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기독교역사 [웹북] <역사탐구> 141

[웹북] 콘클라베

콘클라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1492년 처음 콘클라베가 이루어졌으며, 1878년 이후로 모든 콘클라베가 이 곳에서 행해졌다.콘클라베(라틴어: conclave)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제도로, 교황 선종시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단이 소집되어 진행되는 교황 선출 비밀 회의를 말한다.라틴어의 cum(함께), clavis(열쇠)의 합성어인 ‘쿰 클라비’(cum clavis)에서 유래하였으며 ‘열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한다. 선거인단인 추기경들이 외부와 차단된 비밀 투표장인 시스티나 성당을 걸어 잠그고 그 안에서 선거를 하기 때문에 콘클라베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 교황 선출 방법은 시대마다 조금씩 변화가 있었다. 황제가 임명하는가 하면, 로마 귀족들간 협의로 선출하기..

[웹북] 아비뇽 유스 / 바빌론유수

아비뇽 교황청아비뇽 유수아비뇽 유수(-幽囚, Avignon Papacy)는 14세기 당시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던 서방교회의 교황청을 신성 로마 제국이 강제적으로 프랑스 남부 아비뇽으로 옮겨 1309년부터 1377년까지 머무르게 한 사건을 말한다. 고대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에 빗대어 쓰인 표현이다. 약 70년 동안 머물렀으며 그 시기에 모두 7명의 교황이 아비뇽에서 생활하였다. 교황청을 다시 로마로 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유럽사회에 빗발치자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1377년에 로마로 교황청을 이전하며 아비뇽 유수를 종식시켰다. 경과필리프 4세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대립이 있던 중에 1303년 9월 7일 프랑스군이 이탈리아 아나니의 별장에 있던 교황을 습격한 아나니 사건이 발생하였다.교황 보니파시..

[웹북] 서방교회 대분열 (1378–1417)

서방교회의 분열을 상징화한 14세기의 세밀화.서방교회 대분열날짜 1378–1417년장소 서방 기독교 국가 (주로 유럽)결과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임기와 그 후 몇 년간인 1417–1429년 동안 안정화.교전국 아비뇽 교황청지지 세력: 프랑스 / 아라곤 연합왕국 / 카스티야레온 / 스코틀랜드 / 나바라 / 나폴리 / 시칠리아 / 보헤미아 연합왕국 / 키프로스 / 사보이아 / 부르고뉴 / 브르타뉴 / 로도스 기사단 / 웨일스 반군 / 포르투갈 / 푸아 / 아르마냐크 로마 교황청지지 세력: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 잉글랜드 / 아일랜드 / 헝가리 / 플랑드르 / 베네치아 / 신성 로마 제국 / 폴란드 / 리투아니아 / 덴마크 / Norway / 스웨덴 / 튜튼 기사단 / 포르투갈 / 아키텐..

[웹북] 동서교회의 대분열 (1204)

동서교회 대분열동서교회 대분열(영어: East–West Schism)은 4세기부터 이어진 전통인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지역 교회의 연합체인 공교회(보편교회)의 분열이었다.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교회의 서방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교회의 동방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한다. 이에 대해 입장은 서로 나뉘는데, 동방교회의 입장은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서방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며, 서방교회 입장은 동방 교회와 분리된 것으로 이해한다. 11세기의 분열은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과 동로마 제국의 정치적 실리를 위한 협상의 일환이었고, 동서 교회는 이후로도 상호 협력과 지원을 하곤 했다. 실제적인 분열은 1204..

[웹북] 서방기독교

서방 기독교(Western Christianity) 또는 서방교회는 동방 기독교와 구분되는 말로 쓰인다. 11세기 동서교회 대분열로 그 형태가 구체화하였다. 칼케돈파 교회 중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가 여기에 포함된다.서방교회의 기원서방교회는 보편교회의 5개 교회 연합 가운데 하나인 로마 교회를 중심으로 한다. 나머지 4개 교회인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와 알렉산드리아 교회, 안디오키아 교회, 예루살렘 교회 연합이 현재의 동방교회(동방기독교)가 되었다. 이 서방교회를 천주교회 혹은 가톨릭이라 부르는다.동서 단일교회를 이루던 시기를 지나 양자간 갈등이 누적된 결과 11세기 동서교회 대분열이 발생하여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는 상호간 성사교류를 중단하였다. 이 둘은 현재도 서로 상대방이 본인들에게서 분리된 교회고, ..

[웹북] 기독교 신학

기독교 신학기독교 신학(基督敎神學, Christian theology)은 기독교 신앙과 교회를 위한 학문이며 기독교의 학문적 연구로서 신학이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를 신앙의 전제조건으로 두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종교학과는 차별된다. 기독교 신학은 발생한 시대와 문화에 발맞춰 진행되었던 관계로 시대와 문화를 통시적으로 아우르는 획일적인 규범이 되는 신학은 존재하지 않는다. 기독교 신학을 다루는 신학자는 성서에 대하여 주석을 남기고, 구약 및 신약 성경 및 신학적 정통과 역사적인 문헌에서 나타나는 주장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해도를 높이며, 강해를 수행하여 기독교 교리를 변호하고 보완한다. (신학적 해석학) 기독교 신학은, 신학자로 하여금 기독교가 말하는 진리에 대해 이해를 높히게 하며 기독교..

[웹북] 메시아

사무엘이 다윗에게 성유를 뿌리다, 두라 에우로포스, 시리아, 날짜: 서기 3세기메시아메시아(히브리어: מָשִׁיחַ 마쉬하, 영어: Messiah 메시아)는 아브라함의 종교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로서 "구원자", "해방자"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스라엘 민족은 끊임없이 외적(外敵)으로부터 위협을 받아 결국에는 나라를 잃게 되는 고통스러운 역사를 걸어왔는데, 이러한 체험으로부터 한 사람의 구제자(救濟者)를 대망(待望)하는 사상이 길러지게 되었다. 이 사상에 의하면 이상적(理想的)인 왕이 탄생하여 이스라엘의 국난(國難)을 타개하고 이 세상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상적인 왕의 모습은 언제나 다윗을 염두에 두고 생각되었었다. 사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제2대 왕이 되어 국가의..

[웹북] 기독교

기독교기독교(基督敎, 영어: Christianity) 또는 그리스도교, 크리스트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에 바탕을 둔 아브라함계 유일신교이며, 세계 인구의 1/3이 신자인 세계 최대의 종교이다.기독교 신자들은 예수가 구약성경에서 예언된 메시아로서 인류를 구원하려 이 세상에 온 그리스도라고 믿는다. 예수의 행적은 신약성경 중에서도 네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예수의 12제자들을 통해 널리 퍼졌다. 기독교에는 여러 종파가 있으며, 크게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로 분류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는 서방 기독교에 속하고,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은 동방 기독교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정통"으로 불리는 주류 기독교 종파는 모두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경전으로 삼고, 니..

[웹북] 교황

교황 Papa교황 성좌의 문장현직:사도좌 공석호칭 성하관저 사도궁초대 성 베드로설립 1세기임명자 콘클라베 교황교황(敎皇, 라틴어: papa, 그리스어: πάπας, 영어: pope)은 로마 교구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다.이는 가톨릭 전승에서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교회의 첫 수장으로 임명되어 천국의 열쇠를 부여받았다는 성 베드로의 정통 후계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전 세계 14억 신자들이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인 교황은 세계적으로 정치적, 외교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로마 가톨릭교회 창시 이래 지금까지 2천 년 동안 총 266대 교황이 재위하였으며, 2025년 4월 21일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종 이후 현재 공석이다. 교황의 직위를 가..

[웹북] 마티아 (맛디아) - 천주교에서 12사도

마티아사도, 순교자 마티아 출생 1세기 유대선종 80년 예루살렘교파 보편교회축일 5월 14일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 8월 9일 (동방 정교회), (루터회)상징 도끼·축대수호 목수·재단사·천연두 환자·알코올 중독자 마티아마티아는 천주교에서 열두 사도 중 한 사람이다. 마티아 뜻은 히브리어 마티티아(Mattithiah)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선물’이란 뜻이다. 사도행전을 보면, 예수 그리스도가 하늘로 올라가고서 예수를 배반한 이스카리옷 유다(가룟 유다)를 제외한 사도 11명과 교우 약 120명이 한 방에 모여 기도했는데 베드로가 “모든 사람의 마음을 아시는 주님, 이 둘 가운데에서 주님께서 뽑으신 한 사람을 가리키시어, 유다가 제 갈 곳으로 가려고 내버린 이 직무, 곧 사도직의 자리를 넘겨..

[웹북] 유다 이스카리옷 (가롯 유다) - 12사도

예수에게 입맞춤을 하는 유다 이스카리옷유다 이스카리옷유다 이스카리옷 또는 가리옷 사람 유다, 가룟 유다는 신약성서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었으나, 나중에 예수를 배반하여 기독교에서는 최대의 죄인이자 악마의 하수인, 배신자의 대명사로 불린다. '이스가리옷'이란 말에는 남부 유대의 지명인 '가리옷 사람' 외에 '암살자', '가짜', '위선자', '거짓말쟁이', '단검'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생애요한복음서의 설명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유다 이스카리옷은 시몬 이스카리옷의 아들이며, 예수 그리스도에게 선택받은 열두 사도 중의 한 사람이다. 유다 이스카리옷은 셈이 빨라서 사도단의 회계를 맡으면서 공금을 횡령하기도 하였다.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베다니아의 마리아의 집에서 그녀가 값비..

[웹북] 유다 타대오 (유다) - 12사도

성유다 타대오사도, 순교자유다 타대오출생 1세기 갈릴래아선종 1세기 페르시아교파 보편교회축일 10월 28일 (로마 가톨릭교회) / 6월 9일(동방 정교회)상징 도끼·지팡이·배·노·메달수호 좌절하는 사람·절망스러운 상황에 놓인 사람·아르메니아·필리핀·경찰·병원 유다 타대오유다 타대오( ? - 62년)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유다는 ‘존경받는’ 또는 ‘찬미하리’라는 뜻이며, 타대오는 ‘마음이 크고 넓다’는 뜻이다. 소(小)야고보와는 형제 관계이며, 유다 이스카리옷과는 다른 사람이다. 그리스도교의 성인으로서, 축일은 10월 28일이다. 상징물은 책과 곤봉·배이다. 회화에서는 같이 순교한 시몬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종종 표현된다. 루가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는 그를 유다라고 부르고 있..

[웹북]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야고보) - 12사도

야고보 알패오의아들사도, 순교자야고보 (알패오의 아들)출생 1세기 갈릴리선종 62년 예루살렘교파 보편교회축일 5월 3일 (로마 가톨릭교회) / 5월 1일(성공회) / 10월 9일 (동방 정교회)상징 책·목수의 톱수호 이탈리아·우루과이·약사·약물중독자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62년)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르심을 받은 열두 제자 즉 기독교의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야고보라는 이름은 ‘발꿈치를 잡다’라는 뜻이다. 또 다른 사도인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동명이인이라 혼동을 피하기 위해 흔히 ‘소(小)야고보’라고 부른다. 야고보는 기독교의 성인 중 한명이다. 기독교에서는 이 야고보를 야고보서의 저자로 알려진 예수의 동생 야고보와 같은 인물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동..

[웹북] 마태오 (마태) - 12사도

마태오사도, 순교자사도 마태오선종 히에라폴리스교파 보편교회축일 9월 21일 (로마 가톨릭교회) / 11월 16일 (동방 정교회)상징 도끼창·책·날개달린 사람수호은행가·회계원·세금 징수원·부기원·금전출납원 마태오마태오(한국어 음역: 마태, 가톨릭: 마태오, 개역성경: 마태)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12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전통적으로 기독교에서는 마태복음을 쓴 저자로 인식되고 있다. 로마 가톨릭에서 지정한 축일은 9월 21일이며, 동방 정교회에서 지정한 축일은 11월 16일이다. 성공회에서도 종교개혁 이전의 신앙전통을 존중하여, 마태를 수호성인으로 기념하나 그외의 개신교에서는 성인으로 기념하지는 않는다.성 마태오를 부르심, 카라바조행적 / 회심마태는 갈릴리 태생으로, 마르코 복음서(마가복음서) 2..

[웹북] 토마 (도마) - 12사도

토마사도, 순교자사도 토마출생 1세기 로마 제국 갈릴리선종 72년 촐라 왕국 밀라포르교파 동방 정교회 / 성공회 / 루터교 / 동방 기독교축일 7월 3일 (동방 정교회) / 12월 11일 (라틴 교회)상징 창수호 인도·건축가·개종자 토마 토마, 토마스(가톨릭교회), 도마(개신교)는 성경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토마의 다른 이름인 디두모는 아람어로 ‘쌍둥이’를 뜻하며, 로마 가톨릭교회가 지정한 축일은 7월 3일, 동방 정교회가 지정한 축일은 10월 6일이다. 생애사도 토마에 대한 내용은 요한복음에 주로 기록되어 있다. 토마는 갈릴래아 출신으로 겐네사렛 호수에서 어부로 일하다가 예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예수가 죽은 라자로를 되살리려고 베다니아로 가려고 하자 다른 사도..

[웹북] 바르톨로메오 (바돌로메) - 12사도

바르톨로메오사도, 순교자 바르톨로메오 출생 가나선종 100년경 미상교파 로마 가톨릭교회 / 동방 정교회 / 성공회 / 루터교 / 마론파축일 8월 24일 (로마 가톨릭교회) / 6월 11일 (동방 정교회)상징 칼수호 정육점·소금 상인·가죽 노동자·신경 질환자·제화공·이탈리아·몰타·스페인·아르메니아 바돌로매바르톨로메오(공동번역성서, 로마가톨릭), 또는 바돌로매(개역개정)는 예수 그리스도가 임명한 열두 제자 즉 기독교의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바르톨로메오라는 이름은 ‘톨로메오의 아들’이란 뜻이며, 신약성서에서는 그저 사도들의 명단에만 언급되어 있을 뿐, 그 외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교부들의 기록에도 별로 기록된 바가 없다. 일부 학자들과 개신교에서는 그를 필립보에 의해 예수에게 부름을 받..

[웹북] 빌립보 (빌립) - 12사도

성 필립보사도, 순교자필립보출생 베싸이다선종 80년 히에라폴리스교파 보편교회축일 5월 3일 (로마 가톨릭교회) / 11월 14일 (동방 정교회) / 5월 1일 (성공회), (루터교)상징 노인수호 요리사 우루과이·카보베르데·멕시코 빌립보필립보 또는 빌립보, 빌립(라틴어: Philippus, 그리스어: Φίλιππος)은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필립보라는 이름은‘말의 친구’라는 뜻이다.[출처 필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의 축일은 5월 3일이며, 동방 정교회에서의 축일은 11월 14일이다. 성공회에서도 빌립보를 신명으로 사용하여 성인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 행적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후에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그를 따라가 제자가 되어 사도들의 명단에 ..

[웹북] 요한 (요한) - 12사도

사도 요한사도, 순교자사도 요한출생 6년 베싸이다선종 100년경 에페소스교파 보편교회축일 12월 27일 (로마 가톨릭교회)9월 26일 (동방 정교회)상징 책·성배·가마솥·독수리·뱀수호 충성·우정·작가·서점·연소피해자·독피해자·편집자·제지업자·출판사·서기관·학자·신학자 사도 요한사도 요한(使徒 음역: 요한, 영어: John the Apostle), (6년경 ~ 100년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르심을 받은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요한이라는 이름의 뜻은 ‘주님께서는 은혜로우시다’이며, 사도 요한은 야고보와 형제로도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요한의 복음서를 기록한 인물으로서, 요한 서신과 요한 계시록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기도 하다. 또한 기독교의 성인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의 축일은 12월 27일이..

[웹북] 야고보 (야고보) - 12사도

성 야고보(제베대오)사도, 순교자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출생 베싸이다선종 44년 예루살렘교파 보편교회축일 7월 25일 (로마 가톨릭교회) 4월 30일 (동방 정교회) 12월 30일 (라틴 교회)상징 책·칼·외투·조가비·모자·지팡이·자루·호리병수호 수의사·약사·기수·식료품 상인·순례자·에스파냐·과테말라·니카라과 제베대오제베대오 또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히브리어: יעקב, 그리스어: Ιάκωβος 이아코보스[*], 라틴어: Iacobus, 영어: James the Great, ? - 44년)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들 가운데 한 사람이며, 사도 요한의 형제이다. 야고보라는 이름의 유래는 ‘발꿈치를 잡다’라는 뜻이다. 또 다른 사도인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동명이인이라 혼동을 피하기 위해 흔히 ‘대(..

[웹북] 안드레아 (안드레) - 12사도

성 안드레아사도, 순교자사도 안드레아출생 1세기 초반 베싸이다선종 1세기 중반 파트라교파 보편교회축일 11월 30일상징 X자형 십자, 복음서수호 스코틀랜드, 바베이도스, 우크라이나, 러시아, 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어부, 생선 장수, 밧줄 제작자 안드레아 안드레아(그리스어: Ανδρέας 안드레아스→남자다운, 1세기 초 ~ 기원후 1세기 중순, 말) 또는 안드레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들 가운데 한 사람이며 베드로의 형제이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사내다움’ 또는 ‘용기’를 뜻한다. 형과 달리 성실하고 온건하며 신중한 성격의 인물로, 러시아에 최초로 복음을 전파했다고 한다. 초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 훗날 그리스도교의 성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세계교회가 사용하는 개정공동성서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