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설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음양(陰陽)설과 오행(五行)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원리
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분리된 모든 현상이 음(陰)과 양(陽)의 쌍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아래-위, 낮고-높음, 남자-여자). 해-달). 이들은 대립적이지만 서로 상보적이다. 음(陰)과 양(陽)이 확장하고 수축함에 따라 우주의 운행이 결정된다는 것이며, 음과 양이 네가지 기운 (생, 노, 병, 사)에 따라 확장-수축 함으로써 다섯가지 오행이 나타난다는 것이 오행설이다. 오행설은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다섯 가지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행함으로써 우주의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구성
음양
음(陰)이라는 글자는 언덕(丘)과 구름(雲)의 상형(象形)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陽)이라는 글자는 모든 빛의 원천인 하늘을 상징하고 있듯이 음양은 원래 산의 그림자(음)와 햇볕(양)으로 구별되어 집안으로 들어와 마침내 한ㆍ난의 뜻으로 이용되며 기(氣)의 자연철학과 결부되어서 1년 기후의 추이를 지배하는 것으로서 음양의 2기가 고려되었다. 이어서 음양은 기(氣)의 주요한 것으로서, 만물을 생성케하는 2대 요소라고 보고, 『역』의 십익(十翼)에 이르러서 음양철학으로서 지양되었다. 이 이후 일기(一氣)의 2상으로서의 음양은 모든 대립하고 순환하는 것의 이원적 원리가 되며, 동양인의 사고법으로 형성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2진법에도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
오행
오행이라는 것은 목·화·토·금·수의 오원소를 말하는데, 문헌상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상서(尙書)》〈홍범(洪範)〉이다. 거기에서는 오행으로서 수·화·목·금·토가 이 순으로 열거되며, 각각의 성질이나 맛이 기억되고 있다. 홍범에서는 오행 또한 정지하고 있는데, 전국기의 음양가 추연은 이를 역사의 장에 적용해서 왕조의 교대에 대해서 이론을 세웠는데, 모든 오덕(오행의 힘) 시종(순화의 뜻)설이다. 그에 의하면 각 왕조는 각각 오행중 하나가 부여되며, 명운이 다 되면 신왕조로 바뀌는데 그 교대는 필연적인 이법에 따라서 순서가 정해진다. 이 순환은 불에 이기는 것은 물, 물에 이기는 것은 흙의 순서이므로, 이를 오행상극이라고 한다.
역사
음양론과 오행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은대(殷代)의 신앙과 관련해서 거의 동시에 성립되었다는 설도 있고 통설에서는 양자는 발생 기반을 달리하여 중국 전국 시대에 유행한 음양과 오행이 합쳐진 말이다.
후한 때 채옹이 쓴 <독단>에서 "천자는 동이족이 사용하던 호칭이다. 하늘을 아버지로, 땅을 어머니로 하는 까닭에 천자라 부른다."라고 했던 점에서 천자란 하늘에서 온 아버지 환인, 환웅과 대지의 어머니인 웅녀 사이에서 나온 천자, 단군을 의미하는 것은 텡그리즘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며,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태양신과 달의 여신이 나타내는 음양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 밖에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오성(五星)에 관한 기사나 고구려의 오부제(五部制) 등을 통해서도 음양오행을 확인할 수 있다. 참위설과 풍수지리설의 전개과정도 음양오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백제동월륜 신라여월신(百濟同月輪 新羅如月新)”이라는 참구가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 이미 참위설을 믿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후 통일신라 말기에 이르면 참위설과 풍수지리설이 결합된 도참설(圖讖說)이 크게 유행하게 된다.
당시 승려였던 도선(道詵)은 지리쇠왕설(地理衰旺說)·산천순역설(山川順逆說) 및 비보설(裨補說)을 주창함으로써 도참사상을 크게 유행시켰다. 그 요지는 지리에는 곳에 따라 쇠왕이 있고 순역이 있으므로 왕처(旺處)와 순처(順處)를 택하여 거주해야 하며, 쇠처(衰處)와 역처(逆處)는 인위적으로 비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도참사상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훈요십조 訓要十條>와 묘청(妙淸)의 양경지덕쇠왕설(兩京地德衰旺說)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조선의 건립을 정당화하고 천도문제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고, 선조 때 일어난 정여립(鄭汝立)의 난 때에는 “이씨는 망하고 정씨가 일어난다(木子亡, 奠邑興).”는 참설이 유포되기도 하였다.
후일 《정감록》(鄭鑑錄)이라는 비기서에는 이러한 사상이 집대성되어 있으며, 절대 안전지대라는 십승지지사상(十勝之地思想), 역성혁명관에 입각한 말세사상 등도 모두 음양오행설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영향
동양 삼국 즉, 한국 · 중국 · 일본의 사상과 이론에 중심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생활의 여러곳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민중들의 심성을 지배하면서 홍경래의 난 등 숱한 민란과 봉기의 사상적 원동력이 되어온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풍수지리설이나 참위설뿐만 아니라 성리학의 세계관에도 음양오행설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Sources Wikipedia]
책소개
목차
1 음양오행설 드러내기
2 음양오행설에서 주자학 보기
제2장 음양오행설의 기초적 이해 및 철학적 특성
1 음양오행설의 기초적 이해
1) 음양ㆍ오행의 의미
㈎ 음양의 의미
㈏ 오행의 의미
2) 음양ㆍ오행 개념의 철학화
2 음양과 오행의 융합
3 음양오행설의 철학적 특성
1) 추연의 음양오행설
2) 전한시대의 음양오행설
제3장 음양오행설의 주자학적 적용논리 및 사유양식
1 천인일체적 세계관
1) 천인일체적 사고의 원형
2) 음양오행설에서의 천인관
3) 주희의 리학적 천인합일론
2 과학성에 근거한 이론전개 양식
1) 음양오행설에 보이는 과학적 성분
2) 격물설로 본 주희의 과학정신
3 상관적 사유양식
1) 음양오행설의 상관적 사유
㈎ 상관적 사유의 의미
㈏ 음양ㆍ오행의 상관적 사유
2) 주희의 유기체적 리학사상
제4장 음양오행설의 우주론적 적용내용
1 우주론의 기초 요소로서의 음양ㆍ오행
1) 주희의 음양오행관 고찰
㈎ 주희의 음양관
㈏ 주희의 오행관
2) 음양ㆍ오행의 상관적 분석
2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시공간 이론
1) 음양ㆍ오행과 시간
2) 음양ㆍ오행과 공간
3 우주론의 내적 본질로서의 리
1) 유기체적 우주론의 전개원리로서의 리
2) 음양ㆍ오행의 주재자로서의 리
제5장 음양오행설의 심성론적 적용내용
1 물질의 심과 리의 성
2 심성론의 상관적 구도의 전개
1) 음양ㆍ오행과 성정의 상관적 대응
㈎ 오행과 오성의 상관적 분석
㈏ 음양ㆍ오행과 사단칠정의 상관적 분석
2) 음양ㆍ오행과 기질지성
㈎ 기질지성의 의미
㈏ 음양ㆍ오행과 기질지성의 관계
3 변화기질의 심성 수양이론
1) 주희 이전의 변화기질 수양론
2) 주희의 변화기질 수양론
제6장 음양오행설의 현대적 적용
1 음양오행설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
2 음양오행설의 현대적 적용 내용
1) 새로운 정신문화의 개척과 상관적 사유
㈎ 공동체적 가치의 확장 원리로서의 유기체주의
㈏ 창의성의 극대화 수단으로서의 직관인식
2) 사회통합 방법론으로서 음양 대대원리
㈎ 음양 대대원리의 사회학적 의미
㈏ 음양 대대원리에서 본 사회통합의 원리
3) 심리치료 원리로서의 오행이론
㈎ 한의학에서의 오행관계론
㈏ 오행상극법칙에서 본 심리치료 이론
제7장 결론
1 음양오행설 위에 서있는 주자학
2 얻음과 잃음
출판사 리뷰
기존의 주자학 연구가들은 주자학과 음양오행설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주자학의 제 이론들을 다루었다. 이러한 연구 태도는 주자학을 더욱 추상화시키고 관념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이 책에서는 주자학이 가진 주요 범주들의 근원지인 음양오행설의 실상을 고찰해보고, 그 결과를 근거로 주자학의 주요 이론들을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파악해보려 하였다.
이 책에서는 먼저 음양오행설의 기초적 이론 및 철학적 특성에 대해 논하였다. 그 다음 주희가 음양오행설을 수용하게 된 배경을 3가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론 부분에 가서는 주희의 우주론과 심성론에서 음양오행설이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논하였고, 끝으로는 음양오행설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해보았다.
그러므로 이 책은 음양오행설의 본질을 이해하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주자학의 심층세계에 대한 이해 및 주자학과 음양오행설의 관계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 볼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라 본다. 또한 음양오행설 속에 담긴 지혜로써 현대와 미래사회를 조화롭게 개척해 나가게 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점은 각박한 환경에 처해 있는 오늘날의 인류에게 청량제가 되어줄 것이라 본다.
책소개
음양가의 대표자인 추연(鄒衍)은 ‘음양’과 ‘오행’이란 개념을 통하여 세계의 제 현상들을 귀납적으로 해석하려 하였다. 이것은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이 종교적인 색체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사색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의식이 종교적 영역에서 과학적 영역으로 방향을 바꾸었음을 뜻한다. 물론, 여기서의 과학은 벤자민 스워츠나 앤거스 그레이엄이 표현했듯이 ‘원시과학(proto-science)’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추연의 세계 해석 방법이 인간의 사색을 중시했다는 데서 기존의 종교적인 형태의 방법보다는 진일보 한 면이 있음은 분명하다.
본서는 음양오행설의 실체를 다각도에서 파악하고, 또 그로써 동양문화의 특색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엮었다. 우선 음양과 오행 개념에 대한 기초지식을 논하고, 그 다음 상관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음양오행설의 사유양식에 대해 검토하고, 그 다음은 음양오행설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에서는 중국의 학술문화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몇몇 종의 학술, 즉 한의학?도교?명리학?성리학 속에 음양오행설이 어떻게 적용되었는가에 대해 논하였다. 이렇게 볼 때, 본서는 음양오행설과 관련된 학술분야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해줄 것이라 본다.
목차
제1부 음양오행설의 기초이론 고찰
1장 음양과 오행에 대한 기초 지식
음양의 기원
음양의 의미
오행의 기원
오행의 의미
음양과 오행의 만남
2장 음양오행설과 간지 이론
간지의 의미
십간 이론의 발전
십이지 이론의 발전
3장 음양오행설과 「하도」?「낙서」
「하도」?「낙서」의 실체에 대한 검토
음양오행설에서 본 「하도」.「낙서」
제2부 음양오행설의 사유양식:상관적 사유
1장 상관적 사유의 의미
2장 상관적 사유의 종류
음양의 상관적 사유
오행의 상관적 사유
역의 상관적 사유
3장 음양오행설의 상관적 사유와 과학
제3부 음양오행설의 전개
1장 진대 이전의 음양오행설
오행상극설에 의거한 역사변화 이론?추연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세계 해석의 기초 원리?『관자』
음양오행설에 의거한 우주와 인간의 통합 모델 제시?『여씨춘추』
2장 전한시대의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설의 자연학적 적용 - 『회남자』
음양오행설의 유가적 전개 - 동중서
음양오행설에 기초한 의학이론 - 『황제내경』
음양오행설과 역의 결합 - 경방역
3장 후한시대의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설의 정비-『백호통』
비판적 합리주의자-왕충
4장 음양오행설에 대한 평가
음양오행설의 시대별 특성
긍정적인 평가
부정적인 평가
제4부 한의학과 음양오행설
1장 한의학의 탄생 과정과 음양오행설 수용
2장 음양오행의 상호관계에서 본 의학이론
3장 음양오행설과 장부이론
음양설로 본 장부이론 및 병리 현상
오행설로 본 장부이론 및 병리 현상
4장 심리치료와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설과 심리의 세계
오행상극의 원리에 의거한 심리치유법
제5부 도교와 음양오행설
1장 도교의 탄생 과정
2장 도교의 교리와 음양오행설
신과 도교
신보의 형성과 음양오행설
도교의 철리와 음양오행설
3장 연단법과 음양오행설
연단법의 원류
외단법과 음양오행설
내단법과 음양오행설
제6부 명리학과 음양오행설
1장 명리학의 탄생과 발전
2장 음양오행설과 명리학의 관계
3장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명리학 기초 이론
간지론의 기원과 내용
십이운성론의 기원과 내용
지장간론의 기원과 내용
삼합국론의 기원과 내용
육친론의 기원과 내용
4장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운명 해석 이론
음양오행과 성정
음양오행과 질병
음양오행과 귀천
음양오행과 빈부
음양오행과 가족
제7부 성리학과 음양오행설
1장 성리학의 탄생 배경 및 특성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음양오행설
2장 성리학과 음양오행설
성리학과 음양오행설의 연결고리
리기론과 음양오행설
심성론과 음양오행설
제8부 마무리
참고문헌
'03.동양사여행 (2024~) [해설서] > 2.동양철학사상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북] 대학 (책) (3) | 2024.10.23 |
---|---|
[웹북] 도교 (0) | 2024.08.29 |
[웹북] 태극 (0) | 2024.08.29 |
[웹북] 오행 (0) | 2024.08.29 |
[웹북] 음양 (0)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