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웹북] <역사탐구> 211

[웹북] 한성부

한성부 / 漢城府조선의 부남산의 정상에서 바라본 한양의 풍경 한성부 행정국가 조선 조선 → 대한제국 대한제국행정 구역 한성부역사설립 1392년경복궁 앞 흥례문근정전 어좌의 모습한성(漢城) 또는 한양(漢陽)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수도였다. 1392년 조선이 개국하면서 조선 태조는 풍수 도참설에 따라 1394년 조선의 수도를 이곳으로 정하였다. 3년 후에 경복궁을 짓고 창덕궁을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었다. 이 당시 한성부의 영역은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동서남북 방향)과 성곽 외부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데, 즉 현재의 서울시의 강북지역 대부분이 포함된다. 성곽은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유교의 오상 인의예지신(五常 仁義禮智信) 이념을 구체화하여 성문을 건축하였다. 즉 중앙은 시간을 알려주기 위해 보신각을..

[웹북] 묄렌도르프 (1847~1901) 독일출신 외교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Paul Georg von Möllendorff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한국 조복을 입고 관대를 두른 묄렌도르프, 그가 조선옷을 입은 까닭은 백성들이 그를 유럽인으로 생각하지 않게 하려 한 고종의 요구 때문이었다.출생 1847년 2월 17일 / 프로이센 왕국 체데니크사망 1901년 4월 20일(53세) / 청나라 저장성 닝보성별 남성국적 독일 제국학력 독일 할레 대학교직업 언어학자, 외교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독일어: Paul Georg von Möllendorff, 1847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또한 그는 만주어..

[웹북] 조선인 의용대 (활동기간: 1938~1941)

조선의용대 / 朝鮮義勇隊  조선의용대 중일 전쟁에 참전활동기간 1938년 ~ 1941년이념 국제주의지도자 김원봉. 최창익상위단체 조선민족혁명당.조선민족전위동맹동맹단체 국민혁명군적대단체 일본 제국 육군 조선의용대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영어: Korean Volunteers Army) 또는 조선항일의용군(朝鮮抗日義勇隊) 혹은 국제여단(國際旅團)은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성 한커우 (현명칭 우한)(漢口)에서 결성된 독립군이다. 조선민족전위동맹 산하의 단체로 분류된다. 창설중일전쟁 이전 중국 본토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은 국민당 정부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김구나 김원봉의 진영에 들어가 국민당의 경제적인 도움을 받았다. 애국단, 한국국민당, 의열단, 민족혁..

[웹북] 대한인국민회 (1910)

1915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오른쪽 열한번째는 이승만, 가운데 단상에 선 이는 안창호) 대한인국민회 국민회(國民會)는 1909년 2월 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공립협회와 하와이의 합성협회(1907. 9.)가 통합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조직된 재미 한인 독립운동 단체이다. 1910년 2월 10일 샌프란시스코의 대동보국회(1907. 3.)와 통합하여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Korean National Association)로 개편되었다. 안창호, 박용만, 이승만 등이 참여하고 이끌었다. 1922년~1924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교민단령'에 따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와 지방총회가 대한인교민단으로 개편되었으나, 이승만과의 갈등으로 1933년 대한인교민단을 해소하고 대한인국민회를 복설하였다. 194..

[웹북] 대한인동지회 (1921)

대한인동지회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는 1921년 7월 7일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설립한 독립운동단체이다. 독립운동 자금 조달과 지원 업무, 한인 2세·3세의 교육업무를 주관 하였다. 1948년 이후 한인교민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약칭은 동지회(同志會)이다.1924년 11월 16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된 대한인동지회 총회 모습.역사 / 결성 (1921)1921년 7월 7일, 호놀룰루에서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대한인동지회 설립을 공고하였다. 사무실은 1929년까지 대한인하와이교민단 총회관인 호놀룰루시 밀러가 1306번지였다. 7월 15일 15개조 규약을 발표하였다.동지회는 일부 조항을 통해 총재에게 복종할 의무를 규약으로 삼고 있었고, 이승만은 동지회의 초대 총재..

[웹북] 한인애국단 (1931)

한인애국단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은 1931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석 김구가 일본 제국의 주요 요인 암살을 목적으로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이다. 1932년 도쿄에서 이봉창 의거(사쿠라다몬 사건)와 상하이에서 윤봉길 의거 등을 거행하여 전세계에서 일본 제국에 대항했다. 거사 이후 한인애국단은 1936년까지 언론을 통해 이봉창·윤봉길 등에 대한 추모 활동을 하였고, 그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 / 결성 (1931)김구는 국내, 만주와 연락이 되지 않자 미주 동포들에게 편지를 써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였다. 시카고 공동회의 김경, 미주의 대한인국민회의 안창호와 김호 등, 하와이 대한인동지회의 이승만, 멕시코의 김기창과 이종오, 쿠바의 임천택 등을 비롯한 여럿이 모금에 참여하였..

[웹북] 9대 조선총독 / 아베 노부유키 (임기: 1944~1945)

阿部 信行  아베 노부유키   일본의 제36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9년 8월 30일~1940년 1월 15일전임 히라누마 기이치로(제35대)후임 요나이 미쓰마사(제37대) 신상정보출생일 1875년 11월 24일출생지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사망일 1953년 9월 7일 군사 경력복무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898년 ~ 1936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4사단장. 대만군 사령관 . 근무 육군대학 교관 아베 노부유키(일본어: 阿部 信行, 1875년 11월 24일 ~ 1953년 9월 7일)는 일본의 육군 군인·정치인이다. 제36대 내각총리대신과 마지막 조선총독을 지냈다. 일본 패전후 할복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서울에 진주한 미군 사령관 하지 중장과 항복문서를 조인했다. 이후 ..

[웹북] 8대 조선총독 / 고이소 구니아키 (임기: 1942~1944)

고이소 구니아키 小磯 國昭 고이소 구니아키 일본의 제41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44년 7월 22일~1945년 4월 7일전임 도조 히데키(제40대)후임 스즈키 간타로(제42대) 신상정보출생일 1880년 3월 22일출생지 일본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사망일 1950년 11월 3일(70세)사망지 일본 도쿄정당 대정익찬회종교 신토 군사 경력복무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900년 - 1938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조선군. 국민의용전투대서훈 욱일대수장 훈1등 서보장 공2급 금치훈장고이소 구니아키(일본어: 小磯 國昭, 1880년 3월 22일 ~ 1950년 11월 3일)는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인이다. 최종 계급은 육군 대장. 제41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초기 경력고이소는 1880년, 도치기현 우쓰노미..

[웹북] 7대 조선총독 / 미나미 지로 (임기: 1932~1942)

미나미 지로 南 次郎미나미 지로출생지 일본 제국 규슈 오이타현 히지사망지 일본 도쿄복무 일본 제국 육군 군기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895년 ~ 1936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주요 참전 러일 전쟁 . 중일 전쟁기타 이력 조선총독 . 추밀원 . 정치인 .  사상가 미나미 지로미나미 지로(일본어: 南 次郎, 1874년 8월 10일 ~ 1955년 12월 5일)는 일본 제국의 군인, 정치인이며 병과는 육군 기병이었다. 1936년부터 1942년까지 제7대 조선총독을 역임하였으며, 총독 재직 중 조선인에게 내선일체와 창씨개명령을 시행하였다. 1940년 1월 그는 창씨개명은 강제성이 아니라 자율성에 맡긴다고 발표하였으나 창씨개명은 강제로 단행되었고, 창씨개명 정책에 대한 혼선과 조선인의 반발로 1942년 총독직..

[웹북] 6대 조선총독 / 우가키 가즈시게 (임기: 1931~1936)

우가키 가즈시게 宇垣 一成우가키 가즈시게별명원숭이출생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노쿠니사망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91년 ~ 1931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0사단기타 이력 6대 조선 총독육군 대신외무 대신서훈 공4급 금치훈장 우가키 가즈시게우가키 가즈시게(일본어: 宇垣 一成, 1868년 8월 9일 ~ 1956년 4월 30일)는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인이다.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으로, 1927년 조선 총독을 역임했고 1923년~1927년, 1929년~1931년에는 육군대신을 지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처음 이름은 모쿠지(杢次)이고 뒤에 가즈시게(一成)로 고쳤다. 러일 전쟁에 참전했고, 일..

[웹북] 5대 조선총독 / 사이토 마코토 (임기: 1929~1931)

사이토 마코토 齋藤 實 사이토 마코토 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일본 일본의 제9대 내대신임기 1935년 2월 26일-1936년 2월 26일전임 마키노 노부아키후임 이치키 기토쿠로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30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전임 이누카이 쓰요시후임 오카다 게이스케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41대 문부대신임기 1934년 3월 3일-1934년 7월 8일전임 하토야마 이치로후임 마쓰다 겐지 일본 일본의 제47대 외무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2년 7월 6일전임 요시자와 겐키치후임 우치다 고사이 조선총독부의 제5대 총독임기 1929년 8월 17일-1931년 6월 17일전임 야마나시 한조후임 우가키 가즈..

[웹북] 4대 일본총독 / 야마나시 한조 (임기: 1927~1929)

야마나시 한조 山梨 半造야마나시 한조 출생지 일본, 가나가와현사망지 일본, 도쿄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86년 ~ 1927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8사단주요 참전 청일 전쟁 . 러일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기타 이력 일본 육군대신 . 조선 총독야마나시 한조(일본어: 山梨 半造, 1864년 4월 6일 ~ 1944년 7월 2일)는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1927년부터 1929년까지 조선 총독을 지냈다. 생애야마나시 한조는 지금의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에서 태어났다. 야마나시는 1886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1892년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894년 야마나시는 청일 전쟁에 보병 제4여단의 부관으로 참전해, 보병 제5연대 중대장, 제2군부관,..

[웹북] 임시 총독 (3대총독 이후- 4대총독 전까지) / 우가키 가즈시게 (임기: 1927.4~1927.10)

우가키 가즈시게 宇垣 一成 우가키 가즈시게별명원숭이출생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노쿠니사망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91년 ~ 1931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0사단기타 이력 6대 조선 총독육군 대신외무 대신서훈 공4급 금치훈장 우가키 가즈시게우가키 가즈시게(일본어: 宇垣 一成, 1868년 8월 9일 ~ 1956년 4월 30일)는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인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으로, 1927년 조선 총독을 역임했고 1923년~1927년, 1929년~1931년에는 육군대신을 지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 처음 이름은 모쿠지(杢次)이고 뒤에 가즈시게(一成)로 고쳤다. 러일 전쟁에 참전했고..

[웹북] 제3대 조선총독 / 사이코 마코토 (임기: 1919~1927)

.사이토 마코토 / 齋藤 實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 사이토 마코토 일본 일본의 제9대 내대신임기 1935년 2월 26일-1936년 2월 26일전임 마키노 노부아키후임 이치키 기토쿠로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30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전임 이누카이 쓰요시후임 오카다 게이스케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41대 문부대신임기 1934년 3월 3일-1934년 7월 8일전임 하토야마 이치로후임 마쓰다 겐지 일본 일본의 제47대 외무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2년 7월 6일전임 요시자와 겐키치후임 우치다 고사이 조선총독부의 제5대 총독임기 1929년 8월 17일-1931년 6월 17일전임 야마나시 한조후임 우가키..

[웹북] 광무개혁 (1807~1904)

광무개혁광무개혁(光武改革)은 1897년부터 1904년까지 고종이 시행한 개혁을 말한다.개요1897년 대한제국에서 집권한 수구파 행정부는 구제도를 근본으로 하고 신제도를 참작한다는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시정 방향을 제시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급진성을 비판하면서 점진으로 하는 개혁을 추구하였다. 이어서 법률과 칙령 개정안을 마련하려는 황제 직속 특별입법기구인 교전소를 설치하였다. 1899년(광무 3년) 오늘날의 헌법과 같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를 반포하여 황권의 절대성을 명시하였다. 이어서 태황제는 국정의 주요 권한을 황제에게 집중시켜 전제군주제 강화를 추구하였고 갑오개혁 때 23부로 개편한 행정을 13도로 재개편하였다. 또한 군사 분야에서 황제가 군권을 장악하게끔 원수부를 설치하였고 서울의 중앙군..

[웹북] 갑오개혁 (1894)

갑오개혁갑오개혁(한국 한자: 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추진한 근대화 개혁으로서 갑오경장(한국 한자: 甲午更張)이라고도 불렸다.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지게 된다. 주요 내용은 신분제(노비제)의 폐지, 은본위제, 조세의 금납 통일, 인신 매매 금지, 조혼 금지, 과부의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 폐지 등이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발생하고, 청이 조선에 군대를 파병했다. 일본 또한 톈진조약을 구실로 조선에 파병을 하였다. 톈진조약을 구실로 조선에 침투한 일본이 조선을 지배하려는 욕망을 드러내자 조선 정부는 동학농민군과 맺었던 전주화약으로 교..

[웹북] 박규수 (1807~1877) 조선시대 말기 문신 - 신미양요(1871) 당시 평양감사

박규수 朴珪壽박규수의 영정  박규수 조선의 돈령부지사임기 1865년 8월 ~ 1866년 2월군주 고종 이형섭정 흥선대원군 이하응영의정 조두순조선의 경기도 수원부 유수임기 1876년 2월 ~ 1876년 12월군주 고종 이형 신상정보출생일 1807년 10월 27일출생지 조선 한성부 북부 양덕방 계생동계사망일 1877년 2월 9일 (71세)사망지 조선 경기도 수원군에서 노환으로 병사국적 조선학력 헌종(憲宗) 14년(1848) 무신(戊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5위 (42세 때)경력 홍문관 대제학 / 의정부 우의정정당 노론계 낙론 예하 북학파 후예 성향 개화파본관 반남(潘南)부모 박종채(부) / 전주 류씨 부인(모)형제자매 박선수(친아우)배우자 연안 이씨 부인자녀 박제응친인척 연암 박지원(친조부) / ..

[웹북] 민영익 (1860~1914) - 구한말 정치인

민영익 閔泳翊 민영익 출생 1860년 경기도사망 1914년 중국 상하이성별 남성국적 조선직업 정치인 민영익민영익(閔泳翊, 1860년 ~ 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다. 처음에는 온건 개화파 정치인이었다가 갑신정변 전후로는 조선 말기 민씨 외척 정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경기도 출신이며 명성황후의 친정 일족이었다. 자(字)는 우홍(遇鴻), 호는 운미(雲楣) 또는 죽미(竹楣)·원정(園丁)·천심죽재(千尋竹齋)이며, 본관은 여흥이다. 생애 / 출생과 가계민영익은 1860년 민태호의 독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7대조 민유중의 딸이 숙종 계비로 책봉되면서 중앙 정계의 핵심 세력으로 떠올랐지만, 고조부가 예조판서를 지낸 이후로는 권력에서 점차 소외되었다. 민영익이 태어났을 때, 민태호는 동생 집..

[웹북] 한성조약 (1885)

한성조약(漢城條約, 일본어: 日朝 漢城条約)은 1885년 1월 9일(1884년 음력 11월 24일)조선의 한성부에서 조선측 대표 의정부좌의정 김홍집 외 조선측 대표단과 일본 제국 외무부대신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외 일본측 대표단이 조선과 일본의 갑신정변의 사후 처리 및 보상에 대해 체결한 조약이다. 1884년(고종 21년) 12월 말부터 조선은 일본의 갑신정변 개입을 추궁하고 김옥균 등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가, 역으로 일본이 조선 정부에게 일본 정부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고, 희생자와 각종 피해에 대한 보상금 10만 원을 지불하고, 한성에 일본 공사관을 새로 건축하는 비용을 부담할 것을 요구하였다. 1884년 12월 말부터 여러 차례의 교섭과 회담 끝에 1885년 1월 9일에 타결되었다, 배경 / 경..

[웹북] 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 (1899)

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 (大韓國·大淸國通商條約)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지정번호 유형문화재 제111호(1998년 12월 26일 지정)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제작시기 대한제국 광무 3년(1899)소유자 국립중앙도서관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大韓國·大淸國通商條約)은 광무 3년(1899년)에 한국과 청국 사이에 조인된 전문 15조의 통상협정이다. 한청통상조약이라고도 한다. 이 조약의 필사본은 1998년 12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어있다. 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은 청일전쟁 이후 무조약관계에 있던 대한제국과 청국 관계를 새로 정립시킨 조약으로, 양국은 이 조약을 통해 수교국가가 되었다. 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