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3.재일조선인

재일 조선인과 암시장

동방박사님 2022. 4. 9. 17:33
728x90

책소개

전쟁 말기 강제 연행되어 주로 군수산업에 종사했던 많은 수의 조선인들은 급작스런 패전 선언 이후 실업자가 되었고, 식량과 물자 부족 사태 속에서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굶주림과 궁핍을 겪어야만 했다. 필자가 연구의 축으로 삼았던 암시장은 이 시기 민중들의 일상 체험이었고, 약육강식의 동물적 본능만이 생존을 기약하는 공간이었다. 일본인들이 씁쓸하게 인정하듯 ‘악의 온상’이지만 ‘필요악’이기도 했다. 민족과 계층을 초월해 패전의 실존적 의미가 공유되었던 암시장은 일본의 전후가 정리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고금을 막론하고 전후의 민중들에게 최소한의 도덕적 가치관이나 행동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본인들의 전후의식은 식민지 ‘이등국민’에서 하루아침에 신분이 바뀌어 ‘해방민족’ 행세를 하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비틀린 감정과 결부되었다. 점령군 지배하에서 전후 몇 달 동안 재일조선인에게 주어졌던 ‘한줌의 특권’에 대해 눈꼴 신 감정이 근저에 깔려 있었고, 식민지 압제에 대한 복수심으로 과격 행위를 자행하는 일부 조선인 청년들에게 향하는 괘씸한 감정은 식민지 멸시의식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쟁 수행의 주범들에게 향해야 할 분노는 자신보다 약하고 만만한 상대에게 집중되었고, 식민지 지배 수십 년간 그들보다 열등한 위치로 여겼던 재일조선인은 이를 발산하기 좋은 상대였다. 하지만 재일조선인들의 전후 각자도생(各自圖生)은 일본인과는 또 다른 조건의 실존적 일상이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3. 연구 자료와 내용의 구성

제2장 해방 후 재일조선인의 경제적 상황

1. GHQ/SCAP의 재일조선인 경제정책
2. 재일조선인의 생활 실태

제3장 재일조선인의 암시장 활동

1. 일본의 패전과 암시장
1) 전시기의 암거래
2) 전후 암시장의 발생과 양상
3) 암시장의 규모와 종사인원
2. 암시 관련 재일조선인의 양태
1) 가쓰기야(?ぎ屋 : 단신 운반업)
가. 기층 노동력으로서의 의의
나. 활동 방식
2) 판매업자
가. 물자의 유통 경로
나. 암시장의 운영 방식
3) 제조업체 경영자
가. 제조업의 전개
나. 주요 제조업 분야
3. 재일조선인의 주요 취급물자
1) 주요식량과 식품류
가. 미곡 및 신선식품
나. 엿과 육류·내장류
2) 밀조주
가. 밀조주의 확산
나. 제조 및 유통 방식
3) 의류 및 잡화류

제4장 재일조선인의 주요 상권과 갈등

1. 재일조선인의 주요 활동 시장
1) 도쿄 우에노 시장
가. 형성과 구도
나. 상권의 분리
2) 오사카 츠루하시·우메다 시장
가. 츠루하시 시장의 형성과 변용
나. 우메다 시장의 형성과 소멸
3) 고베 산노미야 시장
가. 형성과 운영
나. 국제시장의 건립
2. 갈등 발상지로서의 암시장
1) 치안·단속 문제와 재일조선인관
가. 암시장 단속
나. 밀조주 단속
다. 암시장을 통한 재일조선인관의 형성
2) 일본 암시장 조직과의 분규
가. 암시장 조직과의 갈등
나. 암시장 외부에서의 대립
3) 민족단체의 대응
가. 암시장 대책의 구상과 현실
나. 민족단체 내부의 분열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박미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일본 근현대사 전공)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한국 근현대사 전공)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재일코리안의 생활사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를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공저, 선인, 2014)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