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역사기억여행 (2010~현재) <여행지>/3.삼일운동기억 29

왕이 없는나라 (황제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여운형 1886~1947 건국준비위원회 연설문에서 (1945.8.16) 이제 우리민족은 새역사의 첫발을 내 딛게 됐다.우리는 지난날의 아프고 쓰라린 것들은 이 자리에서 잊어버리리 이땅을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나라를 건설해야한다, 독립운동가들이 꿈꾼나라 사상의 귀추와 운동의 방향. 나경석 (1890~1959) 1924년3월. 국립중앙도서관제공 공화제, 정치체제의 이상이되다 나경석은 20세기 초 사회의 상황에 따라 사상의 변화를 소개하며 3.1운동이 민중 사상 전환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독립주의를 추구하던 우리나라의 사상을 1905년 이후 입헌군주제론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대한제국이 일제에 주권을 빼앗긴 1910년대 이후에는 공화제가 강력히 대두하여 3.1운동 당시에는 공화제로 귀결되었다. 공화제는 미..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독립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독립운동 1818년 4월11일, 상하이프랑스 조게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임시정부는 영토는 없었지만 태극기 아래 모인 국민이 있었다. 국민 대표로 구성된 임시의정원에서 나라의 이름을 "대한민국"으로 결정하고 헌법과 정치체제를 제정하고 반포하였다..

황제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오늘날 우리나라에는 황제가 없나요? 있소. 대한나라의 과서에는 황제는 1인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2천만 국민이 모두 황제요, 그대들 모두가 황제요. 황제란 무었이오, 나라의 주인을 말하니, 과거 나라의 주인은 오직 한 사람이었지만. 지금은 그대들 모두가 주인이오. 안창호 (1878~1938) ..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의 시작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의 시작 1919년 3월1일 2시 민족대표들은 태화관에 모였다. 독립선언서를 참석자에게 배부하고, 최린은 종로경찰서에 독립선언서를 보내 태화관에 자신들이 있다는 것을 알렸다. 이내 종로경찰서 경찰들이 들이닥쳤다. 한용운은 자리에서 일어나 간단한 연설을 한 뒤 ..

독입선언서 작성인쇄 와 탑골공원

독입선언서를 작성하고 인쇄하다. 독립선언서는 최남선이 기초하였으며,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작성 되었다. 최남선은 최린돠 논의를 거치며 2월10일경 초안을 완성하였고, 15일경 최린에게 넘겨주었다. 최린은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에게 보여주고 동의를 구했다. 최남선은 미국대통..

아우네 3.1만세운동 기념공원

아우네장터 만세운동 시위지 19년 4월1일 아우내 장터에 모인 군중이 만세시위를 벌인 곳이다. 서울에서 3.1운동에 참여한 유관순은 병천으로 내려와 만세운동 사실을 전하였다. 소식을 들은 유중권과 조인원 등은 아우내 장날을 이용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계획하였다. 소식을 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