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한일 간 역사문제를 생각할 때 1980·1990년대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세계적으로는 냉전체제가 무너졌으며, 한국은 민주주의 발전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성장이 두드러졌다. 냉전체제의 붕괴, 경제발전과 민주화, 그리고 세대교체로 한일 양국은 역사문 제를 새로운 인식하에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1980~1999년까지 한일 양국의 역사 갈등과 역사인식의 변용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갈수록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는 한 일 간 역사인식 문제를 시계열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한 이 책은 한일 간 역사화해를 이루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목차
| 책머리에 |·4
제1장 1980~1990년대 야스쿠니에 대한 역사인식과 일본의 보수운동_유지아·21
Ⅰ. 머리말·22
Ⅱ. 1980년대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의 국제화·25
Ⅲ. 야스쿠니 공식참배에 대한 소송문제·36
Ⅳ. 야스쿠니사관과 일본의 보수운동·44
Ⅴ. 맺음말·55
제2장 일본 보수운동의 형성과 1980년대 교육개혁의 역사정치적 함의
- 나카소네의 리더십과 ‘전후 정치 총결산’_최은봉·61
Ⅰ. 머리말: 나카소네 교육개혁의 양면성·62
Ⅱ. 1980년대 나카소네 수상 리더십과 보수혁명·66
Ⅲ. ‘전후 정치의 총결산’과 교육기본법 개정 논리의 상보성·72
Ⅳ. 신자유주의 보수운동과 교육개혁의 전개·84
Ⅴ. 맺음말: 나카소네 교육개혁과 보수화의 유산·92
제3장 일본 보수본류의 역사인식과 국가주의 강화
- 1980~1999년_이종국·105
Ⅰ. 머리말·106
Ⅱ. 문제인식과 선행연구·108
Ⅲ. 고도성장기 국가주의 동향과 역사인식·113 Ⅳ. 냉전기 일본 보수정치인들의 역사인식·120 Ⅴ. 냉전 종식 이후 국가주의 확장과 역사인식 후퇴·128 Ⅵ. 맺음말·136
제4장 1980년대 한일 지식인 교류와 역사인식
- 요미우리신문사 주최 ‘일한좌담회’를 중심으로_박삼헌·141
Ⅰ. 머리말: 한일 신시대의 도래, 그리고 새로운 역사 갈등의 시작·142
Ⅱ. 왜 기획되었을까·146
Ⅲ. 누가 참가하였을까·152 Ⅳ. 무엇을 토론하였을까·166
Ⅴ. 맺음말: ‘인간적 차원의 상호이해’에서 ‘국가적 차원의 역사인식’의 차이로·184
제5장 국제국가 일본의 국제적 역할 모색 연구
-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_조진구·193
Ⅰ. 머리말·194
Ⅱ. 후쿠다 독트린의 등장 배경과 의미·197
Ⅲ. G7 정상회의와 국제국가 일본의 외교·206
Ⅳ. 냉전의 종식과 일본의 ‘국제공헌’론·218
Ⅴ. 맺음말·228
제6장 탈냉전기 한일 역사화해의 조건
-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사례로_조양현·233
Ⅰ. 머리말·234
Ⅱ. 한일 파트너십 선언의 의의·238
Ⅲ. 파트너십 선언을 가능하게 한 요인·241
Ⅳ. 역사인식의 문서화·245
Ⅴ. 아시아 금융위기와 한일협력·250
Ⅵ. 북한 문제에 대한 정책 공조·254 Ⅶ. 맺음말·258
제7장 일본 시민사회의 역사문제 인식과 글로벌화 과정(1980~1999)
- 일본시민사회의 ‘피해자’ 인식을 둘러싼 문제_한혜인·265
Ⅰ. 머리말·266
Ⅱ. 일본 역사운동 속의 ‘피해자’ 인식의 분화·267
Ⅲ. 한국인, 일본인 사할린 잔류자 귀환운동의 국제인식·286
Ⅳ. 맺음말·295
| 찾아보기 |·299
제1장 1980~1990년대 야스쿠니에 대한 역사인식과 일본의 보수운동_유지아·21
Ⅰ. 머리말·22
Ⅱ. 1980년대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의 국제화·25
Ⅲ. 야스쿠니 공식참배에 대한 소송문제·36
Ⅳ. 야스쿠니사관과 일본의 보수운동·44
Ⅴ. 맺음말·55
제2장 일본 보수운동의 형성과 1980년대 교육개혁의 역사정치적 함의
- 나카소네의 리더십과 ‘전후 정치 총결산’_최은봉·61
Ⅰ. 머리말: 나카소네 교육개혁의 양면성·62
Ⅱ. 1980년대 나카소네 수상 리더십과 보수혁명·66
Ⅲ. ‘전후 정치의 총결산’과 교육기본법 개정 논리의 상보성·72
Ⅳ. 신자유주의 보수운동과 교육개혁의 전개·84
Ⅴ. 맺음말: 나카소네 교육개혁과 보수화의 유산·92
제3장 일본 보수본류의 역사인식과 국가주의 강화
- 1980~1999년_이종국·105
Ⅰ. 머리말·106
Ⅱ. 문제인식과 선행연구·108
Ⅲ. 고도성장기 국가주의 동향과 역사인식·113 Ⅳ. 냉전기 일본 보수정치인들의 역사인식·120 Ⅴ. 냉전 종식 이후 국가주의 확장과 역사인식 후퇴·128 Ⅵ. 맺음말·136
제4장 1980년대 한일 지식인 교류와 역사인식
- 요미우리신문사 주최 ‘일한좌담회’를 중심으로_박삼헌·141
Ⅰ. 머리말: 한일 신시대의 도래, 그리고 새로운 역사 갈등의 시작·142
Ⅱ. 왜 기획되었을까·146
Ⅲ. 누가 참가하였을까·152 Ⅳ. 무엇을 토론하였을까·166
Ⅴ. 맺음말: ‘인간적 차원의 상호이해’에서 ‘국가적 차원의 역사인식’의 차이로·184
제5장 국제국가 일본의 국제적 역할 모색 연구
-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_조진구·193
Ⅰ. 머리말·194
Ⅱ. 후쿠다 독트린의 등장 배경과 의미·197
Ⅲ. G7 정상회의와 국제국가 일본의 외교·206
Ⅳ. 냉전의 종식과 일본의 ‘국제공헌’론·218
Ⅴ. 맺음말·228
제6장 탈냉전기 한일 역사화해의 조건
-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사례로_조양현·233
Ⅰ. 머리말·234
Ⅱ. 한일 파트너십 선언의 의의·238
Ⅲ. 파트너십 선언을 가능하게 한 요인·241
Ⅳ. 역사인식의 문서화·245
Ⅴ. 아시아 금융위기와 한일협력·250
Ⅵ. 북한 문제에 대한 정책 공조·254 Ⅶ. 맺음말·258
제7장 일본 시민사회의 역사문제 인식과 글로벌화 과정(1980~1999)
- 일본시민사회의 ‘피해자’ 인식을 둘러싼 문제_한혜인·265
Ⅰ. 머리말·266
Ⅱ. 일본 역사운동 속의 ‘피해자’ 인식의 분화·267
Ⅲ. 한국인, 일본인 사할린 잔류자 귀환운동의 국제인식·286
Ⅳ. 맺음말·295
| 찾아보기 |·299
저자 소개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2.한일역사갈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2023) (2) | 2024.09.01 |
---|---|
한일회담 1965 (2022) - 전후 한일 관계의 원점을 검증하다 (0) | 2024.08.20 |
한일 역사문제의 현재(2000~2022) - 2022 (0) | 2024.07.29 |
징용 조선인은 전쟁 소모품이었다 (2022) (0) | 2023.09.26 |
일본군 성 노예제 (2016)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