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한국근대사 연구 (독서)/3.식민지조선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2021) -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1) / 조선 전력 정책의 수립과 운영(2)

동방박사님 2023. 3. 16. 08:04
728x90

책소개

1899년 9월 18일 한반도에서도 경인선이 개통되며 철도의 시대가 그 막을 올렸다. 그러나 1945년 8월 해방에 이르기까지, 철도는 조선 또는 조선인 본위로 운영되지 못했다. 일제의 지배 아래에서 조선의 철도는 일본제국의 지배와 침략을 위한 목적에서, 대륙으로 군대와 물자를 수송하는 침략로이자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자원과 인력을 동원하는 수탈로로 활용되었다. 본 자료집은 일제하 한국철도의 구상과 정책, 건설과 운영, 그 결과와 영향에 관한 방대한 자료 중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핵심 자료를 선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명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제하 철도 형성의 역사와 침탈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6
편역자서문 12

I 관련 신문 기사 17
[해제] 18
1 일본 · 일본인 본위의 철도 개발 비판 23
2 조선 · 조선인 본위의 철도 개발 요구 54
3 철도와 저항 90
4 철도와 고용 차별 104
5 철도와 사고 117
6 철도와 통학 123
7 철도와 전쟁 131
8 철도와 관광 140

II 실행 계획과 내용 145
[해제] 146
1 한국병탄 직후 일본의 대륙침략 구상과 조선철도계획 161
2 1910년대 일본 육군의 만주침략 구상과 조선철도의 만철 위탁경영 170
3 1920년대 자원 수탈을 위한 철도정책으로의 전환 187
4 1920년대 조선철도12년계획의 구상과 수립 194
5 1931년 만주사변의 발발과 북선철도계획의 수립 339
6 전시하 일본제국의 연락 강화와 조선철도 구상 344
7 일제하 조선철도의 시기별 주요 정책과 그 시행 353
8 일제하 조선철도의 각 노선별 건설과 개량 391
9 일제하 조선철도의 영업 447
10 일제하 조선철도의 수입과 지출 485
11 일제하 조선철도의 운영 기구와 조직 500
12 전시 말 조선철도의 재편 553
13 해방 직전 조선철도의 실태 566

III 관련 법령579
[해제] 580
1 조선총독부철도국관제 581
2 조선총독부철도국사무분장규정 605
3 조선국유철도건설규정 627
4 조선사설철도보조법 637

IV 실행 결과 643
[해제] 639
1 조선철도의 운영 양상 646
2 조선철도의 투자 규모와 개업 현황 652
3 조선철도의 재정 상태 669

자료목록 679
참고문헌 689
찾아보기 693
 

저자 소개

저 : 양지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박사 논문, 2020), 「근현대 한국의 광업 개발 과 ‘공해’라는 느린 폭력」(『역사비평』 134, 2021), 「일제하 기업의 항만 개발과 ‘번영’의 동상이몽」 (『역사와 현실』 117, 2020) 등

저 : 박우현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강사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교통으로 본 일제시대(동북아역사재단, 2021), 대공황 초기 조선사업공채 정책과 궁민구제토목사업의 축소(1929~1931)(역사문제연구 49, 2022), 1910~20년대 聞慶의 근대교통 도입과 店村의 부상(영남학 78, 2021)
저 : 김태현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신의주-안동’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한국사연구』 183, 2018), 「‘신의주-안동’ 지역 밀무역 단속의 변화와 밀수출품 운반업자의 대응(1929~1937)」(『한 국문화』 89, 2020),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 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 재생산」(『아세아연구』 64, 2021) 등
 

책소개

이 자료집은 일제시기 조선 전력 정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전력 산업을 구성하는 각 부문의 전개 과정과 사회적 실태에 관한 방대한 자료 중 중요 자료를 주제별로 선별하여 수록했다. 한반도에서 전기가 사회와 경제 전반에 스며든 때는 일제시기였다. 이 기간 조선의 전력산업은 소규모 화력발전을 대신한 대규모 수력발전의 개발에 힘입어 발전력이 크게 팽창했다. 그러나 전력 정책과 연동된 전력산업의 외형적 성장은 조선인 사회와는 무관한 일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전력통제 정책은 발·송전과 배전 부문을 장악한 일본 전력기업의 충분한 이윤 획득을 보장하고 종국에는 침략전쟁과 연계된 군수공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당대의 실상을 드러내는 이들 자료를 통해 일제시기에 형성된 전력체계의 식민성과 침탈적인 면모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I 관련 신문기사

해제
1 전력 개발에서 일본인 기업에 대한 특혜와 노동자·지역 사회에 대한 비용 전가
2 식민지 전기 부영화 운동과 실패
3 식민지의 일상과 전력 사용의 민족·계층별 차별: 동력, 전등, 전차

II 실행 계획과 내용

해제
1 1. 1910년대 소규모 일본인 전기회사의 성립과 ‘1지역 1회사’ 기조의 지역 독점체제 구축
2 1920년대 전기 공영화 운동 전개와 전기회사 측의 ‘반(反)공영’적 인식
3 1930년대 초 전후 전력정책 전환과 독점기업 및 ‘북선’ 지역 중심의 조선총독부 발·송전 사영(私營)계획
4 1930년대 초 사영 회사에 의한 배전 통제 수행과 조선인 상공업자의 이해관계 배제
5 전시체제기 전력정책의 국가 통제로의 전환과 일본 독점기업 위주의 조선전업주식회사 설립과정
6 전시체제기 전력사업 발전량 증대의 이면으로서 조선인 차별·배제: 공공 수요의 차별, 수몰지구 개발 난민 등장, 노동력 동원

III 관련 법령

해제
1 전력정책 전환 이전 전기 관련 법령
2 전력정책 전환기 발전·송전·배전 형태 관련 법령
3 총동원체제기 통제 강화 법령
4 국책회사 중심 전력체계 재편성 법령

IV 실행 결과

해제
1 일제시기 전력사업 규모의 양적 변화
2 일제시기 전력사업 규모 변화의 편향성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