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웹북] <역사탐구>/3.고려시대사 (918~1392) 15

[웹북] 고려 13대 국왕 / 선종 (재위: 1083~1094)

선종 / 宣宗고려 국왕재위 1083년 12월 12일 ~ 1094년 6월 23일 (양력)전임 순종후임 헌종 이름휘 왕운(王運), 왕증(王蒸), 왕기(王祈)별호 국원공(國原公)묘호 선종(宣宗)시호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능호 인릉(仁陵) 신상정보출생일 1049년년 10월 1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사망일 1094년 6월 23일(44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연영전부친 문종모친 인예태후 이씨형제자매 13남 7녀 중 차남배우자 사숙왕후 이씨, 정신현비 이씨자녀 2남 2녀 (4남 3녀)헌종, 한산후, 연화공주, 수안택주 선종 / 宣宗선종 왕운(宣宗, 1049년 10월 15일 (음력 9월 10일), 율리우스력 10월 9일 ~ 1094년 6월 23일 (음력 5월 2일), 율리우스력 6월 ..

[웹북] 고려 제12대 국왕 / 순종 (재위: 1083~1083)

순종 / 順宗고려 국왕재위 1083년 9월 8일 ~ 1083년 12월 11일 (양력)전임 문종후임 선종 고려국 왕태자재위 1054년 3월 26일1] ~ 1083년 9월 8일 (양력)전임 왕세자 흠 (덕종)후임 왕세자 욱 (헌종) 이름휘 왕훈(王勳), 왕휴(王烋)묘호 순종(順宗)시호 영명정헌선혜대왕(英明靖憲宣惠大王)능호 성릉(成陵) 신상정보출생일 1048년 1월 3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사망일 1083년 12월 11일(35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치상소부친 문종모친 인선왕후 이씨형제자매 13남 7녀 중 장남배우자 정의왕후 왕씨, 선희왕후 김씨, 장경궁주자녀 없음 고려국왕 순종순종(順宗, 1048년 1월 3일 (1047년 음력 12월 9일), 율리우스력 1047년 12월 28일 ~ 108..

[웹북] 고려 제11대 국왕 / 문종 (재위: 1046~1083)

문종 / 文宗고려 국왕재위 1046년 6월 30일 ~ 1083년 9월 8일 (양력)전임 정종후임 순종 이름휘 왕휘(王徽)별호 낙랑군(樂浪君)묘호 문종(文宗)시호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능호 경릉(景陵) 신상정보출생일 1020년 1월 4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안복궁사망일 1083년 9월 8일(63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중광전부친 현종모친 원혜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4남배우자 인평왕후 김씨, 인예왕후 이씨자녀 13남 2녀 (13남 7녀) 문종 (고려 11대국왕)문종(文宗, 1020년 1월 4일 (음력 12월 1일), 율리우스력 1019년 12월 29일 ~ 1083년 9월 8일 (음력 7월 18일), 율리우스력 9월 2일)은 고려의 제11대 국왕(재위 : 1046년 ..

[웹북] 고려 10대 국왕 / 정종 (재위: 1034~1046)

정종 / 靖宗고려 국왕재위 1034년 11월 6일 ~ 1046년 6월 30일 (양력)전임 덕종후임 문종 이름휘 왕형(王亨)별호 평양군(平壤君)묘호 정종(靖宗)시호 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弘孝安毅康獻英烈文敬容惠大王)능호 주릉(周陵) 신상정보출생일 1018년 9월 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연경원사망일 1046년 6월 30일(27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법운사부친 현종모친 원성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3남배우자 용신왕후 한씨, 용의왕후 한씨, 용목왕후 이씨자녀 4남 1녀왕형, 애상군, 낙랑후, 개성후, 도애공주 정종 (고려 10대국왕)정종(靖宗) 1018년 9월 5일 (음력 7월 17일), 율리우스력 8월 30일 ~ 1046년 6월 30일 (음력 5월 18일), 율리우스력 6월 24..

[웹북] 고려 9대국왕 / 덕종 (재위 : 1022~1034 )

덕종 德宗고려 국왕재위 1031년 6월 23일 ~ 1034년 11월 6일 (양력)전임 현종후임 정종 고려의 태자재위 1022년 7월 2일[1] ~ 1031년 6월 23일 (양력)전임 왕태자-정윤 주 (경종)후임 왕태자 훈 (순종) 이름휘 왕흠(王欽)별호 연경군(延慶君)묘호 덕종(德宗)시호 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宣孝剛明廣章敬康大王)능호 숙릉(肅陵) 신상정보출생일 1016년 6월 1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연경원사망일 1034년 9월 17일(18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연영전부친 현종모친 원성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장남배우자 경성왕후 김씨, 경목현비 김씨, 효사왕후 김씨자녀 2녀 상회공주, 공주 덕종덕종(德宗, 1016년 6월 15일 (음력 5월 2일)], 율리우스력 6월 9일 ~ ..

[웹북] 고려 8대국왕 / 현종 (재위 : 1009~1031 )

초등대한역사에 실린 현종이 강감찬을 교외에서 영접하고 머리 위에 금꽃을 꽂아 주는 그림고려 국왕 헌종재위 1009년 3월 8일 ~ 1031년 6월 23일 (양력)출생일 992년 8월 6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성부 헌정왕후 사저사망일 1031년 6월 23일(38세) (양력)현종 (고려)현종(顯宗, 992년 8월 6일(음력 7월 1일, 율리우스력 8월 1일) ~ 1031년 6월 23일(음력 5월 25일, 율리우스력 6월 17일)은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3월 8일 (음력 2월 3일, 율리우스력 3월 2일) ~ 1031년 6월 23일 (음력 5월 25일, 율리우스력 6월 17일))이다. 주요 이력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大良院君)이었고, 묘호는 현종(顯..

[웹북] 고려 7대 국왕 / 목종 (재위: 997~1009)

목종 / 穆宗고려 국왕재위 997년 10월 27일 ~ 1009년 2월 3일 (음력)전임 성종후임 현종 이름휘 왕송(王誦)이칭 개령군(開寧君), 양국공(讓國公)묘호 목종(穆宗)시호 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孝思威惠克英定恭宣讓大王)능호 의릉(義陵) 신상정보출생일 980년 7월 5일출생지 고려 개경 정전사망일 1009년 2월 3일(28세) (음력)사망지 고려 개성부 적성현부친 경종모친 헌애왕후 황보씨배우자 선정왕후 유씨자녀 없음 고려국왕 (목종)목종(穆宗, 980년 7월 5일(음력 5월 20일) ~ 1009년 음력 2월 3일)은 고려의 제7대 국왕 (재위 : 997년 음력 10월 27일 ~ 1009년 음력 2월 3일)이다. 강조의 정변으로 인해 폐위된 후 살해되었다. 생애즉위 이전980년(경종 5년) 5월 20..

[웹북] 고려 6대 국왕 / 성종 (재위: 981~997)

고려 국왕 (성종)재위 981년 8월 14일 ~ 997년 11월 29일 (양력)전임 경종후임 목종 이름휘 왕치(王治)별호 개령군(開寧君)묘호 성종(成宗)시호 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康威章憲廣孝獻明襄定文懿大王)능호 강릉(康陵) 신상정보출생일 961년 1월 15일 (양력)사망일 997년 11월 29일(36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내천왕사부친 대종모친 선의왕후 유씨배우자 문덕왕후 유씨, 문화왕후 김씨자녀 2녀원정왕후, 원화왕후 성종 / 成宗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음력 10월 27일)은 고려의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다. 경종 사후 어린 조카 송을 대신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재위 중 국자감을 정비하여 관학을 발전..

[웹북] 고려 제5대 국왕 / 경종 (재위: 975~981)

경종 / 景宗고려 국왕재위 975년 5월 23일 ~ 981년 7월 11일 (음력)전임 광종후임 성종고려국 정윤재위 965년 2월 ~ 975년 5월 23일 (음력)전임 정윤 무 (혜종)후임 왕태자 흠 (덕종) 이름휘 왕십리묘호 경종(景宗)시호 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의헌화대왕(至仁成穆明惠順熙靖孝恭懿獻和大王) 신상정보출생일 955년 9월 22일 (음력)사망일 981년 7월 11일(25세) (음력)부친 광종배우자 헌숙왕후 김씨, 헌의왕후 유씨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자녀 1남목종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음력 7월 11일[1]))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다. 휘는 주(伷), 자는 장민(長民), 묘호는 경종(景宗), 시호는 지..

[웹북] 고려 제4대 국왕 / 광종 (재위: 949~975)

광종의 능인 헌릉광종 光宗고려 4대국왕재위 949년 4월 18일 ~ 975년 7월 9일 (양력)전임 정종후임 경종이름휘 왕소(王昭)묘호 광종(光宗)시호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능호 헌릉(憲陵)연호 광덕(光德), 준풍(峻豊)신상정보출생일 925년사망일 975년 7월 9일 (양력) (50세)부친 태조모친 신명순성왕후 유씨배우자 대목왕후 황보씨자녀 2남 3녀 경종, 효화태자, 천추전부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종교 불교 광종광종(光宗, 925년 ~ 975년 7월 9일 (음력 5월 23일[1], 율리우스력 7월 4일)은 고려의 제4대 국왕이자 황제(재위: 949년 4월 18일(음력 3월 13일, 율리우스력 4월 13일) ~ 975년 7월 9일)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

[웹북] 고려 제 3대 국왕 / 정종 (재위: 945~949)

정종 (고려 3대)정종 定宗 / 고려 국왕재위 945년 10월 28일 ~ 949년 4월 18일 (양력)전임 혜종후임 광종 이름휘 왕요(王堯)묘호 정종(定宗)시호 지덕장경정숙영인간경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능호 안릉(安陵) 신상정보출생일 923년 생일미상사망일 949년 4월 18일 (25세~26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제석원부친 태조 왕건모친 신명순성왕후 유씨배우자 문공왕후 박씨, 문성왕후 박씨자녀 1남 1녀경춘원군, 공주(시호 및 이름이 전하지 않음) 정종 (고려 3대)정종(定宗, 923년 ~ 949년 4월 18일(음력 3월 13일), 율리우스력 4월 13일)은 고려의 제3대 국왕(재위: 945년 10월 28일 (음력 9월 15일), 율리우스력 10월 23일 ~ 949년 4월 18..

[웹북] 고려 제2대 국왕 / 혜종 (재위: 943~945)

혜종 惠宗 / 고려 국왕재위 943년 7월 9일 ~ 945년 10월 28일 (양력)전임 태조후임 정종 고려국 정윤(正胤)재위 922년 1월 15일[1] ~ 943년 7월 9일 (양력)전임 -후임 왕태자 주 (경종) 이름휘 왕무(王武)묘호 혜종(惠宗)시호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능호 순릉(順陵) 신상정보출생일 912년출생지 태봉국 나주 목포사망일 945년 10월 28일 (양력) (33세)사망지 고려 개경 중광전부친 태조모친 장화왕후 오씨배우자 의화왕후 임씨자녀 2남 3녀흥화궁군, 경화궁부인, 정헌공주왕제, 명혜부인 혜종 (고려 2대국왕)혜종(惠宗, 912년 ~ 945년 10월 28일 (음력 9월 15일), 율리우스력 10월 23일)은 고려 제2대 국왕(재위:943년 7월 9일..

[웹북] 제1대 고려왕 태조 (재위: 918~943)

태조 太祖 왕건의 모습을 본따 만든 동상제1대 고려 국왕재위 918년 7월 30일 ~ 943년 7월 9일 (양력)후임 혜종이름휘 왕건(王建) / 별호 약천(若天) / 묘호 태조(太祖)시호 응운원명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신성대왕(應運元明光烈大定睿德章孝威穆神聖大王)능호 현릉(顯陵) 개성특별시 해선리연호 천수(天授, 918년 ~ 933년)신상정보출생일 877년 2월 4일 (양력)출생지 신라 한산주 송악사망일 943년 7월 9일(66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신덕전가문 개성 왕씨부친 세조 왕륭모친 위숙왕후 한씨배우자 신혜왕후 유씨 / 신명순성왕후 유씨 / 신성왕후 김씨 / 장화왕후 오씨 / 신정왕후 황보씨 / 정덕왕후 유씨자녀 25남 10녀종교 불교군사 경력충성 태봉주요 참전 후삼국 시대 : 나주 전투 / 공산 ..

[웹북] 고려시대 (918~1392)

고려  高麗  918년~1392년국기의장기문장 고려국왕지인1389년 고려의 강역.고려 수도 개경 (919-1232, 1270-1382, 1383-1390, 1391-1392)철원 (918-919)강도 (1232-1270)남경 (1382-1383, 1390-1391) 정치정치체제 군주제국왕918년 ~ 943년 태조(초대) 949년 ~ 975년 광종 981년 ~ 997년 성종 992년 ~ 1031년 현종 1046년 ~ 1083년 문종 1146년 ~ 1170년 의종 1213년 ~ 1259년 고종 1259년 ~ 1274년 원종 1274년 ~ 1308년 충렬왕 1351년 ~ 1374년 공민왕 1389년 ~ 1392년 공양왕(말대)  문하시중988년 최승로 1030년 강감찬 1108년 ~ 1109년 윤관 1356년..

[웹북] 삼별초 (1270)

09월 19일 한국사 주요 사건일지1270 삼별초, 진도 도착 / 1907 독립운동가 이남규 사망 / 1907 대한자강회 해산령 / 1964 국제의원연맹 (IPU)가맹 /1988 서경원 의원 밀입국 (8.19~8.21) / 1993 초고속정보통신망 기본계획수립 / 1993 국회, 김영삼 대통령의 금융실명제 승인 / 1997 북한경수로 착공 / 2003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 재판소 재판관 전효숙 부장판사 지명삼별초삼별초(三別抄)는 몽골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가 정규군으로 재편된 군대였다. 제주도에서 궤멸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나, 일부 세력이 류큐 왕국(오키나와 지역)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