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웹북] <역사탐구> 236

[웹북] 홍영식 (1856~1884) - 문신.정치가.외교관.

홍영식 洪英植홍영식 사진본명 홍영식로마자 표기 Hong Yeong-sik출생 1856년 2월 5일 / 조선 한양사망 1884년 12월 7일 / 조선 한양성별 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국적 조선직업 문신, 정치가, 외교관, 시인경력 규장각 관직 역임, 신사유람단 일원, 우정국 총판, 병조참판상훈 대광보국숭록대부, 규장각 대제학 추증홍영식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다. 구한말 개화파 정치인이며 갑신정변의 주역으로, 자는 중육(仲育), 호는 금석(琴石),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서울 출신이다. 한국 우편, 우표 제도의 선각자이기도 하다. 개화파의 중진으로서 신설된 우..

[웹북] 김윤식 (1835~1992) - 대한제국 문신.정치가.문장가.

김윤식 金允植김윤식 (조선귀족)출생 1835년 10월 3일(양력 10월 29일) / 조선 경기도 광주부사망 1922년 1월 21일(86세) /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경성부국적 조선 /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직업 문신 / 학자 / 시인 / 서예가 / 정치가 / 문장가학력 한학 수학(1874년 증광시 병과 급제)종교 유교(성리학) → 대종교활동기간 1874년 ~ 1922년장르 한시, 서예부모 김익태(부), 전주 이씨 부인(모)배우자 윤씨 부인친지 김기건(증조부) / 김용선(할아버지) / 이인성(외조부) / 윤로(장인) / 김익정(작은아버지)김윤식김윤식(金允植, 1835년 음력 10월 3일 (양력 10월 29일) ~ 1922년 1월 21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

[웹북] 안재홍 (1878~1951) - 독립운동가. 정치인

안재홍 安在鴻미군정청 예하 민정 장관남한 과도정부 수반임기 1947년 2월 5일 ~ 1948년 9월 15일대통령 이승만부통령 이시영총리 이범석사령관 존 리드 하지이름별명 호 민세(民世), 우헌(又軒), 자 경륙(景陸), 재홍(在鴻)신상정보출생일 1878년 5월 13일출생지 조선 경기도 수원군 종덕면 계루지리(現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사망일 1951년 10월 18일(73세)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경력 독립운동가, 언론인, 정치가, 역사학자, 언어학자, 수필가정당 무소속본관 순흥부모 안윤섭(부) / 남양 홍씨 부인(모)형제자매 형 안재봉 / 남동생 안재학, 안재직 / 누이동생 안재숙, 안재영, 그외 누이동생 2명배우자 이정순(사별), 김부례(재혼)자녀 장남 안정용 / 차남 안민용(아명 안민..

[웹북] 장덕수 (1894~1947) - 정치인

장덕수장덕수출생 1894년 12월 10일 / 조선 황해도 재령군 남율면사망 1947년 12월 2일(52세) / 미 군정 조선 서울특별자유시 제기동 자택에서 김구 잔당에 암살(화기에 의한 죽음)됨성별 남성 국적 대한제국본관 결성학력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직업 정치인 / 언론인 / 교수경력 보성전문학교 교수 / 동아일보 부사장 / 한국민주당 외무부장 / 한국민주당 정치부장 / 형제 장덕준(형), 장덕진(아우)배우자 박은혜(재혼)종교 개신교정당 한국민주당당내 직책 정치부장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1947년 12월 2일)는 일제강점기의 정치인, 언론인, 교수,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독립운동가 겸 언론인 장덕준의 동생이자 독립운동가 장덕진의 형이다. 본관은 결성(結城), 호..

[웹북] 신익희 (1892~1956) - 정치인

신익희 申翼熙신익희1952년 국민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학위 취득 당시의 신익희 민의원 의장1952년 국민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학위취득 당시의 신익희 민의원 의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무부 차장임기 1943년 3월 4일 ~ 1945년 8월 28일주석 김구 대한 임정 국가총수반부수상 김규식 대한 임정 국가부수반장관 조소앙 대한 임정 외무부장 직무대행 서리 / 조소앙 대한 임정 외무부장 직무대리 / 조소앙 대한 임정 외무부장 미군정청의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장 겸 상임위원장임기 1947년 6월 3일 ~ 1948년 5월 20일전임 김규식 / 대통령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수상 안재홍 / 미군정청 민정장관장관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사령관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 대한민국의 제2대 민의원 의장임기 1..

[웹북] 임병직 (1893~1976) - 대한민국의 제2대 외무부 장관

임병직대한민국의 제2대 외무부 장관임병직임기 1949년 1월 31일~1951년 4월 15일전임 장택상후임 변영태대통령 이승만부통령 이시영 신상정보출생일 1893년 10월 26일출생지 조선 충청도 부여군사망일 1976년 9월 21일(82세)사망지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국적 대한민국학력 미국 디킨슨 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경력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무관 / 대한독립군 대령 전역 / 한국독립당 최고위원(1948년) / UN 주재 대한민국 대사정당 무소속부모 임연상(부)형제자매 임병설(아우)배우자 창원 황씨 부인(초취 부인) / 전주 이씨 부인(계취 부인)자녀 슬하 3남 1녀친인척 임휘수(조부) / 임준상(숙부) / 임윤영(조카)상훈 대한민국 청조소성훈장 / 대한민국 수교훈장 광화장 / 대한민국 건국공로훈..

[웹북] 가네코 후미코 (1903~1926) - 흑우회, 사회운동가.

가네코 후미코 다른이름 박문자(朴文子)출생 1903년 1월 25일 / 일본 제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사망 1926년 7월 23일(23세) / 일본 제국 도치기현 우쓰노미야 형무소사인 자살(기록상)매장지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성별 여성국적 일본 제국민족 일본인학력 충청북도 청원 부강소학교 중퇴경력 불령사 행동대원 / 흑우회 행동위원 / 흑우연맹 행동위원치안경찰법 위반 등의 혐의로서의 대역죄인직업 사회운동가소속 흑우회부모 부 사에키 후미카즈(佐伯文一)모 가네코 기쿠노(金子きくの)배우자 박열(1926년)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가네코 후미코, 카네코 후미코가네코 후미코, 카네코 후미코,(일본어: 金子文子 かねこふみこ) 혹은 박문자(한국 한자: 朴文子, 1903년 1월 25일 ~ 1926년 7..

[웹북] 박열 (1902~1974) - 한국의 아나키스트 사회운동가

박열박열본명 박준식(朴準植)출생 1902년 3월 12일 대한제국 경상북도 문경사망 1974년 1월 17일(71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성별 남성본관 함양(咸陽)별칭 본명 박준식(朴準植)학력 일본 도쿄 세이소쿠 영어전문학교 중퇴(사후 1984년 세이소쿠 가쿠엔 고등학교 명예 졸업장 추서)직업 독립운동가, 정치가, 시인, 저술가소속 흑로회, 흑우회부모 박영수(부)배우자 가네코 후미코(사별), 장의숙(재혼)자녀 슬하 1남 1녀(아들 박영일, 딸 박경희)친척 박정식(첫째형), 박영식(둘째형)상훈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통령장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박열(朴烈, 박렬, 본명: 박준식, 본명 한자: 朴準植, 1902년 3월 12일 (1902년 음력 2월 3일) ~ 1974년 1월 17일)은 한국의 아나키스트, 사..

[웹북] 김창숙 (1879~1962) - 성균관대 초대총장

김창숙김창숙 성균관 대학교 초대 총장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패용한 모습) 김창숙성균관대학교 초대 총장임기 1953년 4월 1일~1956년 2월 2일 이름별명 자(字)는 문좌(文佐)호(號) 직강(直岡), 심산(心山), 벽옹(躄翁)별명(別)은 김우(金愚) 신상정보출생일 1879년 7월 10일출생지 조선 경상도 성주군 대가면사망일 1962년 5월 10일(82세)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을지로동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병사국적 대한민국 경력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부의장서로군정서 군사선전위원장명륜전문학교 교장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민의회 국무위원미군정청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성균관대학 학장유도회총본부 위원장고려대학교 정법대학 정치학과 특임교수성균관대학교 초대 총장부모 김호림(부)..

[웹북] 이재명 1887~1910)- 독립운동가

이재명 李在明1909년 12월 24일자 황성신문. 12월 22일 낮에 명동성당에서 이재명이 대한제국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을 피습, 칼로 흉부를 자격하여 이완용이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보도출생 1887년 10월 16일조선 평안도 선천군사망 1910년 9월 30일(22세) 일제 강점기 경성부 경성감옥에서 사형 집행됨.거주지 평안남도 평양 / 하와이주 호놀룰루/한성부성별 남성국적 대한제국본관 진안학력 평안남도 평양 일신보통학교 졸업직업 항일 독립운동가종교 개신교상훈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이재명 (독립운동가)이재명(李在明, 1887년 10월 16일 ~ 1910년 9월 30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약관의 나이로 이완용을 처단하려 했으나 실패 후 체포되어 사형 판결을 받고 형장에서 순국..

[웹북] 박영효 (1861~1939) - 조선말기 정치가, 친일파.

박영효 朴泳孝박영효조선의 한성부판윤임기 1882년 음력 12월 29일 ~ 1883년 음력 3월 16일전임 이돈응후임 조경호군주 고종 이형 조선의 경기도 광주유수 겸 수어사임기 1883년 음력 3월 17일 ~ 1883년 12월 10일군주 고종 이형 이름별명 아명(兒名)은 박무량(朴無量)작위(爵位)는 금릉위(錦陵尉)자(字)는 자순(子純)호(號)는 춘고(春皐), 현현거사(玄玄居士) 신상정보출생일 1861년 6월 12일출생지 조선 경기도 수원사망일 1939년 9월 21일(78세)사망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방에서 병사경력 한성부 판윤정당 급진개화파 후예부모 박원양(부) / 전의 이씨(모)형제자매 박영교(형) / 박영호(형)배우자 본부인 영혜옹주그 외 측실 3명자녀 박묘옥(서녀) / 박진서(서자) / 박일서..

[웹북] 서광범 (1859~1897) - 구한말 정치가, 사상가.

서광범 徐光範서광범조선의 학부대신임기 1895년군주 조선 고종섭정 내각총리대신 김홍집 서광범 (이름)별명 미국식 이름은 케네스 서(Kenneth Suh)초기 미국식 이름은 케네디 서(Kennedy Suh)자(字)는 서구(敍九)아호(雅號)는 위산(緯山)시호는 익헌공(翼獻公) 신상정보출생일 1859년 11월 8일출생지 조선 평안도 평양사망일 1897년 7월 17일(37세)사망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국적 조선→미국경력 급진개화파 출신 정치가 겸 사상가문신 겸 시인정당 무소속부모 서상익(부), 반남 박씨 부인(모)배우자 사별 초취 안동 김씨사별 계취 광산 김씨삼취 부인 밀양 박씨자녀 서재덕(양자)친인척 서대순(친조부) / 박제완(외조부)서광식(사촌 동생)서재필(족질)서재창(족질)서광효(12촌 형)서광..

[웹북] 박정양 (1841~1905) - 대한제국 정치가, 외교관.

박정양 朴定陽1888년 미국 공사 취임 당시 박정양 朴定陽 조선국 이용사 당상 경리사(朝鮮國 理用司 堂上 經理事)임기 1881년 6월 1일 ~ 1882년 7월 1일군주 고종 이형 조선국 승정원 좌승지(朝鮮國 承政院 左承旨)임기 1882년 10월 1일 ~ 1883년 5월 31일군주 고종 이형 미국 주재 조선국 외교전권대사(美國 駐在 朝鮮國 外交全權大使)임기 1887년 7월 8일 ~ 1889년 7월 8일군주 조선 고종 이형대통령 클리블랜드 미국 대통령 / 해리슨 미국 대통령 / 부통령 헨드릭스 미국 부통령 / 모턴 미국 부통령 조선국 내각총리대신 겸 대리집정공(朝鮮國 內閣總理大臣 兼 代理執政公)임기 1895년 8월 20일 ~ 1895년 10월 8일군주 고종 이형 박정양 (이름)별명 자 치중(致中)호 죽천(竹..

[웹북] 만민공동회 (1897~1899)

만인공동회 종로 집회 전경.만민공동회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했다. 1897년(광무 1년) 초 독립협회의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등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만민공동회는 독립협회 주최하에 민중대회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한성부의 시민, 소상인, 일부 지식인층이 참여했다. 이후 1897년 10월 박정양을 비롯한 정부의 개혁적 관료들과 독립협회가 함께 주관하면서 범국민적인 대회, 단체로 성장했다. 정부 측의 박정양, 이상재, 독립협회 측의 서재필, 윤치호 등이 이를 지도하였다. 만민공동회는 처음에는 사교 모임 형태였..

[웹북] 독립협회 (1896~1898)

독립협회의 모임 장소로 이용되던 독립관 (2020년, 서울연구원)독립협회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대한제국의 협회이다. 초기에는 사교 형식으로 출발하여 민중계몽단체, 근대적인 정치단체 및 근대적인 정당으로 발전하였다. 1897년에는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해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다. 1898년 12월 해산되었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은 그해 이어 7월 2일, 내부적으로는 민중 스스로 인권과 참정권을 주장하게 하고, 대외적으로는 자주국을 표방, 독립문 건립과 독립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독립협회를 창설하였다. 독립협회의 참여자 수가 늘면서 각지의 백성들이 참여하는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였고, 학생들에게 토론과 타협을 가르치는 협성회를 산하 기관으로 조직, ..

[웹북] 양기탁 (1871~1938)

양기탁 梁起鐸대한제국의 궁내부 예식원 예하 영어통역관임기 1904년 3월 1일 ~ 1907년 1월 31일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형섭정 이근명(前)황태자 이척(前)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3대 국무령임기 1926년 2월 18일~1926년 4월 29일전임 이상룡후임 이동녕 신상정보출생일 1871년 4월 2일출생지 조선 평안도 강서군 소천면사망일 1938년 4월 19일(67세)사망지 중화민국 장쑤성 전장 시 단양 현학력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학과경력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 한국독립당 전임고문정당 한국독립당부모 양시영(부) / 인동 장씨 부인(모)배우자 강릉 김씨 부인자녀 슬하 1남 1녀(그 중 아들 양효손)친인척 양준자(손녀) / 박유철(손녀사위) / 박은식(사돈) / 박시창(사돈)종교 유교(성리학)상훈 건국..

[웹북]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1872~1909)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裵說 Ernest Thomas Bethell 개인정보출생 1872년 11월 3일 / 잉글랜드의 기 잉글랜드 브리스틀사망 1909년 5월 1일(36세) /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한성부교파 개신교(잉글랜드 성공회)전직 대한제국 외무아문 자문관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영어: Ernest Thomas Bethell 어니스트 토머스 베설, 1872년 11월 3일 ~ 1909년 5월 1일)은 1904년에서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언론인, 신문기자이다. 한국명인 "배설(裵說)"이라는 이름 또한 사용하였다.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조선의 항일 운동 발생에도 꽤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생애영국의 브리스틀에서 출생한 베델은 16살에서 32살까지 16년..

[웹북] 대한매일신보 (1904~1910)

대한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특파원으로 머무르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이후 서울신문의 전신인 일제강점기시대에 매일신보로 바뀌었다. 대한매일신보는 사장이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었기에 통감부에게 검열받지 않고 항일 논설을 자유롭게 실을 수 있어 일반 민중의 지지도가 높았고 발행 부수도 가장 많았다.[출처 필요] 영문판의 제호는 《The Korea Daily News》였다. 주요 논설진으로는 양기탁 외에 신채호·박은식·장도빈 등이 있었다. 양기탁이 편집과 경영의 실질적 책임을 지고 있었으며 주요 논설의 대부분 역시 그에 의해..

[웹북] 한국광복군 (1940~1946)

한국 광복군의 기한국 광복군의 문장한국광복군 성립 전례식 기념사진 한국 광복군 韓國 光復軍한국의 독립운동, 태평양 전쟁, 중일 전쟁, 버마 전역에 참전 한국 광복군활동기간 1940년 9월 17일 ~ 1946년 5월 16일이념 한국 민족주의지도자 지청천 / 이범석 / 김원봉 / 김학규 / 박시창 / 김홍일본부 중화민국 충칭병력 339명~564명상위단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유래단체 한국독립군 / 조선의용대이후단체 대한민국 국군동맹단체 국민혁명군동맹국가 미국 / 대영제국 / 중화민국적대국가 일본 제국 참여한 전투 한국의 독립운동 / 태평양 전쟁 / 중일 전쟁버마 전역서울 진공 작전 (1945년) 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또는 줄여서 광복군(光復軍)은 1940년 9월 ..

[웹북] 한국국민당 (1935)

한국국민당 (1935년)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은 대한민국의 한국의 독립운동단체로 1935년 김구를 중심으로 이동녕, 이시영, 조완구, 차이석, 송병조, 김붕준, 엄항섭, 조성환 등이 함께 설립하였다. 중일전쟁 도중 충칭으로 옮겨와서 중국에 있던 독립운동 7개의 단체중 공산주의 전선인 조선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민족전위동맹, 조선혁명자연맹을 제외한민족운동 진영의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만이 한국독립당으로 통합하였다.Sources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