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11.한국민족운동사

한국기독교 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 (2015)

동방박사님 2024. 6. 26. 08:18
728x90

책소개

이 책은 1920~30년대 기독교 민족운동이란 개념 아래 한국기독교세력이 전개한 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3·1운동 이후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킬 때까지 기독교세력의 민족운동을 당시 국내 민족운동진영의 동향과 관련하여 접근하였고, 기독교 민족운동의 역사적 위치와 의미를 일제하 민족운동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19세기 말이래 기독교는 종교조직력을 기반으로 민족운동의 주요 세력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기독교를 수용한 상당수 한국인들은 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운동’(獨立協會運動)을 통해 정치사회운동과정에서 기독교 정치·사회세력으로 등장하였다. 1910년대에는 언론·집회 및 결사의 자유가 철저하게 금지된 상황에서 종교 기능이외 정치·사회적 기능을 담당했다. 종교조직을 토대로 비밀결사운동 및 합법적인 교육운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실력 양성 운동을 펼쳤다. 3·1운동에서는 천도교세력과 함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3·1 운동 이후에도 기독교세력은 전국적인 종교조직을 토대로 다양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런 점에서 1920~30년대 기독교세력의 현실인식과 실천관, 활동은 민족운동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민족주의 진영의 조직기반 하나로 국내외 민족주의 운동노선을 대변하며 사회주의 진영과 이념투쟁을 가장 ‘비타협적’으로 전개하였고, 해방 후에는 미군정 주요 관료로 참여하는 한편, 민족주의세력의 중심 세력을 형성하여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책에서는 1920~30년대 기독교세력의 민족운동의 논리와 운동의 전개, 그리고 기독교계 세력의 동향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근대 민족운동의 다양한 궤적과 논리적 흐름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하 한국근대 민족운동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선행 연구 검토
2. 기독교와 민족운동의 만남, 그 특성
3. 책의 관점 및 구성

제2장 기독교 실천론의 대두와 기독교 민족운동
1. 한국기독교의 변동과 기독교세력 결성
1) 3·1운동 이후 한국교회의 성격 변화
2) 사회주의 수용과 반종교운동
3) 기독교세력의 조직 결성과 그 동향
2. 현실문제인식과 기독교 실천론
1) 정의인도론과 실력양성론
2) 기독교 사회개조론의 대두
3. 외교독립운동과 민족실력양성운동 전개
1) 미국 의원 시찰단 환영회와 태평양회의
2) 기독교세력의 민족실력양성운동 전개
3) 기독교 청년운동과 여성운동의 흐름

제3장 기독교세력의 민족문제 인식 전환과 민족운동
1. 1920대 후반 기독교 민족운동의 배경
1) 사회주의세력의 반기독교운동 전개
2) 기독교세력의 반기독교운동 대응
3)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와 사회복음
2. 민족문제 인식 전환과 실력양성론
1) 식민경제구조 확대와 농촌 궁핍화
2) 민족문제 인식 전환과 농촌경제자립론
3. 사회경제운동과 기독신우회운동
1) 국제무대 활동과 사회경제운동
2) 기독청년 면려운동과 여성운동
3) 기독교계 협동전선과 기독신우회운동

제4장 기독교세력의 신간회운동 참여와 활동
1. 민족협동전선론과 기독교세력 참여
2. 신간회 참여 논리와 기독교세력
1) 기독교세력의 신간회 참여논리
2) 신간회 참여파 기독교세력의 특징
3. 기독교세력의 신간회운동 전개
1) 신간회 기독교세력의 초기활동
2) 신간회 지도부 변화와 기독교세력 강화
3) 민중대회사건과 신간회 기독교세력의 등장

제5장 신간회 해소 이후 기독교 민족운동
1. 1930년대 전반 기독교 민족운동 배경
1) 식민통치 변화와 한국교회 상황
2) 사회주의세력의 반기독교운동 재개
3) 기독교 민족운동진영의 동향
2. 사회주의 인식과 ‘전투적’ 기독교론
1) 반기독교운동 대응과 반공적 태도
2) ‘전투적’ 기독교론과 지상천국론
3. 기독교 민족운동의 전개와 성격
1) 신간회 ‘해소’ 이후 민족단체건설운동
2) 서북 기독교세력의 사회문화운동
3) 기호 기독교세력 재편과 적극신앙운동

제6장 결론
1. 1930년대 후반 기독교 민족운동의 침체와 좌절
2. 1920~30년대 기독교 민족운동의 흐름과 성격

보론) 1920~30년대 한국기독교의 농촌협동조합운동

출판사 리뷰

한국기독교 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

기독교인이 참여한 민족운동을 기독교 민족운동으로 부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독교인으로 민족운동에 참여한 내적 논리가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자는 기독교 민족운동을 언급할 때, 기독교 신앙이나 가치를 통해 형성된 내적 논리가 민족운동의 일반논리와 결합되고 내면화되어, 운동의 실천과정에 중요한 동력(動力)이 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은 “기독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민족공동체’가 직면했던 역사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실천(實踐)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민족문제와 기독교적 문제의식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민족공동체의 대내외적인 모순을 극복해 나가는 운동인 동시에 기독교인들이 기독교 가치를 사회와 민족문제 해결에 적용해 간 일종의 종교운동 일환”이라는 중층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