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역사문화기행 (2006~현재)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53

탑골공원 역사 특별전시

조선시대 탑골 현재 종로 인사동과 낙원동 일대는 엣날 한양 경행방 (慶幸坊) 이었다. 불교를 숭상하였던 세조(1455~1468)는 이곳에 원각사(圓覺寺)를 창건하였고, 일명 백탑(白搭)이라고 일컫는 대리석 소쟁의 10층석탑을 건립하였다. 이때부터 그 주변을 탑이 있는 동네라하여 탑골(塔골) 또는 탑동(塔洞) 으로 불렀다. 원각사는 왕실의 사찰로 번창하였고, 탑골 일대는 외국 사신들도 즐겨 찾는 한양의 명소(名所) 로 발전하였다. 세조 이후 원각사는 예전의 위상을 점차 잃었고, 결국 1504년 (연산군10)에 폐사 (廢寺)되었다. 임진왜란이후 원각사 터와 탑골에는 백성들의 민가가 빽빽이 들어서면서 과거 흔적을 찾을수 없었고, 10층석탑만이 우뚝 솟은 채로 옛 영광을 상징하고 있었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

공평동 룰 공평동 일대는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일반 서민부터 왕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생활상이 한데 어우러진 곳이었다. 또 태화관, 종로YMCA등 민족운동과 관련된 근대유적도 다수 분포해 두터운 역사적 층위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1978년 총 19개 도심개발지구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6개 지구의 재개발 사업이 2010년에 완료 되었다. 제1.2.4지구는 재개발사업의 시행에 앞서 2010년 문화재 지표조사, 2014~15년 매장문화재 발국조사를 실시하였다. 그결과 조선시대 초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108동건물지, 500여 년전 조선시대 골목길 등의 유구와, 1,000여점의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 되었다. 한양도성 내 전모를 간직한 조선시대 생활유적으로 '조선의 폼페..

의금부 금오계첩

전시를 열며 공평 도시유적관은 도심의 정비사업에서 출토된 도시유적을 원위치에 전면 보존한 현장 박물관입니다. 전시관 개관 1주년을 맞아 첫 기획전 "의금부 금 오계첩"을 개최합니다. 전시관 길 건너편 건평 방 건평 방 에 자리 잡은 조선시대 최고의 사법기관이었던 의금부 義禁府의 기능과 활동, 의금부도사 義禁府都事 들이 신입 관료의 신고식인 면신례 과정에서 게첩을 제작해 동료들과 나누어 가졌던 모습과 각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을 모아 전시에 담아냈습니다. 이번 전시가 이라는 기록물을 통해 의금부와 관료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면 합니다. 서울역사박물관장 송인호 한양도성 내부 지역에서 발굴된 유적의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도심지역에서 발굴된 다양한 생활유적이며,..

서울생활사박물관 (노원구)

작품명 : 후회합니다. 작가명 : 신지현 2019.7. 공판을 마치고 피고인의 후회하는 모습과 이를 위로하는 변호사와 교도관의 모습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서울 생활사박물관은 본 작품을 통해서 이 곳 구치감을 스쳐간 피고인들의 진정한 후회와 밪성을 이끄어 내었던 교정과 교화의 따뜻한 ..

서울살이 2 (내집마련의 꿈)

내 집 마련의 꿈 우리말 "집'에는 물리적 공간인 "주택"과 보금자리인 "가정'이란 뜻이 담겨있다. 즉, 거주할 집을 마련하는 일은 곧 안정된 가정에 대한 소망이었다. 특히 서울의 지방출신 이주민들에게 서울살이의 가장 중요한 필수조건은 가족들이 등 붙이고 누을 방 한칸을 마련하는 ..

서울생활사 박물관 (서울풍경)

천만의 도시, 서울 - 서울에 살다 서울은 흔히 600년 역사도시라고 한다. 또는 2000년 고도(古都)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600년 혹은 2000녀의 시간이 서울 곳곳에 고르게 누적된 것은 아니다. 지금의 서울은 조선시대 서울 이었던 사대문 안과 성저십리 (城底十里)였던 곳, 그리고 해방이..

단성사와 한국영화상영 100주년

1907년 설립된 단성사는 한국영화의 산실 역할을 한 서울의 대표적인 영화관이다. 특히 1919년에는 최초의 한국영화 &lt;의리적 구토&gt;가 단성사에서 상영되어 올해는 한국영화상영 10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또 이 영화가 개봉된 10월27일 “영화의 날”로 제정되어 기념해 오고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