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웹북] <역사탐구>/2.조선시대사 (1392~1910) 47

[웹북] 을사사화 (1545)

을사사화 장소 조선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 윤임과 소윤(小尹) 윤원형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다. 배경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에게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에게서 명종을 낳았다. 이들 두 계비는 같은 파평 윤씨인데,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尹任)과 문정왕후의 아우 윤원형(尹元衡)이 대립하기 시작했다. 윤임과 윤원형은 같은 종씨(宗氏)이면서 서로 국구(國舅)가 되어 세력을 잡으려고 일찍부터 반목하여 세간(世間)으로부터 윤임은 대윤(大尹), 윤원형은 소윤(小尹)이라 불렸다.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즉위하게 되자 윤임이 득세하여 사림(士林)의 명사를 많이 등용하여 이..

[웹북] 기묘사화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날짜 중종 14년(1519년)원인 훈구파와 신진파의 갈등참여자 중종, 훈구파, 남곤(비훈구파), 정광필(비훈구파), 안당(비훈구파), 고형산(비훈구파)결과 신진파들이 훈구파에게 살해당하거나 귀양을 감사상자 조광조 김정 기타 신진파기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중종의 주도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귀양보낸 사건이다. 조광조 등의 세력 확장과 위훈 삭제에 대한 불만이 원인 중 하나였다. 신진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정책 역시 그들을 지지하던 정광필, 안당 등의 반감을 사면서 지원받지 못하였다. 남곤, 심정, 김전, 홍경주, 고형산 ..

[웹북] 갑자사화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참가자 연산군장소 조선날짜 1504년(연산군 10년)사망자 폐비 윤씨 사망과 관련된 신하 및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한 사람들이극균, 이세좌, 윤필상, 성준 등 40여 명원인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가 사약을 받고 죽은 일에 관계한 신하들과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한 사람들이 연산군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화를 입음갑자사화(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보복과 연산군의 왕권 강화를 위해 연산군이 일으킨 대규모 숙청 사건이다. 연산군이 폐비 윤씨의 복위를 추진하면서 성종때 폐비를 찬성한 훈구 원로세력이 대부분 숙청당했다. 이때 희생된 사람들은 중종 반정 직후 대부분 복권된다. 배경과 원인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는 폐출되었다가 1482년에 사사되었고..

[웹북] 무오사화 (1498)

무오사화戊午士禍/戊午史禍참가자 연산군·유자광 등 훈구파장소 조선날짜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사망자 김일손 등의 사림파원인 유자광 중심의 훈구파가 김종직 중심의 사림파에 대해 ≪성종실록≫에 실린 사초 조의제문>을 트집 잡음결과 김종직 부관참시많은 선비들이 죽거나 귀양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훈구파가 사림파를 대대적으로 숙청한 사건이다. 사화가 일어난 1498년이 무오년이기에 "무오사화"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사초가 원인이 되었다하여 무오사화(戊午史禍)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4대사화 가운데 첫 번째 사화이다. 15세기 후반, 성종이 훈구파를 견제하기 위해 사림파를 중용하자, 훈구파는 조정에 대거 진출한 사림파와 갈등하게 되었다. 그러던중 훈구파는 성종실록 편찬에 ..

[웹북] 사화

사화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5차례의 옥사를 말한다.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4화비숙청사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다. 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력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면서 점차 정치적 영향력이 커져갔다. 그러던 중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훈구 세력의 불만이 폭발하였고, 양 세력간의 갈등으로 사화가 발생하게 된다. 사화는 사림 세력의 역사적 성장이라는 추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이를 ..

[웹북] 양반

양반양반양반(兩班, 문화어: 량반)은 고려,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한다. 이는 또한 조선에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관료와, 관료가 될 수 있는 잠재적 자격을 가진 가문, 그리고 사림(士林)이라 불렸던 학자 계층까지 포함하는 조선 왕조 특유의 사회계급이다. 본디, 문관과 무관을 지칭하는 관료적 의미였으나, 반상제가 확립되어가면서 신분상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양반은 토지와 노비를 많이 소유하고 과거, 음서, 천거 등을 통하여 국가의 고위 관직을 독점하였다. 양반은 경제적으로는 지주층이며 정치적으로는 관료층으로서, 생산에는 종사하지 않고 오직 현직 또는 예비 관료로 활동하거나 유학자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닦는 데 힘썼다. 연원본래 국왕이 정무..

[웹북] 서원 / 서원철폐

고산서원 서원 서원(書院)는 중국에서 발단 한자 문화권의 동아시아 (일본 한국 베트남)에 파급된 전근대 학교로 사학의 한 유형이다. 북송 대 이후 국가의 관학에 대해 특히 민간의 사학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의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이며, 유교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유학에서는 교육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유학자들이 사재를 털어 서당이나 서재라 불리는 사립학교를 세워 지방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이런 전통을 계승하여 설립한 사립학교에 선배 유학자들을 배향하는 사당의 기능을 추가하여 서원을 건립하였다. 통상 초시에 합격한 자들에게 입학자격이 주어진 지방의 사립 중등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서원의 명칭은 당나라 현종 때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집현전서원(集賢殿書院) ..

[웹북] 조선의 정치

《경국대전》은 조선의 체제를 규정하였다.조선의 정치조선의 정치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로 운영되었다.조선 국왕은 이론적으로 전제 군주였으나 실제에서는 왕권과 신료의 권한이 긴장과 타협 속에서 조정되어 국정에 반영되었다. 조선의 정치 체계와 구조는 《경국대전》으로 집대성되어 관료 체제가 규정되었고다양한 층위의 논쟁과 갈등 속에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하였다. 조선 전기의 주요 갈등은 국왕과 신료들 사이의 권력 형성을 두고 일어났고 중기 이후 사림파의 등장은 붕당 정치의 발전으로 이어졌으며 후기의 호락논쟁과 같이 성리학의 이해에 대한 학문적 차이에서부터 붕당의 인맥과 실제 정치적 쟁점이 뒤섞인 독특한 정치 지형을 만들어내었다. 주체조선은 이론적으로 국왕이 절대적 주권을 지녔다는 점에서 전제군..

[웹북]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대한민국의 국보  / 정조대왕실록종목 국보 (구)제151호 (1973년 12월 31일 지정)수량 2,124책(冊)시대 조선 시대소유 국유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 서울대학교)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문화어: 조선봉건왕조실록(朝鮮封建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다. 별칭은 『조선실록』(朝鮮實錄)이다. 1997년 10월 1일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개요『조선왕조실록』 은 총 1,894권 888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49,646,667자[4]의 방대한 내용을..

[웹북] 조선 (1392~1897)

조선조선국(1392년~1894년)대조선국(1894년~1897년)朝鮮國大朝鮮國1392년~1897년국기 상단 : 국기 (1893년 ~ 1897년)하단: 왕실 어기문장왕실 인장인장 (1884년경 ~ 1897년)수도 한성부 (1394-1399, 1405-1910) / 개경 (1392-1394, 1399-1405)정치정치체제 전제군주제국왕1392년 ~ 1398년 태조 (초대) 1863년 ~ 1897년 고종 (말대) 영의정1392년 ~ 1398년 정도전 (초대) 1884년 ~ 1894년 심순택 (말대) 국성 전주 이씨역사 • 건국 1393년 8월 13일 • 조선으로 국호 변경 1393년 3월 28일 • 훈민정음 반포 1446년 • 계유정난 1453년 • 중종반정 1506년 • 임진왜란 1592년 ~ 1598..

[웹북] 병자호란 (1636~1637)

병자호란 / 丙子胡亂남한산성 수어장대병자호란 날짜 1636년 12월 28일 ~ 1637년 2월 24일장소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결과 조선의 패배청의 조선 간섭교전국 조선 대 청나라조선지휘관  인조 / 도원수 김자점 / 의주부윤 임경업 / 이완 / 신경원 / 전라병사 김준용 / 평안도병사 유림 / 평안도관찰사 홍명구  / 경상좌병사 허완청나라 지휘관 숭덕제 / 아이신 교로 다이샨 / 아이신 교로 지르가랑 / 아이신 교로 도르곤 / 아이신 교로 호오거 / 아이신 교로 요토 / 아이신 교로 도도 / 타타라 잉굴다이 / 슈무루 양구리  / 마푸타 / 사르후다 / 상가희 / 경중명 / 공유덕군대 조선군 / 청군조선병력속오군(지역군, 예비군) 80,000~90,000 / 정규군 54,000명 / 수군 30,000..

[웹북] 임진왜란 (1592~1598)

임진왜란 壬辰倭亂부산진순절도임진왜란 壬辰倭亂날짜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 159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9일)장소 한반도와 만주 용정(현재의 하얼빈 룽징시) /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 정명가도(일본의 군사 통행권 요구)에 대한 조선국의 거부결과 일본의 철군, 조명연합군의 최종 승리교전국조선 / 명 / 일본 / 지휘관 / 조선군통수권자 국왕 선조 /  왕세자 광해군지휘부영의정 이산해 → 류성룡 /  좌의정 윤두수 / 우의정 이항복 / 도체찰사 류성룡 → 이원익 / 도체찰부사 김응남중앙군도원수 김명원 → 권율 / 도순변사 신립 † / 삼도도순찰사 김여물 † / 순변사 김성일 (→경상우병사) → 이일지방군좌방어사 성응일 / 우방어사 조경 / 경상도순찰사 김수..

[웹북] 제25대 조선국왕 (철종)

철종 哲宗대한제국 추존황제제25대 조선 국왕(철종)재위 1849년 6월 9일 ~ 1863년 12월 8일 (음력) / 즉위식 창덕궁 인정문 / 전임 헌종 / 후임 고종이름휘 이원범(李元範) → 이변(李昪) / 묘호 철종(哲宗) / 시호 문현무성헌인영효장황제 (文顯武成獻仁英孝成章帝) / 존호 희륜정극수덕순성흠명광도돈원창화  (熙倫正極粹德純聖欽命光道敦元彰化) / 능호 예릉(睿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 군호 덕완군(德完君)신상정보출생일 1831년 6월 17일 (음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 사망일 1863년 12월 8일(32세) (음력) /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 부친 전계대원군 이광 / 모친 용성부대부인 염씨 / 배우자 철인왕후 / 자녀 1남 1녀 (5남 6녀) 원자..

[웹북] 제24대 조선국왕 (헌종)

대한제국 추존황제 (헌종 憲宗)제24대 조선 국왕 (헌종)재위 1834년 11월 18일 ~ 1849년 6월 6일 (음력) / 즉위식 경희궁 숭정문 / 전임 순조 / 후임 철종조선국 왕세손재위 1830년 9월 15일 ~ 1834년 11월 18일 (음력) / 전임 왕세손 산 (정조) / 후임 최후의 왕세손이름휘 이환(李烉) / 묘호 헌종(憲宗) / 시호 경문위무명인철효성황제 (經文緯武明仁哲孝成皇帝) / 존호 체건계극중정광대지성광덕홍운장화 (體健繼極中正光大至聖廣德弘運章化) / 능호 경릉(景陵)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신상정보출생일 1827년 7월 18일 (음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경춘전 / 사망일 1849년 6월 6일(21세) (음력) /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덕궁 중희당부친 문조 ..

[웹북] 제23대 조선 국왕 (순조)

순조 / 純祖제23대 조선 국왕 (순조)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재위 1800년 7월 4일 ~ 1834년 11월 13일 (음력) / 즉위식 창덕궁 인정문 / 전임 정조 / 후임 헌종조선국 왕세자재위 1800년 1월 1일 ~ 1800년 7월 4일 (음력) / 전임 문효세자 / 후임 효명세자이름휘 이공(李玜) / 묘호 순종(純宗, 1834년) → 순조(純祖, 1857년) / 시호 문안무정영경성효숙황제 (文安武靖英敬成孝肅皇帝) / 존호 연덕현도···건공유범 / 능호 인릉(仁陵)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192신상정보출생일 1790년 6월 18일 (음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집복헌 / 사망일 1834년 11월 13일(44세) (음력) / 사망지 조선 한성부 경희궁 회상전부친 정조 / 모친 수빈 박..

[웹북] 제22대 조선국왕 (정조)

정조대왕 正祖제22대 조선 국왕 (정조)재위 1776년 3월 10일 ~ 1800년 6월 28일 (음력) /  즉위식 경희궁 숭정문전임 영조 / 후임 순조조선국 왕세손재위 1759년 2월 12일 ~ 1776년 3월 10일 (음력)전임 의소세손 정후임 왕세손 환 (헌종)이름휘 이산(李祘) 혹은 이성 / 별호 자 : 형운(亨運) / 호 : 홍재(弘齋)묘호 정종(正宗, 1800년) → 정조(正祖, 1899년)시호 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 (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존호 경천명도홍덕현모 (敬天明道洪德顯謨)능호 건릉(健陵)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신상정보출생일 1752년 10월 28일 (양력) 출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경춘전사망일 1800년 8월 18일(47세) (양력)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영춘헌부..

[웹북] 제21대 조선 국왕 (영조)

영조 英祖제21대 조선 국왕 (영조)재위 1724년 8월 30일 - 1776년 3월 5일 (음력) / 즉위식 창덕궁 인정문전임 경종 / 후임 정조조선국 왕세제재위 1721년 9월 26일 ~ 1724년 8월 30일 (음력)이름 휘 이금(李昑) /  묘호 영종(英宗, 1776년) → 영조(英祖, 1889년) / 시호 정문선무희경현효대왕 / (正文宣武熙敬顯孝大王) / 존호 지행순덕영모의열···중화융도숙장창훈능호 원릉(元陵)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 작호 연잉군(延礽君)신상정보출생일 1694년 10월 31일 (양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창덕궁 보경당사망일 1776년 3월 5일(81세) (음력) / 사망지 조선 한성부 경희궁 집경당부친 숙종 / 모친 숙빈 최씨 / 배우자 정성왕후 · 정순왕후 / ..

[웹북] 제20대 조선국왕 (경종)

경종 景宗제20대 조선 국왕 (경종 景宗)재위 1720년 6월 13일 ~ 1724년 8월 25일 (음력) 즉위식 경희궁 숭정문전임 숙종 / 후임 영조조선국 왕세자재위 1690년 6월 16일 ~ 1720년 6월 12일 (음력)전임 왕세자 순 (숙종) / 후임 왕세자 행 (효장세자)이름휘 이윤(李昀) / 묘호 경종(景宗) / 시호 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 (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능호의릉(懿陵)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32길 146-20신상정보출생일 1688년 10월 28일 (음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취선당사망일 1724년 8월 25일(35세) (음력)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환취전부친 숙종 / 모친 희빈 장씨 / 배우자 단의왕후 심씨 · 선의왕후 어씨자녀 없음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

[웹북] 제19대 조선국왕 (숙종)

숙종 / 肅宗제19대 조선 국왕 (숙종 肅宗)재위 1674년 8월 23일 ~ 1720년 6월 8일 (음력) 즉위식 창덕궁 인정문 전임 현종 / 후임 경종조선국 왕세자재위 1667년 1월 22일 ~ 1674년 8월 23일 (음력)전임 왕세자 연 (현종)  / 후임 왕세자 윤 (경종)이름휘 이순(李焞) / 시호 현의광륜예성영렬···헌무경명원효대왕능호 명릉(明陵)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4신상정보출생일 1661년 8월 15일 (음력) / 출생지 조선 한성부 경희궁 회상전 / 사망일 1720년 6월 8일(58세) (음력) / 사망지 조선 한성부 경희궁 융복전부친 현종 / 모친 명성왕후 김씨 / 배우자 인경왕후 김씨 / 인현왕후 민씨 / 인원왕후 김씨자녀 3남 (6남 2녀) / 경종 · 영조 ·..

[웹북] 제18대 조선국왕 (헌종)

현종 顯宗현종이 묻힌 숭릉제18대 조선 국왕  현종 顯宗)재위 1659년 5월 9일 ~ 1674년 8월 18일 (음력)즉위식 창덕궁 인정문전임 효종후임 숙종조선국 왕세손재위 1649년 2월 18일 ~ 1649년 5월 13일 (음력)전임 왕세손 홍위 (단종)후임 왕세손 정 (의소세손)조선국 왕세자재위 1649년 5월 13일 ~ 1659년 5월 9일 (음력)전임 왕세자 호 (효종)후임 왕세자 순 (숙종)이름휘 이연(李棩) / 묘호 현종(顯宗) / 시호 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 (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 / 존호 소휴연경돈덕수성 (昭休衍慶敦德綏成)능호 숭릉(崇陵)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신상정보출생일 1641년 2월 4일 (음력) / 출생지 청나라 심양 질관(質館) / 사망일 1674년 8월 18일(33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