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5.근대전.동학.의병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동방박사님 2022. 7. 22. 07:42
728x90

책소개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은 한국근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연구자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인식되고 접근하여, 동학-동학농민혁명-3·1운동으로 이어져 오는 역사성에 대해 긍정하는 측면도 있었고, 이를 단절해 보고자 하는 측면 또한 없지 않았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 세력은 다양하게 분화를 하였지만, 대부분 천도교로 통합되었다. 이를 노선이 변화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많은 의구점이 든다. 그리고 천도교와 함께 3·1운동의 대열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들은 3·1운동에 참여하면서 동학농민혁명 때 이루지 못한 희망을 가지지 않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동학농민혁명 당시 그들이 희망하였던 세상은 무엇이었을까. 무엇 때문에 목숨을 걸고 투쟁하였을까. 조금이나마 본질에 접근해 보고자 작은 정설을 들이고자 한다.

제1부는 ‘초기 동학의 조직화’ 과정으로 지역적으로 동학이 확산되어가는 양상을 주로 다루었으며, 제2부는 ‘동학농민혁명의 재인식’으로 동학농민혁명의 논쟁거리를 주로 살펴보았다. 제3부는 ‘동학농민혁명과 지도자들’로 서장옥, 김낙철, 백범 김구 그리고 아산 출신이며 수원지역의 동학지도자인 안교선 등을 추적해보았다. 제4부는 ‘동학농민혁명 이후의 동향과 인식’으로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세력의 분화와 흐름 등을 살펴보았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초기 동학의 조직화

1장 동학의 발상지 구미용담과 수운 최제우의 경주 인식
1. 머리말
2. 용담정 건립과 용담 26영
3. 수운의 경주 인식
4. 맺음말

2장 초기 동학 교단과 영해지역의 동학
1. 머리말
2. 영해지역 동학과 박하선
3. 영해지역 향촌 세력의 갈등과 동학
4. 영해지역 동학 조직과 신원운동
5. 맺음말

3장 강원도의 동학 조직과 동경대전
1. 머리말
2. 동학의 포교 과정과 조직의 확장
3. 사적과 동경대전의 간행
4. 맺음말

4장 지리산권의 서부지역 동학 포교와 조직화 과정
1. 머리말
2. 지리산권의 동학 포교와 조직화
3. 동학농민혁명 전후 지리산권 동학의 동향
4. 맺음말

제2부 동학농민혁명의 재인식

5장 보은·금구집회의 전개와 동학농민혁명
1. 머리말
2. 보은·금구집회의 배경
3. 보은·금구집회의 전개과정
4. 보은·금구집회와 동학농민혁명
5. 맺음말

6장 사발통문의 재검토와 ‘고부기포’
1. 머리말
2. ‘사발통문’의 재검토
3. 사발통문의 내용 분석
4. 고부기포의 전개
5. 맺음말

7장 동학농민혁명의 격문 분석: 고부기포·무장기포·백산대회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고부기포의 사발통문과 격문
3. 무장기포와 포고문
4. 백산대회와 격문
5. 맺음말

8장 동학농민혁명 초기 전개과정과 논쟁점
1. 동학농민혁명 120주년과 과제
2. 동학농민혁명의 초기전개 과정
3. 동학농민혁명의 초기 과정과 몇 가지 논쟁점

9장 아산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1. 머리말
2. 아산지역 동학의 포교와 조직화
3. 아산지역의 동학농민혁명과 동학농민군의 활동
4. 아산대접주 안교선과 최후의 모습
5. 맺음말

제3부 동학농민혁명과 지도자들

10장 서장옥과 금산지역 동학군의 활동
1. 머리말
2. 서장옥과 금산지역 동학
3. 금산지역 동학군의 조직과 활동
4. 맺음말

11장 용암 김낙철과 부안지역 동학
1. 머리말
2. 김낙철 형제와 동학
3. 동학농민혁명과 김낙철
4. 해월 최시형과 김낙철
5. 맺음말

12장 백범 김구와 동학농민혁명
1. 머리말
2. 동학에 대한 인식과 입도
3. 동학농민혁명과 김구의 활동
4. 맺음말

13장 수원지역 동학농민혁명과 중심인물
1. 머리말
2. 동학농민혁명과 수원지역 동학군의 활동
3. 수원지역 동학군의 형성과 중심인물
4. 맺음말

제4부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향과 인식

14장 동학농민혁명 이후 고창지역 동학농민군의 동향
1. 머리말
2. 동학농민혁명과 흥덕농민봉기
3.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군의 동향
4. 맺음말

15장 전북지역 동학과 천도교의 민족운동
1. 머리말
2. 전북지역의 동학 조직과 동학농민혁명
3. 갑진개화운동과 천도교의 조직
4. 전북지역 3·1운동과 천도교의 역할
5. 맺음말

16장 1920년대 아산지역 민족운동과 천도교
1. 머리말
2. 1920년대 아산지역 민족운동의 흐름
3. 1920년대 아산지역 천도교
4. 맺음말 : 민족운동과 천도교의 연계성에 대해

17장 사운 이종학과 동학농민혁명 자료
1. 머리말
2.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인식
3. 동학농민혁명 1백주년과 특별전시회
4.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발간과 의미
5. 맺음말

18장 동학교서에 나타난 동학농민혁명기 일본군의 인식
1. 머리말
2. 일본군의 개입에 대한 인식
3. 일본군의 동학군 진압과 인식
4. 맺음말

찾아보기
게재정보
 

저자 소개 

저 : 성주현 (成周鉉)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 가운데 동학·천도교와 민족운동사를 연구하며,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실장, (사)한국역사문화원 대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참여자조사위원을 맡고 있다. 천도교중앙총부 자료실장,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논저에는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1910년대』(공저, 2002),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독자 분들의 리뷰는 리뷰 쓰기를, 책에 대한 문의는 1:1 문의를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