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6 8

서울 혜화동 골목길 투어 (2025.2.16 (일)

한양도성과 혜화문헤화동은 한양도성의 동북부문이 혜화문(동소문)에서 유래되었다.혜화문(동소문)에서 유래 되었다. 혜화문은 원래 지금의 창경궁로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인 1928년 문루가 철거되고 1938년 석축마저 헐렸다. 혜화문 자리에는 도로가 개설되고 현재의 혜화눈은 1994년 지금의 위치에 복원되었다.

[웹북] 짜장면

짜장면 짜장면다른이름 자장면종류 국수코스 메인원산지 한국관련 나라별 요리 한국식 중국 요리주 재료 돼지고기, 양파, 양배추, 밀가루보통 사용되는 재료 감자, 호박, 해산물음식 에너지 (650g 음식 당) (간짜장 기준) 825 kcal짜장면(-醬麵) 또는 자장면(-醬麵)은 양파, 양배추 등 채소와 돼지고기에 기름으로 튀긴 춘장을 넣어 굵은 국수에 비벼서 먹는 한국식 중국 요리로, 짬뽕, 우동과 함께 대표적인 한국식 중국 요리로 꼽힌다. 짜장면은 중국의 자장몐이 한국식으로 변형된 것이다. 산동 요리를 기반으로 하는 대부분 한국식 중국 요리처럼 그 대표격인 짜장면은 인천이 시작점이다. 특징재료굵은 국수에 검은색에 가까운 양념을 얹어 비벼 먹는다. 국수 : 짜장면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늘려 만든 굵은 국수가락을..

[웹북] 공화춘 (1912~1983) - 짜장면박물관 개관 2012.4

인천 선린동 공화춘 (仁川 善隣洞 共和春)공화춘종목 국가등록문화재 (구)제246호 (2006년 4월 14일 지정)면적 846.26m2수량 1동시대 대한제국소유 인천광역시 중구청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 56-14, 38-2 (선린동) 공화춘공화춘(共和春)은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에 위치하는 옛 중화요리 식당 건물이며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46호이다. 1912년에 개업한 공화춘은 대한민국에서 짜장면을 최초로 개발하여 판매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식당은 1983년에 폐업하였고, 2012년 4월에 같은 건물을 짜장면 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쓰고 있다. 역사1883년에 인천의 개항과 더불어 현재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 일대에는 청나라 조계지가 설치되었다. 공화춘 건물은 청나라 조계지에 1908년 무렵..

[웹북] 대한제국 육군

맥심 기관총을 시연중인 외국 교관과 참관하는 대한제국 육군 병사대한제국 육군(大韓帝國陸軍, Korean Imperial Army)은 대한제국의 육군이었다. 편성1897년 10월 12일에 황제국이 되면서 기존에 조선군에서 대한제국군으로 바뀌었다. 1902년 10월에 최대 규모를 달성하였는데, 당시 주요 사령부와 부대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원수부 : 최고 사령부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 등의 부서로 구성호위대 : 대한제국 황실 경호 담당 (1개 대대 700명 규모)친위대 : 수도 한성부 방어 1차 편성 부대 (2개 연대, 4개 대대, 4,400명 규모)시위대 : 수도 한성부 방어 2차 편성 부대 (2개 연대, 7개 대대, 5,200명 규모)진위대 : 각 지역의 방어, 치안 담당 부대 (6개 연대, ..

[웹북] 대한제국 해군

초창기1892년에 조선 조정은 기존의 조선 수군을 대체할 새로운 근대식 해군의 양성을 위해 영국 총영사에게 교관 파견을 요청하였고, 1893년 3월에는 근대식 해군학교인 통제영학당을 설치하였다. 당시 처음으로 영국에서 파견된 군사 교관인 콜웰(W. H. Callwell) 예비역 해군대위와 조교로 온 커티스(J. W. Curtis) 하사가 교육을 맡게 되었으며, 1893년 9월에 사관생도 38명과 수병 3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일본을 비롯한 대외의 압박이 나타나면서 통제영학당은 오래 못가 1894년 11월에 폐교된다.대한제국의 군함 양무호대한제국이 성립된 이후에도 한동안 실질적으로 해군이 없다가 일본에서 1903년에 중고로 상선(석탄 운반선)을 한 척 구입하여 갑판에 대포를 얹어 군함..

[웹북] 광제호 (1904)

광제호대한제국의 군함 광제호광제호광제호(廣濟號)는 대한제국의 두 번째의 군함이다.배경이 군함이 건조된 것은 1904년(광무 8년) 11월이고, 무선전신시설이 장치된 것은 1910년 9월이다. 원래 근대식 군함 도입 추진은 1881년(고종 18)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공채를 모집하면서부터였다. 광제호는 새로운 군함 발주 계획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1904년에 건조되었다. 그러나 을사늑약 이후 군함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고 연안세관 감시선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미국공사 알렌이 정리한 외교사연표>(1904)에 "1902년 12월 - 한국정부가 등대감시 및 수송선 입출항시 세관순시 및 경비용으로 선박 1척을 일본으로부터 발주하였다"고 나와있다. 대금이 당시 돈으로 약 35만원이라고 기록해 놓은 구절이 있는데, 이는..

[웹북] 양무호 (1881: 1903~1907)

양무 揚武KIS Yangmu 함명 양무 揚武 KIS Yangmu함종 코르벳자매함 없음제작 레이튼 딕슨 앤 컴퍼니운용 대한제국 해군, 이후 일본제국 해군진수 1881년취역 1881년배치 1903년 4월 15일퇴역 1907년최후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러일 전쟁 기간 해군 신병의 연습함으로 사용가격 1,100,000원배수량 3,432 장톤 / (3,487t) (보통 적재)전장 105m선폭12.5m흘수 4.2m / 7.3 m (만재)설치동력 1,750 shp (1,300 kW)추진 증기 기관속력13.5 노트 (25 km/h; 15.5 mph)승조원 72명무장 4문 80mm 함포 / 2정 5mm 기관총양무호(揚武號)는 대한제국의 첫 번째 근대식 군함이었다. 배경1866년 병인양요를 시작으로 한반도를 공격해온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