)으로, 그 어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그 가운데 '사잇섬'이란 말 뜻에 비추어 '간도'가 본래는 압록강과 두만강의 하중도(河中島)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가 두 강의 북안(北岸)을 가리키는 말로 그 의미가 확장·변형된 것이라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19세기 말, 조선과 청나라가 백두산정계비에..

[웹북] 우산국 (?~1022)

역사역사서에 첫 등장대마도 왜국과 결혼동맹신라의 복속신라에서 통행 금지고려에 복속 그리고 여진족 해적의 침입과 멸망 우산국 / 于山國?~1022년 → 정치왕 ?~? 우해왕 역사 • 512년 6월 신라에 복속 • 930년 8월 고려에 복속 • 1018년 11월 여진족 해적의 침입 • 1022년 고려에 흡수 기타현재 국가 대한민국 우산국(于山國)은 원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현재의 경상북도 울릉군인 울릉도와 부속섬을 다스리던 나라다. 역사 울릉도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역사서에 첫 등장 심청전 배경이 된 곳 문서를 참고하십시오.244년 왕기가 위궁을 토벌하러 옥저 동해안에 도착했고 노인에게 동해에 사람이 사느냐 물으니 바다 동쪽에 섬이 있고 사람이 살고 있으나 여자만 있고 해마다 칠..

[웹북] 독도

다른이름: 리앙쿠르 암초, / 다케시마(일본 주장),우산도, 가지도, 삼봉도, 호넷 섬북쪽에서 본 독도. 왼쪽이 동도, 오른쪽이 서도..지리위치 동해좌표 동도 북위 37° 14′ 26.8″ 동경 131° 52′ 10.4″서도 북위 37° 14′ 30.6″ 동경 131° 51′ 54.6″ 구성 도서 91개 섬주요 도서 동도(東島) · 서도(西島)면적 동도 73,297m² / 서도 88,740m²기타 암초 25,517m²총 187,554m²최고점 서도 대한봉 168.500m 실효 지배대한민국도 경상북도군·읍·리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영유권 주장일본현 시마네현군·정 오키군 오키노시마정 독도독도(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위치한 섬 또는 암초이다. 리앙쿠르 암초(영어: Liancourt..

[웹북] 독도의 역사

독도의 역사 / 17세기 이전약 460~250만여 년 전에 생성된 하나의 섬이었으나, 동해의 해수면 상승으로 두 섬으로 나뉘었다. 4세기 경에 만들어진 신라 양식의 토기가 울릉도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울릉도 주민들이 신라와 교류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릉도 사람들은 어업을 주로 하였으며, 울릉도에서는 주변에 풍부한 어장을 보유한 독도가 보였으므로, 당시에도 울릉도 사람들은 이 섬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덧붙여 독도는 울릉도에서 청명한 날 맨눈으로 보이는 가시거리에 있다.이로 추정해 보자면, 울릉도에 살았던 거주민들이 누구보다도 먼저, 이 섬을 발견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삼국시대 및 그 이전서기 512년(신라 지증마립간 13년) 6월 신라의 이사부가 우산국(또는 울릉도)을 항..

[웹북] 강화도

마니산에서 본 강화도 강화도위치 황해좌표 북위 37° 42′ 동경 126° 26′면적 302.6 km2최고점 마니산, 469 m 행정 구역대한민국시 인천광역시군 강화군인구 통계인구 62,021명(2016.12.31. 기준)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다.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넓은 섬으로, 면적은 302.6 km2이다.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속해 있으며, 동쪽으로 경기도 김포시와 도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고려 때에는 몽골 제국의 침략 당시 39년간 임시수도의 역할을 했다고 추정하나 왕성터등의 흔적은 발견된 적이 없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와, 단군왕검이 세 아들을 시켜 쌓았다는 삼랑성과 사적 제136호로 지정된 참성단과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성당인 성공..

[웹북] 공화춘 (1912~1983) - 짜장면박물관 개관 2012.4

인천 선린동 공화춘 (仁川 善隣洞 共和春)공화춘종목 국가등록문화재 (구)제246호 (2006년 4월 14일 지정)면적 846.26m2수량 1동시대 대한제국소유 인천광역시 중구청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 56-14, 38-2 (선린동) 공화춘공화춘(共和春)은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에 위치하는 옛 중화요리 식당 건물이며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46호이다. 1912년에 개업한 공화춘은 대한민국에서 짜장면을 최초로 개발하여 판매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식당은 1983년에 폐업하였고, 2012년 4월에 같은 건물을 짜장면 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쓰고 있다. 역사1883년에 인천의 개항과 더불어 현재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 일대에는 청나라 조계지가 설치되었다. 공화춘 건물은 청나라 조계지에 1908년 무렵..

[웹북] 인천 차이나 타운

인천 차이나타운Chinatown, Incheon인천 차이나타운 제1패루 '중화가'유형 차이나타운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 및 선린동 일대설립일 1884년경 인천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은 인천역 앞에 있는 차이나타운이다. 중국 음식점이나 기념품 등을 파는 상점이 많은 편이다. 화교중산학교가 있다. 매년 9월과 10월엔 각각 인천-중국의날 문화축제와 짜장면 축제가 열린다. 1883년 인천항 개항 후 1884년에 만들어진 중국(청나라) 조계지에 화교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되었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특이하게 산둥 출신이 중심을 이룬다.1930년대 인천항의 지도역사조선 말 청나라 사람들이 대거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임오군란 때였다. 임오군란이 일어나 조선의 정세가 급변하자 청은 조선의 공식 요청이 없었는데도 산둥..

[웹북] 낙화암

낙화암 (落花岩)대한민국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낙화암 종목 문화재자료 제110호 (1984년 5월 17일 지정) / 면적 2,574m2 / 시대 백제위치낙화암(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되었다.개요백제 의자왕 20년(660년) 나(羅)·당(唐)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될 때, 백제의 3천 궁녀가 이곳에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몸을 던졌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바위이다. 그러나 실제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삼천 궁녀가 뛰어들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낙화암은 삼천 궁녀가 다 올라갈 수 없을 만큼 좁다낙화암 절벽 ..

[웹북] 부여 부소산성

부여 부소산성  (扶餘 扶蘇山城) / (Busosanseong Fortress, Buyeo)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사적종목 사적 제5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 면적 983,598m2 / 시대 삼국 시대 / 소유 국유위치 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백제역사유적지구 / 부소산성 /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어명* Baekje Historic Areas / 프랑스어명* Aires historiques de Baekje등록 구분 문화유산 / 기준 (ⅱ), (ⅲ) / 지정번호 1477지역** 아시아·태평양지정 역사2015년 (제39차 정부간위원회)*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유네스코에 ..

[웹북] 백두산 / 백두산 정계비

백두산(白頭山) 백두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삼지연시 /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바이산시,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 부모 산맥 백두대간, 창바이 산맥, 마천령산맥 / 지질 / 산 형태 성층 화산 / 최종 분화 1903년 또는 1925년백두산(白頭山)은 조중 국경(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국경)에 있는 화산이다. 중국에서는 창바이산(중국조선어: 장백산, 중국어 간체자: 长白山, 정체자: 長白山, 통용 병음: Chángbái shān)이라 불린다. 한민족에게는 민족의 영산으로 숭앙되어 왔으며, 환웅이 무리 3,000명을 이끌고 제사를 열었다는 태백산과 동일시되기도 한다.높이는 2,744m(9003ft)로,[3][4]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산머리가 1년 중 8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는데다가 흰색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