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2.한국사일반

한국 사람 만들기 1 (2020) / 2권 (2021) - 친일개화파

동방박사님 2024. 6. 21. 23:06
728x90

책소개

『한국 사람 만들기』는 「한국 사람」의 계보학이다. 현대 한국인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친중위정척사파」, 「친일개화파」, 「친미기독교파」, 「친소공산주의파」, 「인종적 민족주의파」 등 다섯 가지 인간형의 정치적, 국제정치적, 사상적 배경을 추적한다. 총 6권으로 기획된 시리즈의 제 1권은 「서문」, 「조선 사람 만들기」, 「친중위정척사파」 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서문

제 1부 조선 사람 만들기 39

서론 40

제 1장 고려 사람 대 조선 사람 47
1. [장가가지 말고 시집가라] 48
2. 장가만 갔던 고려 사람들 52
3. 고려의 근친혼 풍습 61
4. 처가살이한 조선 사람들 64
5. 제사를 거부한 조선 사람들 67

제 2장 주자성리학의 정치경제 74
1. 중국의 강남 개발 76
2. 강남농법과 송의 경제혁명 85
3. 송대의 국가-시장 관계 90
4. 송의 영화 95

제 3장 선비의 탄생 103
1. 과거제도와 [사]의 탄생 105
2. 문학에서 도학으로 110
3. 주자와 강남농법 113
4. 사와 예의 부활 117
5. 사와 종법제도의 부활 121
6. 주자가례의 완성 126
7. 명의 대안 134

제 4장 조선의 혁명 139
1. 원과 고려: 주자학 문명 도입의 창구 140
2. 세종의 급진개혁 146
3. 조선의 농업혁명 153
4. 조선 향촌질서의 구축 157
5. 족보와 집성촌의 탄생 167

제 1부 결론 170

제 2부 친중위정척사파 177

서론 178

제 1장 병자호란과 명의 멸망 187
1. 명의 쇠퇴와 여진족의 등장 194
2. 누르하치의 부상 198
3. 팔기군의 탄생 200
4. 몽골의 항복과 요동함락 204
5. 청태종과 도르곤 209
6. 청의 성공요인 217

제 2장 청의 대륙정복과 중국 지식인들의 반응 227
1. 중국 지식인들의 반응 229
2. 황종희의 주자학, 양명학 비판 233
3. 고염무와 왕부지, 안원의 주자성리학 비판 238
4. 고증학의 태동 244

제 3장 청의 대륙정복과 조선의 대응 247
1. 소현세자: 닫히는 조선의 첫 희생양 250
2. 송시열과 [기축봉사] 260
3. 숭명반청이념의 체제화 267
4. 제 1차 예송 269
5. 제 2차 예송 279
6. 예송의 3가지 논점 280
7. 주자성리학 근본주의와 도통이론 288
8. 주자성리학 근본주의와 남존여비사상 294
9. 양주십일기의 기록 301

제 4장 천주교의 도전 307
1. 예와 신앙 309
2. 이익: 주자성리학과 천주교의 만남 316
3. 주자학적 금욕주의와 천주교의 침투 321
4. 정약용과 상제의 역할 332
5. 신앙으로써의 천주교 337
6. 강희제와 교황 클레멘트 11세의 제례논쟁 340
7. 조선의 전례논쟁과 제사거부 344
8. 천주교 박해의 시작: 신유박해 349
9. 황사영 백서 사건 355
10. 파리 외방선교회와 조선 선교의 시작 359
11. 기해박해와 프랑스함대의 출현 362

제 5장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의 난, 동치중흥 371
1. 제 1차 아편전쟁 374
2. 제 2차 아편전쟁 379
3. 베이징 함락과 원명원 약탈 384
4. 태평천국의 난과 후난학파 397
5. 상군의 결성 406
6. 상군의 성공요인 410
7. 상승군의 역할 417
8. 동치중흥의 실패 420

제 6장 위정척사파와 쇄국정책 425
1. 양이의 출현 427
2. 조선의 중국정세 정탐 430
3. 병인박해 433
4. 제너럴셔먼호 사건 441
5. 병인양요 446
6. 이항로의 척사사상 455
7. 신미양요 467

제 7장 위정척사파와 흥선대원군의 대립 483
1. 조선 경제의 모순 486
2. 조선 정치의 모순 494
3. 흥선대원군의 개혁 496
4. 마지막 선비 최익현 499
5. 왕도정치 대 부국강병 509
6. 고종의 친정과 조선 경제의 몰락 516

제 2부 결론 524

저자 소개 

저 : 함재봉 (咸在鳳)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92-2005),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UNESCO) 사회과학국장(2003-2005),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한국학연구소 소장 겸 국제관계학부 및 정치학과 교수(2005-2007), 랜드연구소 (RAND Corporation) 선임 정치학자(2007-2010), 아산정책 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2010-2019) 등을 역임했다. 미국 칼튼대학교(Carleton C...
 

책소개

『한국 사람 만들기』 시리즈는 '한국 사람'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다섯 가지 인간형의 정치적, 국제정치적, 사상적 배경을 추적한다. 이 책은 『한국 사람 만들기』 시리즈 중 제 2권으로 「친일개화파」가 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알아본다.

조선사람의 뇌리에 깊이 뿌리내린 반일감정과 '왜'에 대한 문화적 우월의식, 강력한 쇄국정책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에 이르면 일본을 새로운 문명의 기준으로 받아들이는 친일개화파가 출현한다. 오랫동안 중국을 문명의 축으로 생각해온 조선 사람들 사이에서 이는 놀라운 인식의 전환이었다. 이러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Copernican Revolution)이 가능했던 이유는 세계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게 성공적이었던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현장에서 직접 목격하고 배웠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을 보고 배우고자 하는 것은 어렵고 위험한 일이었지만 이들은 모든 역경을 극복하면서 급격한 근대화 과정을 겪고 있는 일본을 보고 배운다. 친일개화파들은 메이지유신이라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의 혁명을 성공적으로 주도한 일본의 정치인, 경제인, 사상가들과 직접 교류하면서 새로운 세계관과 국가관을 정립한다. 그리고 조선에서도 메이지유신과 같은 급진개혁을 추진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친중위정척사파와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에 입각한 온건개혁을 주장하던 친청파의 저항에 부딪히며 몰락한다.

목차

머리말 i
서론
북학파에서 개화파로 3
메이지 유신의 성공 요인 5
중화 질서에서 근대 국제 질서로 가는 일본 9
친일개화파의 좌절 11

제1장 메이지 유신
1. 에도 시대의 정치 19
2. 에도 시대의 경제 28
3. 에도 시대의 사상과 교육 38
4. 외세의 출현과 바쿠후 체제의 모순 74
5. 나라의 새 중심: 천황 83
6. 「개국」과 그 여파 94
7. 바쿠후와 조슈, 사쓰마의 개방 정책 114
8. 존황양이파의 등장 130
9. 조슈와 사쓰마의 대립 134
10. 「나마무기 사건(1862)」 142
11. 「시모노세키 전쟁」과 「사쓰에이 전쟁」 146
12. 사쓰마의 쿠데타와 조슈의 역쿠데타 151
13. 「제1차 조슈 정벌」 157
14. 조슈의 내전 164
15. 「삿초동맹」 169
16.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 179
17. 「선중팔책」과 「대정봉환」 183
18. 「보신전쟁」 189
19. 「판적봉환」과 「폐번치현」 210

제2장 메이지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1.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배경 235
2. 「이와쿠라 사절단」의 여정 263
3. 메이지 유신 세력의 분열과 「정한론」 274
4. 조일 관계의 뇌관(雷管): 쓰시마 279
5. 기도 다카요시의 「정한론」 288

제3장 「중화 질서」에 도전하는 일본
1. 「청일수호조약」의 체결 300
2. 「기유약조 체제」의 해체 310
3. 류큐와 대만 문제 313

제4장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1.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330
2. 오쿠보 대 사이고 336
3. 「사가의 난」 349
4. 「일본의 비스마르크」, 오쿠보의 대외 정책 356
5. 오쿠보의 대만 정벌 360

제5장 후쿠자와의 「문명개화론」
1. 「문명개화론」의 기원 377
2. 후쿠자와의 삶 379
3.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와 「문명발전 단계론」 391
4. 미국의 지리 교과서와 『서양사정』 406
5. 버튼의 『정치경제』와 『서양사정 외편』 413
6. 과학기술 423
7. 저작권과 특허 429
8. 『문명론의 개략』 434
9. 『학문의 권장』 448

제6장 개국 아닌 개국: 「강화도 조약」
1. 고종의 새로운 대외 정책 458
2. 일본의 반응 462
3. 일본의 실력 행사: 「운요호 사건」 472
4. 다시한번 청의 의중을 떠보는 일본 479
5. 신헌과 구로다의 강화도 담판 488
6. 최익현의 도끼 상소 497
7. 「강화도 조약」 501

제7장 쇄국과 개국 사이에서
1. 「리델 신부 사건」 509
2. 「제1차 수신사」 김기수의 일본 방문 515
3. 사이고의 반란과 오쿠보의 암살 530
4. 표류하는 조선 541
5. 이홍장과 청의 「신(新) 조선 정책」 546
6. 조미수교 중재에 나서는 이홍장 555

제8장 개화파와 일본의 만남
1. 김옥균 562
2. 불교, 부산과 개화사상 568
3. 이동인의 일본 밀항 577
4. 「제2차 수신사」 김홍집과 황준헌의 만남 581
5. 김홍집과 이동인의 만남 590

제9장 급진 개국과 대미 수교
1. 고종의 개국 결정과 이동인의 밀사 파견 598
2. 「신사유람단」과 본격화되는 일본 배우기 612
3. 「조미수호통상조약」 619
4. 김옥균의 첫 일본방문 630

제10장 위정척사파의 반격과 청의 제국주의
1. 「영남만인소」와 「홍재학 상소」 641
2. 대원군의 반격: 「안기영 역모사건」과 「임오군란」 649
3. 청의 신제국주의 654
4. 「제물포 조약」과 청에 밀린 일본 663
5. 속국에서 직할령으로 669
6. 청의 간섭과 친청파의 개혁 674

제11장 친일개화파의 독립사상
1. 김옥균의 제2차 일본 방문 689
2. 후쿠자와 유키치와 조선의 개화파 697
3. 김옥균의 독립사상 707
4. 김옥균의 제3차 일본 방문 713

제12장 「갑신정변」과 친일개화파의 몰락
1. 「갑신정변」 전야 722
2. 거사 736
3. 청군의 개입 741
4. 「갑신정변」의 사후처리 744
5. 김옥균과 「친일개화파」의 말로 753

결론 757
주(註) 763
참고문헌 819
부록 829

저자 소개

저 : 함재봉 (咸在鳳)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92-2005),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UNESCO) 사회과학국장(2003-2005),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한국학연구소 소장 겸 국제관계학부 및 정치학과 교수(2005-2007), 랜드연구소 (RAND Corporation) 선임 정치학자(2007-2010), 아산정책 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2010-2019) 등을 역임했다. 미국 칼튼대학교(Carleton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