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또는 근대이행기의 일그러진 리바이어던(Leviathan)
이 책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을 중심으로 전개된 19세기 후반 정치 외교사를 주로 서술했다는 점에서 평전이 아닌 일종의 역사서에 가깝다. 구체적으로는 대원군의 일생을 통해 이미 상당히 붕괴된 조선의 정치사회 시스템이 문호개방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 및 여러 우연적 사건들과 맞물린 끝에 결국 청일전쟁과 명성왕후의 시해라는 파국적 결말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흥선대원군은 10년간의 집정을 마치고 하야한 뒤에도 그의 의지나 정치적 이념과 무관하게 언제나 한성에서 벌어지는 모든 정치적 음모의 중심에 있었다. 죽는 날까지 그는 조선인들의 여망이 집중된 정치적 우상이었다. 그 여망의 이면에는 국왕의 생부라는 범접할 수 없는 권위를 바탕으로 무너진 정치사회 질서를 복구하고 최소한의 생존 조건을 지켜줄 수 있는 강력한 권력자의 도래를 향한 절박한 염원이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우상을 향한 맹목적인 바람, 또는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의 불가피한 선택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흥선대원군은 조선 정치사의 최후의 국면에 등장한 일그러진 리바이어던(Leviathan)이었다.
이 책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을 중심으로 전개된 19세기 후반 정치 외교사를 주로 서술했다는 점에서 평전이 아닌 일종의 역사서에 가깝다. 구체적으로는 대원군의 일생을 통해 이미 상당히 붕괴된 조선의 정치사회 시스템이 문호개방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 및 여러 우연적 사건들과 맞물린 끝에 결국 청일전쟁과 명성왕후의 시해라는 파국적 결말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흥선대원군은 10년간의 집정을 마치고 하야한 뒤에도 그의 의지나 정치적 이념과 무관하게 언제나 한성에서 벌어지는 모든 정치적 음모의 중심에 있었다. 죽는 날까지 그는 조선인들의 여망이 집중된 정치적 우상이었다. 그 여망의 이면에는 국왕의 생부라는 범접할 수 없는 권위를 바탕으로 무너진 정치사회 질서를 복구하고 최소한의 생존 조건을 지켜줄 수 있는 강력한 권력자의 도래를 향한 절박한 염원이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우상을 향한 맹목적인 바람, 또는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의 불가피한 선택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흥선대원군은 조선 정치사의 최후의 국면에 등장한 일그러진 리바이어던(Leviathan)이었다.
목차
서문
제1장 권력(1863~1873)
1. 권력의 장악
1) 고종의 즉위
2) 대원군의 섭정
3) 섭정 이전의 생애
4) 신정왕후
5) 무너지는 조선
2. 권력의 공고화
1)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2) 권력 구조의 개편과 그 한계
3) ‘부국지책(富國之策)’
3. 배외정책(排外政策)과 그 결과
1) 병인박해
2) 병인양요
3) 제너럴셔먼호 사건
4) 남연군묘 도굴 미수 사건
5) 신미양요
6) 양요(洋擾) 이후의 국방정책
제2장 음모(1873~1893)
1. 대원군의 몰락
1) 명성왕후(明成王后)
2) 고종의 친정(親政)의지
3) 대원군의 하야
3) 대원군 봉환 상소운동
4) 대원군과 영남 남인
2. 조일수호조규의 체결
3. 문호개방과 그 반동
1) 문호개방의 배경
2) 신사(辛巳) 위정척사 운동
3) 이재선 역모 사건
4. 청국으로의 납치와 귀국
1) 임오군란
2) 제2차 집정
3) 청의 파병
4) 납치
5) 심문
6) 바오딩부에서의 연금 생활
7) 귀국
5. 조러밀약 사건
1) 제1차 조러밀약 사건
2) 제2차 조러밀약 사건
6. 반복되는 음모
1) 여흥 민씨의 세도
2) 개화당과의 공모
3) 원세개의 음모, 일본공사관과의 접촉
제3장 파국(1884~1895)
1. 청일전쟁
1) 전쟁의 발단
2) 일본의 출병
3)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대원군의 입궐
2. 갑오개혁
1) 군국기무처
2) 대원군과 군국기무처의 갈등
3. 평양성 전투
4. 동학농민운동
1) 이병휘의 고변
2) 대원군의 동학도 사주
3) 동학농민군의 두 번째 봉기
4) 전봉준
5. 정계 은퇴
1) 이노우에 가오루의 부임
2) 대원군과 왕비의 축출
6. 파국으로 치닫는 길
1) 이준용 역모 사건
2) 일본의 차관
3) 삼국간섭
4) 내각의 분열
5) 박영효의 실각
6) 미우라 고로의 부임
에필로그 : 조선 정치사의 마지막 장면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1장 권력(1863~1873)
1. 권력의 장악
1) 고종의 즉위
2) 대원군의 섭정
3) 섭정 이전의 생애
4) 신정왕후
5) 무너지는 조선
2. 권력의 공고화
1)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2) 권력 구조의 개편과 그 한계
3) ‘부국지책(富國之策)’
3. 배외정책(排外政策)과 그 결과
1) 병인박해
2) 병인양요
3) 제너럴셔먼호 사건
4) 남연군묘 도굴 미수 사건
5) 신미양요
6) 양요(洋擾) 이후의 국방정책
제2장 음모(1873~1893)
1. 대원군의 몰락
1) 명성왕후(明成王后)
2) 고종의 친정(親政)의지
3) 대원군의 하야
3) 대원군 봉환 상소운동
4) 대원군과 영남 남인
2. 조일수호조규의 체결
3. 문호개방과 그 반동
1) 문호개방의 배경
2) 신사(辛巳) 위정척사 운동
3) 이재선 역모 사건
4. 청국으로의 납치와 귀국
1) 임오군란
2) 제2차 집정
3) 청의 파병
4) 납치
5) 심문
6) 바오딩부에서의 연금 생활
7) 귀국
5. 조러밀약 사건
1) 제1차 조러밀약 사건
2) 제2차 조러밀약 사건
6. 반복되는 음모
1) 여흥 민씨의 세도
2) 개화당과의 공모
3) 원세개의 음모, 일본공사관과의 접촉
제3장 파국(1884~1895)
1. 청일전쟁
1) 전쟁의 발단
2) 일본의 출병
3)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대원군의 입궐
2. 갑오개혁
1) 군국기무처
2) 대원군과 군국기무처의 갈등
3. 평양성 전투
4. 동학농민운동
1) 이병휘의 고변
2) 대원군의 동학도 사주
3) 동학농민군의 두 번째 봉기
4) 전봉준
5. 정계 은퇴
1) 이노우에 가오루의 부임
2) 대원군과 왕비의 축출
6. 파국으로 치닫는 길
1) 이준용 역모 사건
2) 일본의 차관
3) 삼국간섭
4) 내각의 분열
5) 박영효의 실각
6) 미우라 고로의 부임
에필로그 : 조선 정치사의 마지막 장면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 > 2.개항기.구한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한말 - 일제강점기 : 1876년 강화도 조약부터 8.15해방 까지 (0) | 2022.07.19 |
---|---|
구한말 40여년의 풍경 (0) | 2022.07.19 |
한국과 이토히로부미 (0) | 2022.07.19 |
러일전쟁과 동북아의 변화 (0) | 2022.07.19 |
일체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