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1.한국근대사

고종과 일진회 (2020) -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

동방박사님 2024. 7. 4. 14:33
728x90

책소개

지향하는 근대국가의 모습을 둘러싸고 대립했던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를 통해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를 조망!


이 책은 대한제국 당시 고종과 일진회의 충돌 양상을 ‘엇갈린 근대국가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에 주목하여 세계사적 맥락과 세력 간 상호 관계 속에서 그들에 대해 세밀하게 밝혀 보고자 한다. 일진회를 개인 대(對) 민족의 관점에서 이항대립적으로만 인식할 때 발생하는 역사상의 오류에 대해 논의해보고, 당대 일진회가 개인, 권리, 자유, 민족, 국가 등의 표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선택을 했는가를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한국사에서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가 너무 도식적으로 이해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동서양의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를 폭넓게 조망했다. 그리고 고종의 민권 의식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정밀하게 살펴 군주권 관련 연구사적 쟁점들의 재인식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를 새롭게 통찰하기 위해서는 일진회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여 민권운동사에서 일진회의 위상, 일진회 활동의 대중적 실체, 일진회 민권론에서 군주권의 의미 등을 사료에 기반하여 재구성했다. 그리고 고종과 일진회의 관계 설정에 일본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폈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1부는 도입부로서 서양과 동아시아, 그리고 한국의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를 시대별로 정리했다. 2부는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를 문제 삼았다. 학계에서 고종시대 군주권을 어떻게 보는지, 고종 스스로는 민권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검토했다. 이어서 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군주권 및 일진회 인식을 비판적으로 살폈다. 그리고 3부에서는 고종시대 실제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가 어떠하였을지 재구성해 보았다. 이 책을 통해 세계사적으로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를 짚어보고, 한국 근대사에서 양자의 관계를 각각 고종과 일진회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근대 동서양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
1. 서양의 군주권 비판과 국가주의 문제
1) 영국·프랑스에서 군주권 비판 사상의 형성
2) 독일에서 군주권과 국가주의의 결합
2. 근대 동아시아의 민권론 대두와 군주권 인식
1) 중국의 민권론과 군주권 인식
2) 일본의 민권론과 군주권 인식
3. 19세기 한국 민권 의식의 성장 과정
1) 실학자들과 개신유학자들의 민권 인식
2) 동아시아 민권론과 공공성

2부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을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
1. 고종시대 군주권의 위상과 민권 인식
1) 고종시대 군주권 관련 쟁점
2) 한국사 교과서의 대한제국기 입헌군주제 서술
3) 고종시대 군주권의 위상
4) 고종의 민권 인식
2. 한국 사회의 일진회 인식 비판
1) 역사교육의 목적과 역사의식의 문제
2) 한국사 교과서의 일진회 인식
3) 일진회에 관한 ‘통설’과 ‘이설’

3부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 관계의 재구성
1. 일진회의 군주권, 민권 및 자유 인식
1) 일진회 창립의 역사적 의미
2) 군주권 및 민권에 대한 언설들
3) ‘자유’에 대한 언설들
2. 고종과 일진회의 엇갈린 근대국가 인식
1) 고종과 일진회의 정치적 역학관계
2) 일본의 한국 군주권과 민권 인식
3) 일진회와의 대립과 고종의 국정 운영

저자 소개

저 : 김종준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한국 근현대사를 대상으로 한 저작으로 『일진회의 문명화론과 친일활동』(신구문화사, 2010), 『식민사학과 민족사학의 관학아카데미즘』(소명출판, 2013), 『한국 근대 민권운동과 지역민』(유니스토리, 2015), 『고종과 일진회-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역사공간, 2020)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 근현대의 사회사, 사학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