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책은 한일회담과 관련한 저자의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롭게 공개된 한일회담 관련 일본외교문서를 추가하여 작금의 한일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 ‘65년 체제’, 즉 현대 한일 관계의 ‘원점’이라고 할 수 있는 한일회담을 검토하고 있다. 한일 역사인식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인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기본관계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동원문제의 주요 원인인 청구권 문제, 일본에 남아 있는 한국 문화재와 관련한 문화재 반환 문제, 지금도 재일동포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 문제, 역사인식문제이자 영토 문제인 독도 문제 등 한일회담의 주요 의제이자 지금도 한일 양국의 현안이 되고 있는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작금의 한일 관계 ‘원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시작하며
제1장 한일 조약은 이렇게 맺어졌다
제1기 패전/해방에서 제1차 회담까지
제2기 1950년대의 한일회담
제3기 1960년대의 한일회담
맺음말
칼럼 ① 최근 공개된 한일회담 관련 문서 공개에 대해서
칼럼 ② ‘배상’과 ‘보상’의 차이
칼럼 ③ 구종주국과 구식민지의 국교수립과 배상 문제
칼럼 ④ 한일 관계에 대한 미국의 중개
제2장 한일병합조약은 언제부터 ‘무효’인가-기본관계
1. 구조약 무효확인 조항을 둘러싼 격론
한일 양국의 사전준비
한일 양국이 제시한 조약안
그 후의 논의
2. 입장 조정 시기
제2차, 제3차 회담의 기본관계 교섭
중단기부터 제4차 회담까지의 일본 측의 기본관계 방침
제5차 회담의 일본 측 기본관계 방침
제6차 회담의 기본관계 교섭
3. 합의 없는 타결을 향해
한일 양국의 교섭 방침
제1차 조약안을 둘러싼 논의
이후의 기본관계위원회에서 제시된 조약안 관련 논의
시이나 외상의 방한과 기본관계 교섭-결착의 연기
맺음말
제3장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은 무엇이었는가-재산청구권
1. 재조일본인 재산에 대한 관심
왜 일본 측은 재조일본인 재산 청구권을 주장했는가
2. 일본정부의 ‘채무 이행’안을 둘러싼 논의
외무성이 ‘채무 이행’을 검토하고 있었던 이유
방침의 전환: ‘채무 이행’에서 ‘경제협력방식’으로
3.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의 내용
한국정부에 대한 일괄자금공여
일본인에 대한 보상도 회피하는 방침
대장성이 고집한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인 해결’
‘청구권’은 ‘트집 잡을 권리’
상정되지 않은 전쟁범죄에 관한 청구권
맺음말
제4장 재일조선인의 ‘소거’를 목표로-‘재일한국인’ 법적지위
1. 대일강화조약 발표까지의 교섭
일본정부의 ‘회복+귀화’ 방침
예비회담과 제1차 회담의 논의
2. 대일강화조약 발표부터 1950년대까지의 교섭
제2∼3차 회담의 논의
제4차 회담의 논의
3. 1960년대의 교섭
제5차 회담의 논의
제6차 회담의 논의
제7차 회담의 논의
맺음말
제5장 ‘반환’인가 ‘증여’인가-문화재 반환
1. 한국정부의 대일배상요구조서
2. 문화재 교섭의 전적 목록에 대해서
제1∼3차 한일회담의 논의
1958년의 문화재 인도를 둘러싼 논의
제4차 회담의 논의
제5∼6차 회담의 논의
제7차 회담의 논의와 문화재 협정을 통한 문화재의 인도
맺음말
제6장 독도 영유권 문제의 귀착점은
1. 제6차 회담-‘의제화’를 둘러싼 논의
2. 제7차 회담-타결을 향해
3. 독도 영유권으로 본 ‘1965년 체제’
맺음말
자료 편
* 한일회담의 개요
* 한일기본조약(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 한일 청구권 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
*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에 대한 합의의사록(Ⅰ) 중 청구권 협정 제2조에 관한 내용
* 재일한국인 법적지위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일본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지위와 대우에 관한 협정)
* 한일 문화재 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문화재 및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
* 한일어업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
* 분쟁 해결에 관한 교환공문
* 대일강화조약(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한일공동선언(한일전면회담 재개에 관한 공동성명)
* 1951년 10월 공포 출입국관리령 제24조 제1항 4호에 열거된 강제퇴거사유
시작하며
제1장 한일 조약은 이렇게 맺어졌다
제1기 패전/해방에서 제1차 회담까지
제2기 1950년대의 한일회담
제3기 1960년대의 한일회담
맺음말
칼럼 ① 최근 공개된 한일회담 관련 문서 공개에 대해서
칼럼 ② ‘배상’과 ‘보상’의 차이
칼럼 ③ 구종주국과 구식민지의 국교수립과 배상 문제
칼럼 ④ 한일 관계에 대한 미국의 중개
제2장 한일병합조약은 언제부터 ‘무효’인가-기본관계
1. 구조약 무효확인 조항을 둘러싼 격론
한일 양국의 사전준비
한일 양국이 제시한 조약안
그 후의 논의
2. 입장 조정 시기
제2차, 제3차 회담의 기본관계 교섭
중단기부터 제4차 회담까지의 일본 측의 기본관계 방침
제5차 회담의 일본 측 기본관계 방침
제6차 회담의 기본관계 교섭
3. 합의 없는 타결을 향해
한일 양국의 교섭 방침
제1차 조약안을 둘러싼 논의
이후의 기본관계위원회에서 제시된 조약안 관련 논의
시이나 외상의 방한과 기본관계 교섭-결착의 연기
맺음말
제3장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은 무엇이었는가-재산청구권
1. 재조일본인 재산에 대한 관심
왜 일본 측은 재조일본인 재산 청구권을 주장했는가
2. 일본정부의 ‘채무 이행’안을 둘러싼 논의
외무성이 ‘채무 이행’을 검토하고 있었던 이유
방침의 전환: ‘채무 이행’에서 ‘경제협력방식’으로
3.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의 내용
한국정부에 대한 일괄자금공여
일본인에 대한 보상도 회피하는 방침
대장성이 고집한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인 해결’
‘청구권’은 ‘트집 잡을 권리’
상정되지 않은 전쟁범죄에 관한 청구권
맺음말
제4장 재일조선인의 ‘소거’를 목표로-‘재일한국인’ 법적지위
1. 대일강화조약 발표까지의 교섭
일본정부의 ‘회복+귀화’ 방침
예비회담과 제1차 회담의 논의
2. 대일강화조약 발표부터 1950년대까지의 교섭
제2∼3차 회담의 논의
제4차 회담의 논의
3. 1960년대의 교섭
제5차 회담의 논의
제6차 회담의 논의
제7차 회담의 논의
맺음말
제5장 ‘반환’인가 ‘증여’인가-문화재 반환
1. 한국정부의 대일배상요구조서
2. 문화재 교섭의 전적 목록에 대해서
제1∼3차 한일회담의 논의
1958년의 문화재 인도를 둘러싼 논의
제4차 회담의 논의
제5∼6차 회담의 논의
제7차 회담의 논의와 문화재 협정을 통한 문화재의 인도
맺음말
제6장 독도 영유권 문제의 귀착점은
1. 제6차 회담-‘의제화’를 둘러싼 논의
2. 제7차 회담-타결을 향해
3. 독도 영유권으로 본 ‘1965년 체제’
맺음말
자료 편
* 한일회담의 개요
* 한일기본조약(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 한일 청구권 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
*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에 대한 합의의사록(Ⅰ) 중 청구권 협정 제2조에 관한 내용
* 재일한국인 법적지위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일본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지위와 대우에 관한 협정)
* 한일 문화재 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문화재 및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
* 한일어업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
* 분쟁 해결에 관한 교환공문
* 대일강화조약(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한일공동선언(한일전면회담 재개에 관한 공동성명)
* 1951년 10월 공포 출입국관리령 제24조 제1항 4호에 열거된 강제퇴거사유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2.한일역사갈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23 관동대학살 생존자의 증언 (2024) (3) | 2024.09.01 |
---|---|
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2023) (2) | 2024.09.01 |
한일 역사 갈등과 역사인식의 변용 (1980~1999) - 2021 (0) | 2024.07.29 |
한일 역사문제의 현재(2000~2022) - 2022 (0) | 2024.07.29 |
징용 조선인은 전쟁 소모품이었다 (2022)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