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1.한국근대사

한국과 이토히로부미 (2009)

동방박사님 2024. 8. 20. 08:34
728x90

책소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걸쳐 일본은 비서양 국가들 중에서 앞서 근대화를 달성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한 정치 지도자가 이토 히로부미 였다. 이토 히로부미는 메이지 헌법의 제정과 운용, (불평등)조약개정, 청일전쟁 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고, 그러한 그의 균형 잡힌 정치 지도는 일본의 연구에서는 높이 평가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의 주체성을 빼앗고 침략을 진행시켰다는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토 히로부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일본과 한국의 역사 인식 문제를 생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쟁점의 하나이며, 그 평가의 차이는 확실히 한국과 일본의 역사 인식의 갭을 상징하는 감마저 있다.

목차

머리말

제Ⅰ부 한국통치의 전개와 국제 관계

1 이토 유키오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정치

2 방광석
메이지정부의 한국지배정책과 이토 히로부미

3 최재목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유교관

4 나라오카 소치
영국에서 본 이토 히로부미와 한국통치

제Ⅱ부 한국통치와 법의 지배

5 이토 다카오
통감부의 사법개혁 착수

6 문준영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사법정책과 그 귀결

7 아사노 도요미
'보호' 정책이념으로서의 한일 '협동주의'

제Ⅲ부 한국통치를 둘러싼 사상

8 이성환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치와 내셔널리즘

9 다키이 가즈히로
지(知)의 향도(嚮導)로서의 한국통치

제Ⅳ부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의 기억

10 마쓰다 도시히코
이토 히로부미 살해사건의 파문

11 신주백
식민지기 안중근에 관한 국내외 조선인 사회의 기억

12 미즈노 나오키
식민지기 조선에서이 이토 히로부미의 기억

이성환·이토 유키오
조장: 식민지의 기억과 한일 관계

나라오카 소치
보충 자료: 이토 히로부미 연구의 기초 사료

후기
찾아보기

저자 소개 

등저 : 이성환 (李盛煥)
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교수, 국경연구소 소장. 일본 쓰쿠바대학교(筑波大學)에서 일본정치외교를 공부하고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일본학회 회장, 대한정치학학회 회장,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회장, 동북아역사재단 자문 위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간도는 누구의 땅인가』, 『전쟁국가일본』, 『한국과 국제정치』(공저), 『동이사의 민족과 영토』(공저) 등이 있다. 근대와 현대의 한일관계, 나아가서는 동아...

출판사 리뷰

한국에서는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의 주체성을 빼앗고 침략을 진행시켰다는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토 히로부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일본과 한국의 역사 인식 문제를 생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쟁점의 하나이며, 그 평가의 차이는 확실히 한국과 일본의 역사 인식의 갭을 상징하는 감마저 있다.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치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최근 몇 편의 우수한 연구가 발표되었지만, 이를 테마로 한 연구서는 지금까지 한 권도 없었다. 그만큼 무거운 과제였다고 하겠다.
금년 2009년은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살해된 지 꼭 100년째이고, 내년은 안중근이 처형당하고 한일합방이 이루어진 지 100년째가 된다. 올해와 내년은 한국과 일본에서 안중근과 이토 히로부미 그리고 한일합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양국의 관계를 되돌아보고 미래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래서 교토(京 )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그룹은 이 기회에 한국과 일본의 역사 인식의 차이를 조금이라도 메워 양국의 상호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08년도까지 일본의 과학연구비 보조금을 가지고 한국 연구자와 협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Ⅰ부 “한국통치의 전개와 국제 관계”는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치 구상이 어떠한 것이었으며, 그 구체적인 전개와 한국인의 반응을 밝혔다. 또 그것을 영구과 같은 당시의 열강들이 어떻게 보고있었는지를 검토한다.
제1장 이토 유키오,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치 -헤이그 밀사사건 이전
제2장 방광석, 메이지정부의 한국지배정책과 이토 히로부미
제3장 최재목,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유교관
제4장 나라오카 소치, 영국에서 본 이토 히로부미와 한국통치

제Ⅱ부 “한국통치와 법의 지배”는 통감부 시대에 일본이 근대적인 사법제도를 도입한 의의를 재검토한다.
제5장 이토 다카오, 통감부의 사법개혁 착수
제6장 문준영,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사법정책과 그 귀결
제7장 아사노 도요미, ‘보호’정책이념으로서의 한일‘협동주의’ -사회·경제적 통합의 정치적 문맥

제Ⅲ부 “한국통치를 둘러싼 사상”은 이토 히로부미 통감의 한국통치 사상과 그것에 대응하는 한국 내의 민족주의에 대해서 고찰한다.
제8장 이성환,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치와 한국 내셔널리즘 -애국계몽운동과 이토의 파탄
제9장 다키이 가즈히로, 지(知)의 향도(嚮導)로서의 한국통치

제Ⅳ부 “조선에 있어서의 이토 히로부미의 기억”은 조선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어 왔는가를 밝힌다.
제10장 마쓰다 도시히코, 이토 히로부미 살해사건의 파문 -경찰 자료로 보는 한국인 사회의 상황
제11장 신주백, 식민지기 안중근에 관한 국내외 조선인 사회의 기억 -‘이토 히로부미 저격사건’을 중심으로
제12장 미즈노 나오키, 식민지기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의 기억 -서울(京城)의 박문사(博文寺)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