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번역학의 획기적 업적으로서만이 아니라
일본 근대사、메이지 사상사、
사회문화사에도
큰 학문적 공헌이다.
- 고모리 요이치(小森陽一)
『백과전서』 번역 사업은 당시 일류 양학자들을 총동원하여 추진한 문부성 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영국의 백과사전을 70명 이상에 이르는 번역자·교정자가 협동하여 일본어로 번역하고, 최첨단의 서양 문명을 소개한 저 97편의 출판 사업은 근대 일본의 언어·문화·학문에 무엇을 가져왔는가? 이 책은 『백과전서』 번역 사업에 대한 개관은 물론 각 분야의 주요 번역어에 착목, 번역학의 시점에서 최초로 종합적으로 접근한 획기적인 연구이다.
이 책의 제목인 ‘번역된 근대’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근대’가 보여주는 ‘복잡함’을 풀어 보는 하나의 단서를 보여준다. 그것은 ‘문부성’이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한 ‘서양’ 번역 프로젝트를 통해서 근대 일본이 ‘선별’한 서양의 근대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국가적 번역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번역 과정에 참여한 난학자·한학자·양학자들이 한자어 두 글자로 ‘만들어낸’ 일본의 근대가 무엇인지 밝히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메이지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이 근거로 삼은 정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는 ‘재료’이다.
하지만 그렇게 한자어 두 글자로 ‘만들어진’ 일본의 근대가 중국 대륙으로, 대한제국으로, 그리고 식민지 타이완과 조선으로 흘러들어가 ‘번역’ 또는 ‘번안’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책은 ‘메이지’와 동시대를 살아간 동아시아 각 지역 사람들의 ‘정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는 재료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일본의 근대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근대가 지녔던 ‘복잡함’을 푸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번역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근대 동아시아 고전들의 재인식] 연구팀 세미나에서 김태진 선생님이 강독 텍스트로 이 책을 추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책은 자료적 측면은 물론이고 다루는 ‘주제’의 측면에서 실로 방대하여, 그 자체가 ‘백과전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때문에 번역 작업은 만만치 않았지만, 이제 한권의 ‘번역서’를 세상에 내놓으려는 지금, 이 책에 수록된 ‘백과전서’적 내용들이 동아시아 근대의 ‘복잡함’을 푸는 하나의 실마리는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_옮긴이 후기 중에서
일본 근대사、메이지 사상사、
사회문화사에도
큰 학문적 공헌이다.
- 고모리 요이치(小森陽一)
『백과전서』 번역 사업은 당시 일류 양학자들을 총동원하여 추진한 문부성 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영국의 백과사전을 70명 이상에 이르는 번역자·교정자가 협동하여 일본어로 번역하고, 최첨단의 서양 문명을 소개한 저 97편의 출판 사업은 근대 일본의 언어·문화·학문에 무엇을 가져왔는가? 이 책은 『백과전서』 번역 사업에 대한 개관은 물론 각 분야의 주요 번역어에 착목, 번역학의 시점에서 최초로 종합적으로 접근한 획기적인 연구이다.
이 책의 제목인 ‘번역된 근대’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근대’가 보여주는 ‘복잡함’을 풀어 보는 하나의 단서를 보여준다. 그것은 ‘문부성’이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한 ‘서양’ 번역 프로젝트를 통해서 근대 일본이 ‘선별’한 서양의 근대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국가적 번역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번역 과정에 참여한 난학자·한학자·양학자들이 한자어 두 글자로 ‘만들어낸’ 일본의 근대가 무엇인지 밝히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메이지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이 근거로 삼은 정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는 ‘재료’이다.
하지만 그렇게 한자어 두 글자로 ‘만들어진’ 일본의 근대가 중국 대륙으로, 대한제국으로, 그리고 식민지 타이완과 조선으로 흘러들어가 ‘번역’ 또는 ‘번안’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책은 ‘메이지’와 동시대를 살아간 동아시아 각 지역 사람들의 ‘정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는 재료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일본의 근대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근대가 지녔던 ‘복잡함’을 푸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번역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근대 동아시아 고전들의 재인식] 연구팀 세미나에서 김태진 선생님이 강독 텍스트로 이 책을 추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책은 자료적 측면은 물론이고 다루는 ‘주제’의 측면에서 실로 방대하여, 그 자체가 ‘백과전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때문에 번역 작업은 만만치 않았지만, 이제 한권의 ‘번역서’를 세상에 내놓으려는 지금, 이 책에 수록된 ‘백과전서’적 내용들이 동아시아 근대의 ‘복잡함’을 푸는 하나의 실마리는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_옮긴이 후기 중에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문부성 『백과전서(百科全書)』로의 초대
1. 번역 텍스트의 연구
2. 『백과전서』 연구의 의의
3. 이 책의 구성
제1장 번역연구에서의 ‘등가’ 언설 - 스캔들의 덫
1. 번역의 이론과 ‘등가’
2. 서양 번역학의 시작
3. 근대 일본의 번역론
4. 일본의 번역학
제2장 문부성 『백과전서』라는 근대 - 불완전한 백과사전
1. 국가적 번역 프로젝트
2. 번역기관의 변천
3. 『백과전서』의 윤곽
4. 기점 텍스트에 대해서
5. 번역자와 교정자의 군상
제3장 ‘신체 교육’이라는 근대 - 문명화된 몸짓
1. 신체의 근대
2. 메이지 정부와 ‘교육’
3. ‘신체 교육’의 행방
4. ‘체육’이란
5. 국민국가의 ‘스포츠’
제4장 ‘언어’라는 근대 - 오쓰키 후미히코의 번역 행위
1. 오쓰키 후미히코와 ‘언어’
2. 『언어편』의 간행 사정
3. 문법을 둘러싼 『언해』와 『백과전서』
4. ‘언어’란?
5. 당연히 ‘언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
제5장 ‘종교’라는 근대 - 야스쿠니 체제의 주형
1. ‘종교’와 비‘종교’
2. 번역어로서의 ‘종교’
3. 메이지 정부와 ‘종교’
4. 『백과전서』에서의 ‘종교’
5. 비‘종교’의 카무플라주
제6장 ‘대영 제국’이라는 근대 - 대일본 제국의 사후적 이야기
1. 소급되는 단어
2. ‘대영 제국’
3. ‘제국’의 기억
4. ‘인종’을 둘러싼 대일본 제국
5. 갱신되어 지속하는 ‘제국’
제7장 ‘골상학’이라는 근대 - 타자를 보는 눈길
1. 인체해부도와 번역
2. 서양 근대의 ‘과학’
3. ‘골상학’이란
4. 말하는 눈길
5. 유사과학의 근대
제8장 ‘물리’‘화학’이라는 근대 - 궁리와 세이미에서의 픽션적 이탈
1. 난학에서 영학으로
2. 자연과학의 번역
3. ‘물리’·‘화학’으로의 도약
4. 정의하는 텍스트
5. 학교제도 속의 자연과학
제9장 ‘백과전서’라는 근대 - 제도의 유통과 소비
1. ‘백과전서’란
2. 『백과전서』의 시각 제도
3. 제도로서의 학지
4. 신문 광고에 의한 유통과 소비
종장 ‘번역’이라는 근대 - 번역된 문부성 『백과전서』
1. 번역어의 원근법
2. 증식하는 명사
3. 번역론적 전회로
서장 문부성 『백과전서(百科全書)』로의 초대
1. 번역 텍스트의 연구
2. 『백과전서』 연구의 의의
3. 이 책의 구성
제1장 번역연구에서의 ‘등가’ 언설 - 스캔들의 덫
1. 번역의 이론과 ‘등가’
2. 서양 번역학의 시작
3. 근대 일본의 번역론
4. 일본의 번역학
제2장 문부성 『백과전서』라는 근대 - 불완전한 백과사전
1. 국가적 번역 프로젝트
2. 번역기관의 변천
3. 『백과전서』의 윤곽
4. 기점 텍스트에 대해서
5. 번역자와 교정자의 군상
제3장 ‘신체 교육’이라는 근대 - 문명화된 몸짓
1. 신체의 근대
2. 메이지 정부와 ‘교육’
3. ‘신체 교육’의 행방
4. ‘체육’이란
5. 국민국가의 ‘스포츠’
제4장 ‘언어’라는 근대 - 오쓰키 후미히코의 번역 행위
1. 오쓰키 후미히코와 ‘언어’
2. 『언어편』의 간행 사정
3. 문법을 둘러싼 『언해』와 『백과전서』
4. ‘언어’란?
5. 당연히 ‘언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
제5장 ‘종교’라는 근대 - 야스쿠니 체제의 주형
1. ‘종교’와 비‘종교’
2. 번역어로서의 ‘종교’
3. 메이지 정부와 ‘종교’
4. 『백과전서』에서의 ‘종교’
5. 비‘종교’의 카무플라주
제6장 ‘대영 제국’이라는 근대 - 대일본 제국의 사후적 이야기
1. 소급되는 단어
2. ‘대영 제국’
3. ‘제국’의 기억
4. ‘인종’을 둘러싼 대일본 제국
5. 갱신되어 지속하는 ‘제국’
제7장 ‘골상학’이라는 근대 - 타자를 보는 눈길
1. 인체해부도와 번역
2. 서양 근대의 ‘과학’
3. ‘골상학’이란
4. 말하는 눈길
5. 유사과학의 근대
제8장 ‘물리’‘화학’이라는 근대 - 궁리와 세이미에서의 픽션적 이탈
1. 난학에서 영학으로
2. 자연과학의 번역
3. ‘물리’·‘화학’으로의 도약
4. 정의하는 텍스트
5. 학교제도 속의 자연과학
제9장 ‘백과전서’라는 근대 - 제도의 유통과 소비
1. ‘백과전서’란
2. 『백과전서』의 시각 제도
3. 제도로서의 학지
4. 신문 광고에 의한 유통과 소비
종장 ‘번역’이라는 근대 - 번역된 문부성 『백과전서』
1. 번역어의 원근법
2. 증식하는 명사
3. 번역론적 전회로
'39.일본학 연구 (학부전공>책소개) > 3.일본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2005) (1) | 2024.09.01 |
---|---|
생의 철학 (2024) - 제국을 내파하는 아나키즘 (1) | 2024.09.01 |
전쟁국가 일본 (2011) - 살림지식총서 189 (1) | 2024.08.28 |
러일전쟁 (2024) - 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2) | 2024.08.28 |
러일전쟁의 세기 (2010) - 연쇄시점으로 보는 일본과 세계 (0)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