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고대로부터 선비가 지녀야 할 기본 소양으로 문(文), 사(史), 철(哲)이 강조되어 왔다. 문(文)은 글을 의미하며, 그 글 속에는 인간이 따라야 할 바른 길, 즉 도(道)가 담겨 있다. 한 편의 시나 수필에서부터 성현의 말씀에 이르기까지 모든 글은 인간이 걸어가야 할 길을 제시하며, 선비는 이를 통해 삶의 바른 방향을 배워야 한다. 문(文)은 단순한 글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도를 담는 그릇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옛사람들이 문을 도를 담는 도구라고 표현한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선비에게 있어 글을 읽고 그 속에 담긴 도를 깨우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졌다.
사(史)는 역사로, 역사는 인간 사회의 어지러움과 다스림의 발자취를 담고 있다. 다툼과 평정, 흥망성쇠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선비는 시시비비(是是非非)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역사 속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떤 행동이 바른지에 대한 판단력을 길러야 하며, 이를 통해 선비는 삶의 올바른 방식과 태도를 배운다.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선비가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학문이다. 선비는 이러한 역사를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사회의 이치를 이해하며, 타인에게 바른 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철(哲)은 철학으로, 철학은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지혜를 얻는 학문이다. 철학을 통해 선비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그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더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철학은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이 아니라, 인간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을 사회적 동물로 정의한 것처럼, 철학은 인간이 사회 속에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이다. 선비는 철학을 통해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지혜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야 한다.
선비는 과거 사회의 최상층에서 자기도 바르게 살고 남을 깨우쳐야 하는 책임을 지닌 인물이었다. 오늘날로 말하면 지식인에 해당하며, 지식인은 바른 지식을 바탕으로 올바르게 행동할 줄 아는 사람이다. 선비와 지식인은 시대에 따라 표현이 다를 뿐, 그들이 지녀야 할 소양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오늘날의 지식인 역시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올바른 길을 제시해야 한다. 현대 사회는 지식이 평준화된 사회로, 누구나 일정한 수준의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살아가야 한다.
나는 80여 년의 생을 살아오면서, 기쁨과 고뇌 속에서 선현들의 가르침을 배우고, 나름대로의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생각을 기록해 왔다. 선비는 과거의 인물이지만, 그들이 지녔던 소양은 현대의 지식인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통은 현재에 이어지고, 옛것을 바탕으로 새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선비와 지식인이 조화롭게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지혜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나의 기록이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선비와 지식인이 함께 나누는 대화의 장이 열리기를 소망한다.
사(史)는 역사로, 역사는 인간 사회의 어지러움과 다스림의 발자취를 담고 있다. 다툼과 평정, 흥망성쇠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선비는 시시비비(是是非非)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역사 속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떤 행동이 바른지에 대한 판단력을 길러야 하며, 이를 통해 선비는 삶의 올바른 방식과 태도를 배운다.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선비가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학문이다. 선비는 이러한 역사를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사회의 이치를 이해하며, 타인에게 바른 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철(哲)은 철학으로, 철학은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지혜를 얻는 학문이다. 철학을 통해 선비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그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더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철학은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이 아니라, 인간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을 사회적 동물로 정의한 것처럼, 철학은 인간이 사회 속에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이다. 선비는 철학을 통해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지혜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야 한다.
선비는 과거 사회의 최상층에서 자기도 바르게 살고 남을 깨우쳐야 하는 책임을 지닌 인물이었다. 오늘날로 말하면 지식인에 해당하며, 지식인은 바른 지식을 바탕으로 올바르게 행동할 줄 아는 사람이다. 선비와 지식인은 시대에 따라 표현이 다를 뿐, 그들이 지녀야 할 소양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오늘날의 지식인 역시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올바른 길을 제시해야 한다. 현대 사회는 지식이 평준화된 사회로, 누구나 일정한 수준의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살아가야 한다.
나는 80여 년의 생을 살아오면서, 기쁨과 고뇌 속에서 선현들의 가르침을 배우고, 나름대로의 문(文), 사(史), 철(哲)에 대한 생각을 기록해 왔다. 선비는 과거의 인물이지만, 그들이 지녔던 소양은 현대의 지식인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통은 현재에 이어지고, 옛것을 바탕으로 새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선비와 지식인이 조화롭게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지혜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나의 기록이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선비와 지식인이 함께 나누는 대화의 장이 열리기를 소망한다.
목차
제1부 문(文)
1. 한글 자음 모음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졌나 / 13
2. 세종 대왕은 한글 전용을 주장했을까 / 21
3. 아리랑은 무슨 뜻인가 / 28
4. 허균은 홍길동전을 왜 한글로 썼을까 / 33
5. 맞춤법에 어긋나기 쉬운 말 / 41
6. 틀리게 쓰는 말 몇 가지 / 52
7. 조청(造淸)과 조포(造泡) / 64
8. 고문(古文)과 금문(今文) / 68
9. 아내의 간통 장면을 보고 처용은 왜 춤을 추었을까 / 72
10. ‘절’의 어원에 대하여 / 80
11. 여의도(汝矣島)란 이름의 뜻 / 85
12. 동물과의 결혼담 전설에 담긴 의미 / 89
13. 성기의 이름 / 95
14. 세(世)와 대(代) / 101
15. 소화전(消火栓)과 제수변(制水弁) / 103
16. 육주비전 육의전 육모전의 말 뿌리 / 106
17. 진짜 그림 가짜 그림 / 109
18. 방정식 대수 기하의 의미 / 115
19. 노인은 왜 꽃을 꺾어 수로부인에게 바쳤을까 / 119
20. 나이를 뜻하는 한자어와 그 유래 / 126
21. 쇠뿔도 단김에 빼라 / 130
22. 중도 보고 소도 본다 / 132
23. 반훈문자(反訓文字) 몇 가지 / 133
24. 비문의 서(序)와 명(銘) / 136
25. 축문의 간지삭(干支朔)에 대하여 / 140
제2부 사(史)
1. 단군신화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147
2. 삼국유사여 유사여 / 160
3. ‘불함(不咸)’은 ‘?’을 숭상하던 문화권 / 167
4. 지명과 그에 얽힌 전설의 의미 / 170
5. 아사달산은 왜 구월산이 되었나 / 192
6. 우리 옛 나라 이름에 담긴 뜻 / 200
7. 우리나라 왕명에 담긴 뜻 / 211
8. 대왕암은 살아 있다 / 217
9. 백제는 왜 건국 신화가 없을까 / 220
10. 일연은 왜 삼국유사에 향가를 실었나 / 223
11. 임금님 귀는 왜 당나귀 귀가 되었나 / 229
12. 귀신을 부리는 비형(鼻荊) 설화는 왜 만들어졌나 / 238
13. 원효와 혜공 이야기 / 246
14. 원효 탄생지 불지(佛地)는 어디일까 / 251
15. 세자를 죽인 아버지의 심리 / 262
16. 예송(禮訟)의 배경 / 269
17. 광해군은 폭군인가 / 273
18. 식민사관(植民史觀)이란 무엇인가 / 279
19. 우리에게도 창세 신화가 있다 / 283
20. 속담의 생성 유래 / 290
21. 범보다 더 사나운 것에 시달린 사람들 / 304
22. 역사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것 / 314
제3부 철(哲)
1. 한국 성리학을 만든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 327
2.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 337
3. 정약용, 성리학을 새로 쓰다 / 340
4. 최한기의 기학 / 352
5. 양명학의 논리 / 365
6. 토정비결과 목성(木姓) 가진 사람 / 370
7. 원효는 해골 물을 마시지 않았다 / 373
8. 원효의 파계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나 / 376
9. 대승불교의 새로운 이해 / 390
10.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 395
11. 공(空)이란 무엇인가 / 398
12. 상즉상입(相卽相入)의 의미 / 402
13. 부루나의 순교 / 406
14.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이유 / 410
15. 철인(哲人)의 정치 / 416
16. 형상과 질료 / 420
17.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 424
18. 이성과 정념(情念) / 428
19.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433
20. 인간은 만물의 척도 / 436
21.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441
22. 헤겔의 절대정신 / 445
23. 니체는 왜 신을 죽였는가 / 449
24. 실존과 삶 / 455
25. 구조주의의 이해 / 459
26. 포스트구조주의란 무엇인가 / 464
27. 현상학과 의식 / 469
28. 언어는 존재의 집 / 473
참고문헌 / 477
1. 한글 자음 모음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졌나 / 13
2. 세종 대왕은 한글 전용을 주장했을까 / 21
3. 아리랑은 무슨 뜻인가 / 28
4. 허균은 홍길동전을 왜 한글로 썼을까 / 33
5. 맞춤법에 어긋나기 쉬운 말 / 41
6. 틀리게 쓰는 말 몇 가지 / 52
7. 조청(造淸)과 조포(造泡) / 64
8. 고문(古文)과 금문(今文) / 68
9. 아내의 간통 장면을 보고 처용은 왜 춤을 추었을까 / 72
10. ‘절’의 어원에 대하여 / 80
11. 여의도(汝矣島)란 이름의 뜻 / 85
12. 동물과의 결혼담 전설에 담긴 의미 / 89
13. 성기의 이름 / 95
14. 세(世)와 대(代) / 101
15. 소화전(消火栓)과 제수변(制水弁) / 103
16. 육주비전 육의전 육모전의 말 뿌리 / 106
17. 진짜 그림 가짜 그림 / 109
18. 방정식 대수 기하의 의미 / 115
19. 노인은 왜 꽃을 꺾어 수로부인에게 바쳤을까 / 119
20. 나이를 뜻하는 한자어와 그 유래 / 126
21. 쇠뿔도 단김에 빼라 / 130
22. 중도 보고 소도 본다 / 132
23. 반훈문자(反訓文字) 몇 가지 / 133
24. 비문의 서(序)와 명(銘) / 136
25. 축문의 간지삭(干支朔)에 대하여 / 140
제2부 사(史)
1. 단군신화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147
2. 삼국유사여 유사여 / 160
3. ‘불함(不咸)’은 ‘?’을 숭상하던 문화권 / 167
4. 지명과 그에 얽힌 전설의 의미 / 170
5. 아사달산은 왜 구월산이 되었나 / 192
6. 우리 옛 나라 이름에 담긴 뜻 / 200
7. 우리나라 왕명에 담긴 뜻 / 211
8. 대왕암은 살아 있다 / 217
9. 백제는 왜 건국 신화가 없을까 / 220
10. 일연은 왜 삼국유사에 향가를 실었나 / 223
11. 임금님 귀는 왜 당나귀 귀가 되었나 / 229
12. 귀신을 부리는 비형(鼻荊) 설화는 왜 만들어졌나 / 238
13. 원효와 혜공 이야기 / 246
14. 원효 탄생지 불지(佛地)는 어디일까 / 251
15. 세자를 죽인 아버지의 심리 / 262
16. 예송(禮訟)의 배경 / 269
17. 광해군은 폭군인가 / 273
18. 식민사관(植民史觀)이란 무엇인가 / 279
19. 우리에게도 창세 신화가 있다 / 283
20. 속담의 생성 유래 / 290
21. 범보다 더 사나운 것에 시달린 사람들 / 304
22. 역사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것 / 314
제3부 철(哲)
1. 한국 성리학을 만든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 327
2.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 337
3. 정약용, 성리학을 새로 쓰다 / 340
4. 최한기의 기학 / 352
5. 양명학의 논리 / 365
6. 토정비결과 목성(木姓) 가진 사람 / 370
7. 원효는 해골 물을 마시지 않았다 / 373
8. 원효의 파계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나 / 376
9. 대승불교의 새로운 이해 / 390
10.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 395
11. 공(空)이란 무엇인가 / 398
12. 상즉상입(相卽相入)의 의미 / 402
13. 부루나의 순교 / 406
14.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이유 / 410
15. 철인(哲人)의 정치 / 416
16. 형상과 질료 / 420
17.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 424
18. 이성과 정념(情念) / 428
19.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433
20. 인간은 만물의 척도 / 436
21.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441
22. 헤겔의 절대정신 / 445
23. 니체는 왜 신을 죽였는가 / 449
24. 실존과 삶 / 455
25. 구조주의의 이해 / 459
26. 포스트구조주의란 무엇인가 / 464
27. 현상학과 의식 / 469
28. 언어는 존재의 집 / 473
참고문헌 / 477
'35.조선시대사 이해 (독서>책소개) > 4.조선역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사일기 (2018) (1) | 2024.09.08 |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019) (2) | 2024.09.08 |
울릉도 1882 (2024) - 검찰사 이규원의 시간 여행 (0) | 2024.09.08 |
해동제국기 (2017) (0) | 2024.09.04 |
조선 500년의 거짓말 (2024) - 민중의 눈으로 다시 쓴 조선 역사 (0) | 2024.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