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기독교역사 [웹북] <평생공부>/2.기독교교회사 (로마카톨릭) 24

[웹북] 파리 외방전교회 (1658) -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

파리 외방전교회(라틴어: Societas Parisiensis missionum ad exteras gentes, 프랑스어: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MEP)는 1658년 설립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단체이다. 해외선교 / 아시아 선교파리 외방전교회는 1659년 팔뤼(F. Pallu)와 모트(P.L. de la Motte)주교를 시암에 선교사로 보냈었다. 1664년에는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학교를 설립하여 선교사들을 가르쳤다. 또한, 파리 외방전교회는 천주교 조선교구가 설립된 1831년에 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 주교를 조선 선교사로 파견하였다.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당시, 선교사들이 순교하거나 청나라 등으로 도피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의 활동파리 외방전교회..

[웹북]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1506~1502) - 사제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출생 1506년 4월 7일 / 스페인, 하비에르선종 1552년 12월 3일 / 명나라 광둥성 장먼시 타이산시 상촨섬교파 로마 가톨릭교회시복 1619년 10월 25일, 교황 바오로 5세시성 1622년 3월 12일,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축일 12월 3일상징 십자고상, 종, 백합, 타오르는 심장수호 선교사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라틴어: Sanctus Franciscus Xaverius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스페인어: Francisco Javier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바스크어: Frantzisko Xabier 프란치스코 샤비에르); (1506년 4월 7일 ~ 1552년 12월 2일)는 나바라 왕국(지금의 스페인 바스크) 하비에르 출신의 가톨릭 선교사이자 로마 ..

[웹북] 이냐시오 데 로욜라 (예수회 창시자: 1491~1556 (64세)

이냐시오 데 로욜라성 이냐시오이냐시오 데 로욜라출생 1491년 10월 23일 / 스페인 바스크선종 1556년 7월 31일(64세) / 교황령 로마축일 7월 31일상징 IHS, 갑주, 십자가, 제의수호 군인, 만학도, 영신수련, 예수회, 피정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라틴어: Sanctus Ignatius de Loyola, 1491년 10월 23일 ~ 1556년 7월 31일) 또는 이냐시오 데 로욜라(스페인어: Ignacio de Loyola)는 스페인 바스크 귀족 가문의 기사이자 (1537년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의 은수자이자 사제, 신학자이다. 또한 그는 예수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총장이기도 하다.이냐시오는 가톨릭 개혁 시기에 특출난 영적 지도자로 급부상하였다. 가톨릭교회에 대한 그의 ..

[웹북] 예수회 (1540)

예수회 Societas Iesu‏예수회의 문장예수회유형 복음 전도목적 가톨릭 복음전파활동 지역 전 세계회원 15,500여명공식 언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웹사이트 http://www.sjweb.info/예수회예수회(라틴어: Societas Iesu, 영어: Society of Jesus, Jesuit Order, Jesuits)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엄밀한 학문과 사도적 열성으로 알려진 수도회이다. 이 수도회는 1539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에 의해 창립되어 1540년 교황 바오로 3세로부터 정식 승인을 받았다. 선교사 지원 활동, 복음화, 연구와 교육의 분야에서의 활동으로 명성이 높다. 널리 알려진 예수회 수도사로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피에르 파브르가 있다. 예수회는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그들의..

[웹북] 콘클라베

콘클라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1492년 처음 콘클라베가 이루어졌으며, 1878년 이후로 모든 콘클라베가 이 곳에서 행해졌다.콘클라베(라틴어: conclave)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제도로, 교황 선종시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단이 소집되어 진행되는 교황 선출 비밀 회의를 말한다.라틴어의 cum(함께), clavis(열쇠)의 합성어인 ‘쿰 클라비’(cum clavis)에서 유래하였으며 ‘열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한다. 선거인단인 추기경들이 외부와 차단된 비밀 투표장인 시스티나 성당을 걸어 잠그고 그 안에서 선거를 하기 때문에 콘클라베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 교황 선출 방법은 시대마다 조금씩 변화가 있었다. 황제가 임명하는가 하면, 로마 귀족들간 협의로 선출하기..

[웹북] 아비뇽 유스 / 바빌론유수

아비뇽 교황청아비뇽 유수아비뇽 유수(-幽囚, Avignon Papacy)는 14세기 당시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던 서방교회의 교황청을 신성 로마 제국이 강제적으로 프랑스 남부 아비뇽으로 옮겨 1309년부터 1377년까지 머무르게 한 사건을 말한다. 고대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에 빗대어 쓰인 표현이다. 약 70년 동안 머물렀으며 그 시기에 모두 7명의 교황이 아비뇽에서 생활하였다. 교황청을 다시 로마로 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유럽사회에 빗발치자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1377년에 로마로 교황청을 이전하며 아비뇽 유수를 종식시켰다. 경과필리프 4세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대립이 있던 중에 1303년 9월 7일 프랑스군이 이탈리아 아나니의 별장에 있던 교황을 습격한 아나니 사건이 발생하였다.교황 보니파시..

[웹북] 서방교회 대분열 (1378–1417)

서방교회의 분열을 상징화한 14세기의 세밀화.서방교회 대분열날짜 1378–1417년장소 서방 기독교 국가 (주로 유럽)결과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임기와 그 후 몇 년간인 1417–1429년 동안 안정화.교전국 아비뇽 교황청지지 세력: 프랑스 / 아라곤 연합왕국 / 카스티야레온 / 스코틀랜드 / 나바라 / 나폴리 / 시칠리아 / 보헤미아 연합왕국 / 키프로스 / 사보이아 / 부르고뉴 / 브르타뉴 / 로도스 기사단 / 웨일스 반군 / 포르투갈 / 푸아 / 아르마냐크 로마 교황청지지 세력: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 잉글랜드 / 아일랜드 / 헝가리 / 플랑드르 / 베네치아 / 신성 로마 제국 / 폴란드 / 리투아니아 / 덴마크 / Norway / 스웨덴 / 튜튼 기사단 / 포르투갈 / 아키텐..

[웹북] 동서교회의 대분열 (1204)

동서교회 대분열동서교회 대분열(영어: East–West Schism)은 4세기부터 이어진 전통인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지역 교회의 연합체인 공교회(보편교회)의 분열이었다.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교회의 서방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교회의 동방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한다. 이에 대해 입장은 서로 나뉘는데, 동방교회의 입장은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서방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며, 서방교회 입장은 동방 교회와 분리된 것으로 이해한다. 11세기의 분열은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과 동로마 제국의 정치적 실리를 위한 협상의 일환이었고, 동서 교회는 이후로도 상호 협력과 지원을 하곤 했다. 실제적인 분열은 1204..

[웹북] 서방기독교

서방 기독교(Western Christianity) 또는 서방교회는 동방 기독교와 구분되는 말로 쓰인다. 11세기 동서교회 대분열로 그 형태가 구체화하였다. 칼케돈파 교회 중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가 여기에 포함된다.서방교회의 기원서방교회는 보편교회의 5개 교회 연합 가운데 하나인 로마 교회를 중심으로 한다. 나머지 4개 교회인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와 알렉산드리아 교회, 안디오키아 교회, 예루살렘 교회 연합이 현재의 동방교회(동방기독교)가 되었다. 이 서방교회를 천주교회 혹은 가톨릭이라 부르는다.동서 단일교회를 이루던 시기를 지나 양자간 갈등이 누적된 결과 11세기 동서교회 대분열이 발생하여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는 상호간 성사교류를 중단하였다. 이 둘은 현재도 서로 상대방이 본인들에게서 분리된 교회고, ..

[웹북] 메시아

사무엘이 다윗에게 성유를 뿌리다, 두라 에우로포스, 시리아, 날짜: 서기 3세기메시아메시아(히브리어: מָשִׁיחַ 마쉬하, 영어: Messiah 메시아)는 아브라함의 종교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로서 "구원자", "해방자"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스라엘 민족은 끊임없이 외적(外敵)으로부터 위협을 받아 결국에는 나라를 잃게 되는 고통스러운 역사를 걸어왔는데, 이러한 체험으로부터 한 사람의 구제자(救濟者)를 대망(待望)하는 사상이 길러지게 되었다. 이 사상에 의하면 이상적(理想的)인 왕이 탄생하여 이스라엘의 국난(國難)을 타개하고 이 세상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상적인 왕의 모습은 언제나 다윗을 염두에 두고 생각되었었다. 사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제2대 왕이 되어 국가의..

[웹북] 기독교

기독교기독교(基督敎, 영어: Christianity) 또는 그리스도교, 크리스트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에 바탕을 둔 아브라함계 유일신교이며, 세계 인구의 1/3이 신자인 세계 최대의 종교이다.기독교 신자들은 예수가 구약성경에서 예언된 메시아로서 인류를 구원하려 이 세상에 온 그리스도라고 믿는다. 예수의 행적은 신약성경 중에서도 네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예수의 12제자들을 통해 널리 퍼졌다. 기독교에는 여러 종파가 있으며, 크게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로 분류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는 서방 기독교에 속하고,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은 동방 기독교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정통"으로 불리는 주류 기독교 종파는 모두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경전으로 삼고, 니..

[웹북] 교황

교황 Papa교황 성좌의 문장현직:사도좌 공석호칭 성하관저 사도궁초대 성 베드로설립 1세기임명자 콘클라베 교황교황(敎皇, 라틴어: papa, 그리스어: πάπας, 영어: pope)은 로마 교구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다.이는 가톨릭 전승에서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교회의 첫 수장으로 임명되어 천국의 열쇠를 부여받았다는 성 베드로의 정통 후계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전 세계 14억 신자들이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인 교황은 세계적으로 정치적, 외교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로마 가톨릭교회 창시 이래 지금까지 2천 년 동안 총 266대 교황이 재위하였으며, 2025년 4월 21일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종 이후 현재 공석이다. 교황의 직위를 가..

[웹북] 가톨릭교회 (AD110~)

가톨릭교회 Ecclesia Catholica세계 최대규모의 가톨릭 성당인 성 베드로 대성당.로마 가톨릭교회기원 1세기경 로마 제국설립자 성 베드로 사도교황 프란치스코본부 바티칸지역 전세계언어 교회 라틴어 및 모국어전례 로마 전례구성원 13억 4500만 (2019)주교 5,364명사제 414,336명교구 대교구 : 640개교구 : 2,851개경전 성경 로마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교회(라틴어: Ecclesia Catholica Romana, 영어: Roman Catholic Church) 또는 천주교회(天主敎會), 정식명칭 가톨릭교회(라틴어: Ecclesia Catholica, 영어: Catholic Church)는 기독교의 한 종파로, 전 세계적으로 약 13억 명 이상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웹북] 동방정교회 (AD1054~)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개요구조신학 (신학사)전례교회 사성사 구원의 관점 마리아론 이콘배경기독교 교회사 도전 승교회의 네 가지 속성정통주의조직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독립 교회총대주교대주교관구장주교주교사제보제수사수녀 관할구역4대 교구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예루살렘 역사공의회동로마 제국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성상 파괴 운동동서 교회의 분열 신학삼위일체 성부성자성령사도 전승성경성전그리스도론헤시카주의테오시스이콘부정 신학필리오케 문제양성론합성론네스토리우스주의필로칼리아전례와 예배리투르기아전례력콘스탄티노폴리스 전례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안티오키아 전례 러시아 블라디미르의 성모 이콘동방 정교회(그리스어: Ανατολική Ορθόδοξη Εκκλησία, 영어: Easter..

[웹북] 콘스탄티누스 1세 (재위: AD306~AD337)

콘스탄티누스 1세제52대 로마 황제재위 306년 7월 25일 – 312년 10월 29일312년 10월 29일 – 324년 9월 19일324년 9월 19일 – 337년 5월 22일전임 콘스탄티우스 1세후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티우스 2세 . 콘스탄스이름휘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아우렐리우스Flavius Valerius Aurelius존호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발레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aesar 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Augustus 신상정보출생일 272년 2월 27일출생지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나이수스사망일 337년 5월 22일사망지 비티니아 니코메디아가문 콘스탄티누스 왕조부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모친 헬레나배우자 미네르비나.파우스타..

[웹북] 세계 공의회 (AD325~787 / AD869~870)

세계 공의회세계 공의회(世界公議會, 영어: ecumenical councils, 라틴어: Concilium Ecumenicum) 또는 보편공의회는 교리와 의식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규정하기 위하여 보편교회(공교회) “전체 교회”의 지역별 대표 신학자와 성직자들을 소집하여 진행하는 기독교의 종교회의이다. 기독교의 동방기독교, 서방기독교의 교파들에서 두루 받아들이는 세계 공의회는 처음 일곱 개의 회의이다. 교리적 측면에서는 동방 정교회와 개신교회가 충실하게 따른다. 천주교회는 12세기 이후의 서방 공의회의 교리를 우선하므로 일부 보편공의회 교리를 거부하거나 수정하였다. 세계 공의회의 역사실상 첫 세계 공의회라고 할 만한 것은 신약성서 사도행전 15장에 기록한 예루살렘 사도회의(공의회)로, 유대교 전통을 강..

[웹북] 제 1차 니케아 공의회 (AD325)

대 메테오라 수도원의 니케아 공의회를 묘사한 이콘제 1차 니케아 공의회제 1차 니케아 공의회(영어: First Council of Nicaea, 라틴어: Concilium Nicaenum Primum. 그리스어: Πρώτη Σύνοδος της Νίκαιας) 또는 제 1차 세계 공의회(그리스어: Α΄ Οικουμενική Σύνοδος)는 325년 5월 20일 니케아(Nicaea, 현재 튀르키예의 이즈니크) 콘스탄티누스 1세의 니케아 별궁에서 열린 기독교 공의회이다. 부활절과 삼위일체 등을 논의했으며,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정죄하면서 보편교회(공교회)의 정치적 외연을 확대했다. 니케아에서 열린 세계 공의회는 모든 기독교권을 대표하는 회합을 통해 교회의 합의를 이루려 한 첫 노력이..

[웹북] 테오도시우스 1세 (로마 황제 재위: AD379~AD395)

테오도시우스 로마 황제 재위 379년 1월 19일–395 1월 17일 전임 발렌스 후임 아르카디우스 (동방) / 호노리우스 (서방)이름 휘 Flavius Theodosius신상정보 출생일 347년 1월 11일 출생지 오늘날 스페인 코카 혹은 이탈리카 사망일 395년 1월 17일 (48세) 사망지 메디올라눔 (이탈리아 밀라노) 가문 테오도시우스 왕조 부친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모친 테르만티아 배우자 아일리아 플라킬라 갈라 자녀 아르카디우스. 호노리우스 갈라 플라키디아 종교 니케아 기독교 묘소 콘스탄티노폴리스 신성 사도 교회테오도시우스 1세 또는 테오도시우스 대제(라틴어: Flavius Theodosius, (347년 1월 11일~395년 1월 17일)은 379년부터 395년 죽을 때까지 로마 황제였다...

[웹북] 초기 기독교 (기원후 33년~325년)

초기 기독교초기 기독교(Early Christianity), 또는 초대교회는 기원후 33년 예수의 십자가 처형 이후 기독교의 초기 역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4세기 테오도시우스 1세가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기 전까지 시기 혹은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열린 기원후 325년 이전까지 시기를 초대교회로 본다. 한편 동서 교회의 분열이 있었던 1054년 이전 단일교회를 초대교회로 보는 등 연구 방향에 따라 그 기준은 다양하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등 사도전승을 내세우는 교회들은 자신들을 초대교회의 직계후손이라 주장한다. 예수 승천 직후와 사도시대예수가 승천한 후 맛디아(마티아)가 합류한 예수의 주요 제자들이었던 사도들과 그 외 신자가 예수의 가르침대로 예루살렘에서 열흘 동안 마가..

[웹북] 영지주의 (1세기-종교적 사상 체계)

영지주의영지주의(Gnosticism, 고대 그리스어: γνωστικός, 로마자 표기: gnōstikós, 코이네 그리스어: [ɣnostiˈkos], '지식을 가짐')는 1세기 후반에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와 엮이며 시작된 종교적 사상 및 체계를 말한다. 교회의 정통 가르침, 전통, 권위에 대항한 개인적인 영적 지식을 강조한 다양한 집단을 두고 영지주의자라고 칭한다. 육체적 존재를 결함이 있거나 악한 것으로 본 영지주의의 우주기원론은 일반적으로 우월하고 숨은 신과, 물질 세계를 창조한 악한 신 데미우르고스(때로는 구약성경의 야훼와 연관)을 구분하는 특색이 있었다.영지주의자들은 구원에 이르는 주요 요소가 신비주의적 혹은 밀교적인 이해 형태 방식으로 최고 신성에 관한 진실된 지식이라 생각하였다. 많은 영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