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백제 부흥운동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는 교양서
- 한국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국권회복운동
백제 부흥운동은 한국고대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국권회복운동의 성격을 지녔다. 이전에도 여러 정치체들이 멸망하였지만 백제처럼 멸망한 국가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부흥운동을 전개한 나라는 없었다. 그리고 단순한 무력투쟁에서 벗어나 국가 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외교방법을 통해 국권회복 운동을 전개한 점도 역시 주목할 만하다. 백제 부흥전쟁은 대외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참여한 국제전쟁이었으며, 그 성패는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의 운명을 바꿔 놓았다.
지금까지 백제 부흥운동에 대한 전문서는 몇 가지 책이 출간되었지만 일반 독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는 교양서는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 요즈음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교양 수준을 넘어 보다 심층적으로 알고자하는 지적 요구가 점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그동안 백제사를 연구해 온 전문학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실상을 일반 독자들에게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은 백제사에 대한 교양서이자 전문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국권회복운동
백제 부흥운동은 한국고대사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국권회복운동의 성격을 지녔다. 이전에도 여러 정치체들이 멸망하였지만 백제처럼 멸망한 국가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조직적이고 장기적인 부흥운동을 전개한 나라는 없었다. 그리고 단순한 무력투쟁에서 벗어나 국가 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외교방법을 통해 국권회복 운동을 전개한 점도 역시 주목할 만하다. 백제 부흥전쟁은 대외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참여한 국제전쟁이었으며, 그 성패는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의 운명을 바꿔 놓았다.
지금까지 백제 부흥운동에 대한 전문서는 몇 가지 책이 출간되었지만 일반 독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는 교양서는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 요즈음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교양 수준을 넘어 보다 심층적으로 알고자하는 지적 요구가 점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그동안 백제사를 연구해 온 전문학자들이 백제 부흥운동의 실상을 일반 독자들에게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은 백제사에 대한 교양서이자 전문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01. 산성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 없네
- 최 병 식 (강남문화재단 이사장)
02. 엇갈린 운명, 부여풍과 부여륭
- 노 중 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03.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 주류성
- 심 정 보 (한밭대학교 명예교수)
04. 백제 부흥운동의 종말을 알린 백강구 전투
- 양 기 석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05. 연기 불비상에서 찾은 백제 유민들의 삶
- 김 주 성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06. 백제 주민이 대거 이주 정착한 시가(滋賀) 지역
- 권 오 영 (서울대학교 교수)
07. 일본 고대국가의 발전에 기여한 백제유민
- 김 기 섭 (한성백제박물관 관장)
08. 중국 연운항 석실묘와 백제유민
- 임 영 진 (前 전남대학교 교수)
09. 중국에 보이는 백제인들의 자취를 찾아서
- 정 재 윤 (공주대학교 교수)
- 최 병 식 (강남문화재단 이사장)
02. 엇갈린 운명, 부여풍과 부여륭
- 노 중 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03.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 주류성
- 심 정 보 (한밭대학교 명예교수)
04. 백제 부흥운동의 종말을 알린 백강구 전투
- 양 기 석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05. 연기 불비상에서 찾은 백제 유민들의 삶
- 김 주 성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06. 백제 주민이 대거 이주 정착한 시가(滋賀) 지역
- 권 오 영 (서울대학교 교수)
07. 일본 고대국가의 발전에 기여한 백제유민
- 김 기 섭 (한성백제박물관 관장)
08. 중국 연운항 석실묘와 백제유민
- 임 영 진 (前 전남대학교 교수)
09. 중국에 보이는 백제인들의 자취를 찾아서
- 정 재 윤 (공주대학교 교수)
출판사 리뷰
사료 고증 및 고고학 발굴 조사, 백제 유민이 남긴 금석문 등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하여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성과를 담았다.
고구려나 신라에 맞서 삼국의 패권을 다투던 백제가 660년 7월 신라와 당 연합군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일시에 궤멸되어 멸망하였다. 이에 따라 당나라 소정방은 항복한 의자왕을 비롯하여 왕족과 신료, 그리고 백성 1만 2천여 명을 포로로 끌고 귀환하였으며, 당은 왕도 사비도성과 북방의 웅진성을 중심으로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여 백제의 옛 땅을 지배하려 하였다. 그런데 백제가 멸망한 지 얼마 안 되어 각처에서 무너진 백제를 다시 세우려는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백제 부흥운동은 주류성과 임존성을 주요 거점으로 하여 신라와 당 연합군에 대한 무력투쟁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은 대략 3년 7개월 동안 스러져간 백제의 국권 회복의 기치를 내세우며 진행되었다. 이 부흥운동은 좌평 정무 등이 660년 8월부터 백제 유민들을 규합하여 시작한 이래 664년 3월 사비산성의 전투에서의 패배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1910년대 이후 津田左右吉, 大原利武, 今西龍, 池內宏 등 일제강점기 일본학자들에 의해 먼저 시작되었다. 그들의 관심과 연구영역은 어디까지나 한국사 자체보다도 일본사의 시각에서 왜가 백제 부흥운동에 대규모로 출병한 백강구(백촌강) 전투를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에 따라 왜가 출병한 곳인 백강과 주류성 및 부흥운동과 관련한 지명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밝혀내려는 역사 지리적 연구가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1950년대 이후부터는 왜에 질자로 체류하고 있던 왕자 풍과 관련한 백제 부흥운동 연구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학문의 객관성이 담보된 것으로 볼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학계에서 백제 부흥운동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이다. 일본학자들의 연구를 비판 수용하는 바탕 위에서 전영래, 노도양, 심정보 등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지명 고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이후부터이다. 관련 연구자가 증가하면서 여러 방면에 걸쳐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기에 이르렀다. 우선 단순한 지명 고증 방법 이외에 축적된 중부지역 성곽에 대한 고고학적 성과를 원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 거점에 대한 논거 보강작업이 시도되었다. 또한 1990년대 중국에서 우리 학계에 소개된 흑치상지와 그의 아들 흑치준 부자 묘지명 등 당에 끌려간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를 활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를 보다 실증적으로 객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백제의 시각에서 백제 부흥운동을 단순한 봉기가 아닌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하여 부흥군의 관등조직이나 군사 편제 등을 규명하려는 보다 진전된 연구도 나타났다.
이처럼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현재 관련 사료의 엄밀한 비판과 고증, 그리고 고고학 연구 성과나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 등을 폭넓게 활용하면서 백제의 시각에서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화한 연구가 진척되었다. 이로써 종래 일본학자들이 주로 추구했던 지명 고증에 의한 역사지리적인 연구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백제 부흥운동을 둘러싸고 아직도 규명해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게 남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하나가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거점인 주류성이나 백강구의 위치 비정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주류성의 위치 여하에 따라 백강구 위치도 달라지는데 현재 한산설과 부안설 이외에 홍성설, 연기설 등 여러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관련 기록에 대해 연구자마다 상이한 해석이 제기되어왔고, 관련 지자체의 이해관계에 따라 주류성의 위치가 결정되는 등 객관성의 확보에 장해 요인이 뒤따랐다. 다음으로 백제 부흥운동의 성격을 단순한 부흥운동으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정규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할 것인지의 문제도 앞으로 정립해야 할 과제이다. 다음으로 부흥운동의 전개시기를 663년 3월까지로 보느냐 아니면 672년 신라의 소부리주 설치까지로 보느냐의 문제도 있다. 여기에는 웅진도독부에 있던 백제계 관료들에 의한 활동을 과연 부흥운동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밖에 왜가 출병하게 된 동기와 배경, 그리고 왜군의 병력수와 구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신라, 당, 왜, 고구려 등 동아시아 각국의 입장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도 요구된다.
책의 내용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백제 부흥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이 방면의 논쟁거리 중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문제를 비롯하여 부흥운동의 중심인물인 부여풍과 부여융, 그리고 임존성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전개하다가 당에 항복한 흑치상자의 파란만장한 활동상 등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다만 관련 기록이 부족한 까닭으로 인해 현재 학계에서 첨예하게 논쟁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필자들 간의 심도 있는 토론과 개별 주제에 대한 의견 일치를 도출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지명 비정이나 인물 및 사건의 전개 과정 등에 관한 서술에 있어서 필자 간에 다소 다른 입장도 제시될 수 있었음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 특히 이 책에서 주목되는 새로운 시도로는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한 일본과 중국의 최근 고고학적 연구 성과가 폭넓게 반영되었다는 점과 백제 멸망 후 일본이나 중국에 이주한 백제 유민들의 진취적인 활동상을 서술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 있는 국내의 전적지를 실제 답사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부분은 향후 전적지 답사를 통한 역사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하여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성과를 담았다.
고구려나 신라에 맞서 삼국의 패권을 다투던 백제가 660년 7월 신라와 당 연합군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일시에 궤멸되어 멸망하였다. 이에 따라 당나라 소정방은 항복한 의자왕을 비롯하여 왕족과 신료, 그리고 백성 1만 2천여 명을 포로로 끌고 귀환하였으며, 당은 왕도 사비도성과 북방의 웅진성을 중심으로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여 백제의 옛 땅을 지배하려 하였다. 그런데 백제가 멸망한 지 얼마 안 되어 각처에서 무너진 백제를 다시 세우려는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백제 부흥운동은 주류성과 임존성을 주요 거점으로 하여 신라와 당 연합군에 대한 무력투쟁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은 대략 3년 7개월 동안 스러져간 백제의 국권 회복의 기치를 내세우며 진행되었다. 이 부흥운동은 좌평 정무 등이 660년 8월부터 백제 유민들을 규합하여 시작한 이래 664년 3월 사비산성의 전투에서의 패배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1910년대 이후 津田左右吉, 大原利武, 今西龍, 池內宏 등 일제강점기 일본학자들에 의해 먼저 시작되었다. 그들의 관심과 연구영역은 어디까지나 한국사 자체보다도 일본사의 시각에서 왜가 백제 부흥운동에 대규모로 출병한 백강구(백촌강) 전투를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에 따라 왜가 출병한 곳인 백강과 주류성 및 부흥운동과 관련한 지명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밝혀내려는 역사 지리적 연구가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1950년대 이후부터는 왜에 질자로 체류하고 있던 왕자 풍과 관련한 백제 부흥운동 연구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학문의 객관성이 담보된 것으로 볼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학계에서 백제 부흥운동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이다. 일본학자들의 연구를 비판 수용하는 바탕 위에서 전영래, 노도양, 심정보 등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지명 고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이후부터이다. 관련 연구자가 증가하면서 여러 방면에 걸쳐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기에 이르렀다. 우선 단순한 지명 고증 방법 이외에 축적된 중부지역 성곽에 대한 고고학적 성과를 원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 거점에 대한 논거 보강작업이 시도되었다. 또한 1990년대 중국에서 우리 학계에 소개된 흑치상지와 그의 아들 흑치준 부자 묘지명 등 당에 끌려간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를 활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를 보다 실증적으로 객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백제의 시각에서 백제 부흥운동을 단순한 봉기가 아닌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하여 부흥군의 관등조직이나 군사 편제 등을 규명하려는 보다 진전된 연구도 나타났다.
이처럼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현재 관련 사료의 엄밀한 비판과 고증, 그리고 고고학 연구 성과나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 등을 폭넓게 활용하면서 백제의 시각에서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화한 연구가 진척되었다. 이로써 종래 일본학자들이 주로 추구했던 지명 고증에 의한 역사지리적인 연구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백제 부흥운동을 둘러싸고 아직도 규명해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게 남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하나가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거점인 주류성이나 백강구의 위치 비정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주류성의 위치 여하에 따라 백강구 위치도 달라지는데 현재 한산설과 부안설 이외에 홍성설, 연기설 등 여러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관련 기록에 대해 연구자마다 상이한 해석이 제기되어왔고, 관련 지자체의 이해관계에 따라 주류성의 위치가 결정되는 등 객관성의 확보에 장해 요인이 뒤따랐다. 다음으로 백제 부흥운동의 성격을 단순한 부흥운동으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정규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할 것인지의 문제도 앞으로 정립해야 할 과제이다. 다음으로 부흥운동의 전개시기를 663년 3월까지로 보느냐 아니면 672년 신라의 소부리주 설치까지로 보느냐의 문제도 있다. 여기에는 웅진도독부에 있던 백제계 관료들에 의한 활동을 과연 부흥운동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밖에 왜가 출병하게 된 동기와 배경, 그리고 왜군의 병력수와 구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신라, 당, 왜, 고구려 등 동아시아 각국의 입장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도 요구된다.
책의 내용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백제 부흥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이 방면의 논쟁거리 중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문제를 비롯하여 부흥운동의 중심인물인 부여풍과 부여융, 그리고 임존성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전개하다가 당에 항복한 흑치상자의 파란만장한 활동상 등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다만 관련 기록이 부족한 까닭으로 인해 현재 학계에서 첨예하게 논쟁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필자들 간의 심도 있는 토론과 개별 주제에 대한 의견 일치를 도출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지명 비정이나 인물 및 사건의 전개 과정 등에 관한 서술에 있어서 필자 간에 다소 다른 입장도 제시될 수 있었음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 특히 이 책에서 주목되는 새로운 시도로는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한 일본과 중국의 최근 고고학적 연구 성과가 폭넓게 반영되었다는 점과 백제 멸망 후 일본이나 중국에 이주한 백제 유민들의 진취적인 활동상을 서술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 있는 국내의 전적지를 실제 답사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부분은 향후 전적지 답사를 통한 역사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9.고대한일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황가의 기원은 백제 부여씨 (2019) - 날조된 천황 37명과 일본고대사 (0) | 2024.08.17 |
---|---|
백제의 마지막 왕은 누구인가? (2024) - 역사의 대척점에 선 형제, 부여융과 부여풍 (0) | 2024.08.17 |
한류 열풍의 진앙지 (2016) - 일본 가와치 河內 (0) | 2024.08.17 |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2021) (0) | 2024.08.17 |
고대 일본은 백제가 지배했다 (2023) -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비교 분석 (1)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