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웹북] <역사탐구>/3.일제강점기 (주요사건.단체) 32

[웹북] 9대 조선총독 / 아베 노부유키 (임기: 1944~1945)

阿部 信行  아베 노부유키   일본의 제36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9년 8월 30일~1940년 1월 15일전임 히라누마 기이치로(제35대)후임 요나이 미쓰마사(제37대) 신상정보출생일 1875년 11월 24일출생지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사망일 1953년 9월 7일 군사 경력복무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898년 ~ 1936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4사단장. 대만군 사령관 . 근무 육군대학 교관 아베 노부유키(일본어: 阿部 信行, 1875년 11월 24일 ~ 1953년 9월 7일)는 일본의 육군 군인·정치인이다. 제36대 내각총리대신과 마지막 조선총독을 지냈다. 일본 패전후 할복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서울에 진주한 미군 사령관 하지 중장과 항복문서를 조인했다. 이후 ..

[웹북] 8대 조선총독 / 고이소 구니아키 (임기: 1942~1944)

고이소 구니아키 小磯 國昭 고이소 구니아키 일본의 제41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44년 7월 22일~1945년 4월 7일전임 도조 히데키(제40대)후임 스즈키 간타로(제42대) 신상정보출생일 1880년 3월 22일출생지 일본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사망일 1950년 11월 3일(70세)사망지 일본 도쿄정당 대정익찬회종교 신토 군사 경력복무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900년 - 1938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조선군. 국민의용전투대서훈 욱일대수장 훈1등 서보장 공2급 금치훈장고이소 구니아키(일본어: 小磯 國昭, 1880년 3월 22일 ~ 1950년 11월 3일)는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인이다. 최종 계급은 육군 대장. 제41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초기 경력고이소는 1880년, 도치기현 우쓰노미..

[웹북] 7대 조선총독 / 미나미 지로 (임기: 1932~1942)

미나미 지로 南 次郎미나미 지로출생지 일본 제국 규슈 오이타현 히지사망지 일본 도쿄복무 일본 제국 육군 군기 일본 제국 육군복무기간 1895년 ~ 1936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주요 참전 러일 전쟁 . 중일 전쟁기타 이력 조선총독 . 추밀원 . 정치인 .  사상가 미나미 지로미나미 지로(일본어: 南 次郎, 1874년 8월 10일 ~ 1955년 12월 5일)는 일본 제국의 군인, 정치인이며 병과는 육군 기병이었다. 1936년부터 1942년까지 제7대 조선총독을 역임하였으며, 총독 재직 중 조선인에게 내선일체와 창씨개명령을 시행하였다. 1940년 1월 그는 창씨개명은 강제성이 아니라 자율성에 맡긴다고 발표하였으나 창씨개명은 강제로 단행되었고, 창씨개명 정책에 대한 혼선과 조선인의 반발로 1942년 총독직..

[웹북] 6대 조선총독 / 우가키 가즈시게 (임기: 1931~1936)

우가키 가즈시게 宇垣 一成우가키 가즈시게별명원숭이출생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노쿠니사망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91년 ~ 1931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0사단기타 이력 6대 조선 총독육군 대신외무 대신서훈 공4급 금치훈장 우가키 가즈시게우가키 가즈시게(일본어: 宇垣 一成, 1868년 8월 9일 ~ 1956년 4월 30일)는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인이다.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으로, 1927년 조선 총독을 역임했고 1923년~1927년, 1929년~1931년에는 육군대신을 지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처음 이름은 모쿠지(杢次)이고 뒤에 가즈시게(一成)로 고쳤다. 러일 전쟁에 참전했고, 일..

[웹북] 5대 조선총독 / 사이토 마코토 (임기: 1929~1931)

사이토 마코토 齋藤 實 사이토 마코토 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일본 일본의 제9대 내대신임기 1935년 2월 26일-1936년 2월 26일전임 마키노 노부아키후임 이치키 기토쿠로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30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전임 이누카이 쓰요시후임 오카다 게이스케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41대 문부대신임기 1934년 3월 3일-1934년 7월 8일전임 하토야마 이치로후임 마쓰다 겐지 일본 일본의 제47대 외무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2년 7월 6일전임 요시자와 겐키치후임 우치다 고사이 조선총독부의 제5대 총독임기 1929년 8월 17일-1931년 6월 17일전임 야마나시 한조후임 우가키 가즈..

[웹북] 4대 일본총독 / 야마나시 한조 (임기: 1927~1929)

야마나시 한조 山梨 半造야마나시 한조 출생지 일본, 가나가와현사망지 일본, 도쿄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86년 ~ 1927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8사단주요 참전 청일 전쟁 . 러일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기타 이력 일본 육군대신 . 조선 총독야마나시 한조(일본어: 山梨 半造, 1864년 4월 6일 ~ 1944년 7월 2일)는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1927년부터 1929년까지 조선 총독을 지냈다. 생애야마나시 한조는 지금의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에서 태어났다. 야마나시는 1886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1892년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894년 야마나시는 청일 전쟁에 보병 제4여단의 부관으로 참전해, 보병 제5연대 중대장, 제2군부관,..

[웹북] 임시 총독 (3대총독 이후- 4대총독 전까지) / 우가키 가즈시게 (임기: 1927.4~1927.10)

우가키 가즈시게 宇垣 一成 우가키 가즈시게별명원숭이출생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노쿠니사망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복무 일본제국 육군복무기간 1891년 ~ 1931년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지휘 일본 제국 육군 제10사단기타 이력 6대 조선 총독육군 대신외무 대신서훈 공4급 금치훈장 우가키 가즈시게우가키 가즈시게(일본어: 宇垣 一成, 1868년 8월 9일 ~ 1956년 4월 30일)는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인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으로, 1927년 조선 총독을 역임했고 1923년~1927년, 1929년~1931년에는 육군대신을 지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 처음 이름은 모쿠지(杢次)이고 뒤에 가즈시게(一成)로 고쳤다. 러일 전쟁에 참전했고..

[웹북] 제3대 조선총독 / 사이코 마코토 (임기: 1919~1927)

.사이토 마코토 / 齋藤 實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 사이토 마코토 일본 일본의 제9대 내대신임기 1935년 2월 26일-1936년 2월 26일전임 마키노 노부아키후임 이치키 기토쿠로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30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전임 이누카이 쓰요시후임 오카다 게이스케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41대 문부대신임기 1934년 3월 3일-1934년 7월 8일전임 하토야마 이치로후임 마쓰다 겐지 일본 일본의 제47대 외무대신임기 1932년 5월 26일-1932년 7월 6일전임 요시자와 겐키치후임 우치다 고사이 조선총독부의 제5대 총독임기 1929년 8월 17일-1931년 6월 17일전임 야마나시 한조후임 우가키..

[웹북] 황성신문 (1898~1910)

《황성신문》 창간호 황성신문 국가  대한제국언어 한국어간행주기 일간종류 일반일간신문창간일 1898년 9월 5일폐간일 1910년 9월 14일발행법인 황성신문편집인 유근,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 등황성신문(皇城新聞)은 남궁억, 나수연 등이 중심이 되어 1898년(광무(光武) 2년) 9월 5일 《대한황성신문》의 판권을 인수받아 창간한 일간 신문이자 민간 자본 신문이다. 2. 발행주필로는 유근,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 등이 활동하였다. 국한문혼용체가 쓰였으며, 애국적 논조로 일관했다.1905년 을사조약에 대한 장지연의 항일 사설 〈시일야방성대곡〉 기사로 인해 정간당했고, 다시 1906년 복간되었다.원래는 주2회 2면으로 발행하였지만 광무 3년 11월 23일부터 4단 4면제로 바뀌었다. 황성신문이 발행된 1..

[웹북] 경성일보 (1906~1945)

《 경성일보》京城日報경성일보 사옥경성일보 (京城日報)창간 1906년 6월폐간 1945년 10월 31일언어 일본어, 한자본사 조선 경기도 경성부자매지 매일신보《경성일보》(일본어: 京城日報 게이조닛보)는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동안 발행된 한국의 신문이다. 1909년 9월에 창립하여 1945년 폐간되었다. 개요1906년(광무 10년) 9월에 이토 히로부미가 한성신보와 대동신보를 합병하여 통감부 기관지로 창간하였다. 초기에는 국한문판과 일본어판을 병행하여 발행하였으나, 1907년 4월부터 국한문판을 폐지하였다. 1910년(융희 4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뒤에는 통감부가 조선총독부 체제로 바뀌면서 총독부 기관지로 변경되었다.이후 《대한매일신보》의 인수에 나섰는데, 총독부는 《대한매일신보》를 《매일신보..

[웹북] 매일신보 (1910)

1910년 8월 30일자 매일신보 창간호.1945년 8월 15일자 매일신보《매일신보》(每日申報, 每日新報)는 일제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이다. 약칭 매신으로도 불렸다. 대한매일신보의 후신이었으며 한자, 일본어, 한글이 섞인 국한문 혼용체이자 일본어 한글이 섞인 일한어 혼용체로 발행되었다. 광복 후에도 발행되다가 1945년 11월 10일 미군정에 의해 정간되어 사라졌다. 뒤에 서울신문으로 인수되었다. 개요전신은 영국인 베델이 발행하던 대한매일신보였었다. 1910년(융희 4년) 10월 2일 경술 국치 늑약 등이 체결된 직후에 경성일보가 대한매일신보를 인수하여 제호에서 ‘대한’을 뺀 뒤 경성일보 자매지로 발행을 시작했다. 반일 성향의 대한매일신보와는 달리 일본인이 사장을 맡은 매일신보는 조선총독..

[웹북] 일제강점기의 교육 (1910~1945)

일제강점기의 교육일제강점기의 한국의 교육은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조약부터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독립 사이에 있었던 교육현상과 교육기관의 양상을 의미한다. 1910년 8월 29일, 일본 제국은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직후 종전의 통감부를 총독부로 승격개편하고, 헌병과 비밀경찰을 동원한 무단통치를 실시하였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은 서구 열강의 식민지 정책과 달랐다. 서구의 식민지 정책은 기본적으로 식민지를 본국의 부강을 위해 식민지를 단순하게 이용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었으나, 일제는 식민지 주민의 민족의식과 민족문화를 말살하고, 식민지와 본국을 하나의 나라로 통합하려 했다. 일제는 이를 위해 교육을 효과적으로 활용했으며 때와 목적에 따라 교육기회를 억제하여 민족의식의 고취를 방지하기도..

[웹북]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1930)

1929년 11월 6일자 동아일보. 광주학생 항일운동 당시의 격문을 다룬 내용이다.광주 학생 항일 운동한국의 독립 운동의 일부날짜 1929년 11월 3일 - 1930년 5월지역 대한민국 전역, 간도, 미국, 일본, 중국원인 6·10 만세 운동 / 한일 학생 차별 교육 / 박기옥 희롱 사건종류 항의, 시위, 농성결과 신간회 해소, 학생 운동 탄압 시위 당사자주요 단체성진회 / 신간회 / 근우회 / 소녀회 / 조선청년총동맹 / 조선학생전위동맹 / 학생전위동맹 / 조선청년총연합회 / 조선노동총동맹 참여 학교광주중학교 / 광주고등보통학교 / 이화여자전문학교 /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 광주농업고등학교 / 경신학교 / 중동학교 / 보성고등보통학교 / 중앙고등보통학교 / 휘문고등보통학교 / 협성실업학교 / 실천여학교..

[웹북] 신간회 (1927~1931) - 항일당체

신간회 新幹會1927년 2월 14일, 신간회 창립 모습. 신간회 표어 민족 유일당 민족협동전선결성 1927년 2월 15일설립자 안재홍(安在鴻) / 이상재(李商在) / 백관수(白寬洙) / 신채호(申采浩) / 신석우(申錫雨) / 유억겸(兪億兼) / 권동진(權東鎭) 등 34명유형 독립운동단체목적 항일, 독립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46 기업은행 종로지점 앞 버스정류장공식 언어 한국어주요 인물 약 3만 9000여 명이념 사회주의, 민족주의회장 이상재(李商在)신간회신간회(新幹會)는 1927년 2월 15일에 사회주의, 민족주의 세력들이 결집해서 창립한 항일단체로, 1931년 5월까지 지속한 한국의 좌우합작 독립운동단체이다. 이 단체는 전국구는 물론 해외 지부까지 두고 있는 단체로 회원 수가 3~4..

[웹북] 신민회 (1907)

스크랜턴 선교사가 세운 남대문 부근 상동교회의 상동청년학교 건물. 이 청년회에서 무수한 독립운동가들이 배출되었다. 신민회 신민회(新民會)는 상동감리교회 부설 공옥학교의 교사들과 상동감리교회 담임목사였던 전덕기 목사를 중심으로 기독교 이념을 바탕으로 조직된 민족 운동을 위한 개신교 감리교회 및 장로교회 지원을 받은 항일 비밀결사단체다. 1907년 이회영, 전덕기, 이동녕, 이시영, 이동휘, 안창호, 윤치호, 양기탁, 이경희, 김구, 최광옥, 김규식 등을 중심으로 조직 발전되었다. 신민회의 표면적 활동은 교육 계몽, 신식 학교 설립, 신학문 수용 등이 주 목적이었으며, 활동지원은 상동감리교회 교인뿐만 아니라 주변 시장 상인, 개신교계에서 비밀리에 지원하였다. 또한 만주에 한국 독립군을 훈련할 신흥무관학교 훈..

[웹북] 흥사단 (1913)

흥사단 창립자 도산 안창호 단체의 상징은 기러기(새)이다.흥사단 깃발을 들고흥사단흥사단(興士團)은 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이다. 흥사단은 공립협회와 구국운동 비밀결사단체인 신민회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신민회 산하 청년학우회가 흥사단의 전신이다.흥사단은 창립에서 해방 시기까지 조국의 광복과 새로운 나라 건설의 이념적 기초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을 위한 조직적 재정후원과 일꾼양성을 통해 민족독립의 사명을 완수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민족부흥을 위한 민족의 힘을 기르는 데 있고,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인격훈련, 단결훈련, 민주시민훈련을 동맹수련(同盟修練)해야 하며, 국민 모두가 민족사회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또 ..

[웹북] 친일파

대표적인 인물인 이완용 후작친일파친일파(한국 한자: 親日派)는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정책을 지지하고 추종하거나 적극적으로 협력했던 매국노를 가리킨다. 일본의 식민 지배 중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일본이 침략하거나 전쟁을 일으킨 지역의 국가들에서 부정적으로 여겨진다. 현재에도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매국노라는 뜻으로, 종일주의자(從日主義者), 종일파(從日派), 부일파(附日派)라고도 한다. 명칭 친일, 지일파 및 극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친일파”라는 단어는 임종국이 1966년 출간한 《친일문학론》에서 처음으로 나온다. 이 책에서, 친일(親日)은 “일본과 친하다”라는 뜻으로 정의되었으며 친일파라는 명칭은 당시 기득권을 ..

[웹북]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1907~1926)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중앙청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중앙청'이라고 불렸던 건물에 대해서는 정부서울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 영어: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Seoul)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로,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개의 건물을 거쳐갔다. 조선총독부 관사(朝鮮總督府官舍)는 조선총독부와 유관 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이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35년의 식민 통치 기간 동안에 조선총독부는 남산 왜성대와 경복궁의 총독부 청사 2곳과 남산 왜성대와 용산, 경무대의 총독 관저 3곳을 비롯하여 다수의 관사를 건립하였다. 조선총독..

[웹북] 3.1운동 (1919)

3·1 운동한국의 독립운동의 일부서울 탑골 공원의 3·1 운동 서판3·1 운동 날짜 1919년 3월 1일 ~ 1945년 8월 15일지역 한반도 한반도원인 대한제국의 국권 피탈, 한국의 민족주의, 2·8 독립 선언, 파리 강화 회의.고종 독살설목적 조선의 독립종류 비폭력 운동결과 일제의 무력진압 / 일제의 문화 통치 시작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국외 무장 독립 투쟁 촉진 / 5·4 운동을 비롯한 세계 독립 운동에 영향주요 인물민중 주도 하세가와 요시미치참여 인원2,020,000명 이상 불명사상자사망자수 500명에서 7000명 이상부상자수 45,000명 이상체포자수 49,000명 이상 3.1운동3·1 운동(三一運動)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인들이 일본 제국의 지배에 항거하여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

[웹북] 일제강점기 (1910~1945)

일제강점기조선 朝鮮일본 제국의 식민지1910년 8월 29일~1945년 8월 15일  문장조선총독부 인장 (1911년 ~ 1919년) 국가 기미가요194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일본의 지명과 지방 경계를 보여주는 한국 지도수도 경성부(게이조) (현재의 서울)최대도시 수도정치정치체제 입헌군주제시대 구분 일본 제국인문공용어 일본어,한국어.한자데모님 일본인, 한국인경제통화 조선 엔종교 법률상: 없음 / 사실상: 국가신토 / 유교.불교.샤머니즘.도교.기독교.천도교.원불교.기타현재 국가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경성, 일본어: 京城, romanized: Keijō 대한제국의 국권피탈 과정 러일 전쟁 1904년 2월 8일일본군의 인천 · 마산 · 원산 상륙서울 · 덕수궁 점령한일의정서 1904년 2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