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책을 통해 근대 전환기와 식민 지배를 겪어야만 했던 한국의 한 여성으로서의 김마리아를 만날 수 있다. 여성으로서 차마 형언할 수 없는 일제의 잔혹한 고문을 당한 일과 미국 유학시절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한국의 독립을 위해 여성운동을 이끌던 모습, 혈혈단신 중년의 여성으로 병마와 싸우며 지조를 지켜나가는 모습에서 그녀의 뜨거운 나라사랑이 가슴 시리게 전해져온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1. 독립운동의 싹을 틔우다
출생, 그리고 가계
소래교회와 김마리아 집안
서울로 이사, 숙부들의 구국활동
정신여학교 입학과 생활
광주 수피아여학교와 정신여학교 교사
2. 동경 유학생으로 독립운동의 길로 내딛다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회장에 선출
2·8독립선언과 김마리아
3·1운동과 김마리아
서대문감옥 수감생활
3.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회장에 선출
동지의 배신과 투옥
병보석과 투병생활
끈질긴 법정투쟁
4. 목숨을 건 상해로의 망명
망명 준비_ 101
상해 망명과 임시정부 활동_ 107
국민대표회의 참석과 활약_ 110
5. 미국 망명, 유학생활과 독립운동
캘리포니아 지역에서의 강연활동_ 113
파크대학의 수학과 생활_ 119
시카고대학의 수학과 생활_ 130
뉴욕에서 근화회 조직_ 131
콜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원 수학과 생활_ 136
‘유학가지 마세요’ -고달픈 유학생활_ 139
대한독립과 결혼하다_ 143
가와무라 검사와의 만남_ 146
6. 귀국, 기독교 항일여성운동을 이끌다
돌아가리라, 조국으로_ 150
귀국과 귀국 환영회_ 155
원산 마르타윌슨 여자신학원 교수_ 162
여전도회 활동과 신사참배 거부_ 167
한줌의 재로 대동강에 잠들다_ 172
김마리아의 삶과 자취_ 176
참고문헌_ 186
찾아보기_ 191
1. 독립운동의 싹을 틔우다
출생, 그리고 가계
소래교회와 김마리아 집안
서울로 이사, 숙부들의 구국활동
정신여학교 입학과 생활
광주 수피아여학교와 정신여학교 교사
2. 동경 유학생으로 독립운동의 길로 내딛다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회장에 선출
2·8독립선언과 김마리아
3·1운동과 김마리아
서대문감옥 수감생활
3.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회장에 선출
동지의 배신과 투옥
병보석과 투병생활
끈질긴 법정투쟁
4. 목숨을 건 상해로의 망명
망명 준비_ 101
상해 망명과 임시정부 활동_ 107
국민대표회의 참석과 활약_ 110
5. 미국 망명, 유학생활과 독립운동
캘리포니아 지역에서의 강연활동_ 113
파크대학의 수학과 생활_ 119
시카고대학의 수학과 생활_ 130
뉴욕에서 근화회 조직_ 131
콜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원 수학과 생활_ 136
‘유학가지 마세요’ -고달픈 유학생활_ 139
대한독립과 결혼하다_ 143
가와무라 검사와의 만남_ 146
6. 귀국, 기독교 항일여성운동을 이끌다
돌아가리라, 조국으로_ 150
귀국과 귀국 환영회_ 155
원산 마르타윌슨 여자신학원 교수_ 162
여전도회 활동과 신사참배 거부_ 167
한줌의 재로 대동강에 잠들다_ 172
김마리아의 삶과 자취_ 176
참고문헌_ 186
찾아보기_ 191
출판사 리뷰
김마리아는 대한독립과 결혼한 독립운동가이자 여성교육지도자였다.
김마리아는 반평생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다가 해방을 1년 앞두고 저 세상으로 떠났다. 그녀는 항일독립운동과 여성운동의 횃불이자 샛별과 같은 존재로, 그녀의 독립정신은 동정녀로서 조국의 독립과 결혼할 만큼 순수했고, 그의 항일투쟁은 전장에서 항상 선봉에 섰던 잔다르크처럼 용맹하였다.
1919년 3월 6일 김마리아는 3·1운동에 참여한 주동자로서 정신여학교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형사들은 일본에서 귀국할 때, 동경유학생들로부터 독립운동에 관해서 부탁받은 사항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고 일제로부터 심한 고문에 시달려야만 했다. 여러 고문 중에서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은 대나무 봉으로 머리를 때리는 것이었다. 똑같은 간격으로 기술적으로 피가 나지 않게 계속 집중적으로 머리를 계속 때렸고 이로 인한 후유증으로 코와 귀에 고름이 잡히는 메스토이병에 걸려 평생을 심한 두통과 신경쇠약증 등으로 고생했다.
고문으로 생긴 고질병 축농증과 중이염이 크게 악화되어 1935년 원산 구세병원에서 수술받을 정도로 병고에 시달렸다. 1941년 여전도회전국연합대회에서 신사참배 반대를 선언한 김마리아는 일제의 감시와 압박을 더욱 심하게 받아야 했다. 여자신학원 학생들도 모두 신사참배에 불응했던 까닭에 일제는 이 학교에 대해 갖가지 방법으로 탄압을 가했다. 일제는 황국신민화정책에 순응하지 않는 학교를 강제 폐교시키거나 스스로 폐교하도록 하였다. 마르타윌슨 여자신학원도 결국 1943년 폐교 당했다. 같은 해 12월 7일 김마리아는 혈압으로 쓰러졌고 12시간 만에 깨어났으나 혼미한 상태는 계속되었다. 한 달 정도 지난 뒤 의식이 회복되었으나 별 차도가 없자 주위에서 입원을 종용하여 평양 기독병원에 입원하였다. 일제의 갖은 고문과 긴 망명생활로 약해질 대로 약해진 김마리아는 1944년 3월 13일 새벽에 영원한 조국을 가슴에 안은 채 영면에 들었다. 그로부터 1년 5개월 뒤 평생을 두고 그렇게도 소원하던 조국 광복이 찾아왔다.
김마리아는 반평생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다가 해방을 1년 앞두고 저 세상으로 떠났다. 그녀는 항일독립운동과 여성운동의 횃불이자 샛별과 같은 존재로, 그녀의 독립정신은 동정녀로서 조국의 독립과 결혼할 만큼 순수했고, 그의 항일투쟁은 전장에서 항상 선봉에 섰던 잔다르크처럼 용맹하였다.
1919년 3월 6일 김마리아는 3·1운동에 참여한 주동자로서 정신여학교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형사들은 일본에서 귀국할 때, 동경유학생들로부터 독립운동에 관해서 부탁받은 사항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고 일제로부터 심한 고문에 시달려야만 했다. 여러 고문 중에서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은 대나무 봉으로 머리를 때리는 것이었다. 똑같은 간격으로 기술적으로 피가 나지 않게 계속 집중적으로 머리를 계속 때렸고 이로 인한 후유증으로 코와 귀에 고름이 잡히는 메스토이병에 걸려 평생을 심한 두통과 신경쇠약증 등으로 고생했다.
고문으로 생긴 고질병 축농증과 중이염이 크게 악화되어 1935년 원산 구세병원에서 수술받을 정도로 병고에 시달렸다. 1941년 여전도회전국연합대회에서 신사참배 반대를 선언한 김마리아는 일제의 감시와 압박을 더욱 심하게 받아야 했다. 여자신학원 학생들도 모두 신사참배에 불응했던 까닭에 일제는 이 학교에 대해 갖가지 방법으로 탄압을 가했다. 일제는 황국신민화정책에 순응하지 않는 학교를 강제 폐교시키거나 스스로 폐교하도록 하였다. 마르타윌슨 여자신학원도 결국 1943년 폐교 당했다. 같은 해 12월 7일 김마리아는 혈압으로 쓰러졌고 12시간 만에 깨어났으나 혼미한 상태는 계속되었다. 한 달 정도 지난 뒤 의식이 회복되었으나 별 차도가 없자 주위에서 입원을 종용하여 평양 기독병원에 입원하였다. 일제의 갖은 고문과 긴 망명생활로 약해질 대로 약해진 김마리아는 1944년 3월 13일 새벽에 영원한 조국을 가슴에 안은 채 영면에 들었다. 그로부터 1년 5개월 뒤 평생을 두고 그렇게도 소원하던 조국 광복이 찾아왔다.
'22.역사이야기 (관심>책소개) > 4.독립운동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북을 호령한 여성독립운동가 조신성 (2010) (1) | 2024.06.04 |
---|---|
현덕신: 조선의 여성을 위해 의사가 된 독립운동가 (2023) (1) | 2024.06.04 |
3·1운동에 앞장 선 여성들 (2019) (0) | 2024.06.04 |
항일무장투쟁과 여성독립운동가 (2020) - 윤희순 박차정 이화림 한국광복군 여성대원들 (0) | 2024.06.04 |
[세트]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총100권)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