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여행박사 (독서>책소개)/4.일본여행

일본 근세성곽과 왜성의 이해

동방박사님 2021. 12. 9. 09:33
728x90

책소개

왜성은 한반도와 일본을 이어주는 역사적 사료로서 한일과거사를 재조명하는 역사적 구조물이다. 본책에서는 일본 침략을 입증하는 증거물인 왜성의 일반적인 개념을 익히고 현장에서 답사한 왜성의 모습과 구조를 살핀다. 조선 백성들이 동원되어 건축된 왜성을 살펴봄으로써 일본 침략의 역사를 되짚어 볼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목차

추천사 … 4
책을 펴내면서… 7

제1장 총론
1 성의 개념 … 17
2 성의 유래 … 20
3 성의 분류 … 22

제2장 일본성곽
1 일본성곽의 시대 구분 … 27
2 일본성곽의 관점 … 28
3 일본성의 역사 … 32
4 일본성곽의 특징 … 55
5 일본성곽의 주요 구조 … 62
6 일본성곽의 나와바리 도면 작성 … 133

제3장 왜성
1 왜성이란? … 141
2 왜성의 축성 경위 … 143
3 왜성의 축성 목적 … 149
4 왜성의 분포 현황 … 149
5 왜성의 특징 … 151
6 일본성곽사에서 본 왜성의 의의 … 156

제4장 왜성 탐방
1 울산왜성(蔚山倭城) … 161
2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 169
3 임랑포왜성(林浪浦倭城) … 178
4 죽성리왜성(竹城里倭城) … 183
5 동래왜성(東萊倭城) … 191
6 부산왜성(釜山倭城) … 197
7 자성대왜성(子城臺倭城) … 207
8 동삼동왜성(東三洞倭城) … 213
9 구포왜성(龜浦倭城) … 219
10 양산왜성(梁山倭城) … 225
11 호포왜성(湖浦倭城) … 231
12 김해죽도왜성(金海竹島倭城) … 238
13 농소왜성(農所倭城) … 244
14 마사왜성(馬沙倭城) … 247
15 가덕왜성(加德倭城) … 254
16 가덕왜성지성(加德倭城支城) … 259
17 웅천왜성(熊川倭城) … 262
18 명동왜성(明洞倭城) … 268
19 안골포왜성(安骨浦倭城) … 272
20 마산왜성(馬山倭城) … 280
21 고성왜성(固城倭城) … 286
22 견내량왜성(見乃梁倭城) … 291
23 장문포왜성(長門浦倭城) … 297
24 송진포왜성(松眞浦倭城) … 305
25 영등포왜성(永登浦倭城) … 311
26 사천왜성(泗川倭城) … 318
27 망진왜성(望晉倭城) … 324
28 남해왜성(南海倭城) … 326
29 순천왜성(順天倭城) … 332
30 그 밖의 왜성 … 341

미주 … 344
그림 목록… 353
참고문헌 … 362
부록 … 365
용어해설 … 368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저 : 김영식
 
경남 고성에서 출생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문학사), 보건환경학과(보건학사), 중어중문학과(문학사)를 졸업하고,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에너지기계공학과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대중공업 조선사업본부에서 15년가량 근무했고, 1996년부터 현재까지 대성에어테크 대표로 산업환기 분야에서 근로자의 작업환경 개선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임진왜란과 ...
 
 
 

출판사 리뷰

왜성은 4백여 년 전, 한반도와 일본을 이어주는 역사적 사료이다. 임진왜란을 재조명하고 한일과거사 문제에 일본 침략을 입증하는 역사적 구조물로서 일본 침략과 우리 선조들의 피땀 어린 노역이 깃들어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일본 근세성곽과 왜성의 이해』는 우리의 문화유산을 조명하는 책으로 독자는 역사적 산물을 살펴볼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왜성(倭城)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당시 조선에 쌓은 성을 일본 국내에 있는 성곽과 구별하여 지칭한 것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한반도 남해 연안에 일본식 성곽을 축성하여 보급로를 확보하고 전쟁 기지로 삼았다. 한반도에서 일본의 전쟁 기지인 왜성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연결성(つなぎの城)으로 부산에서 서울까지, 의주에서 명나라로 들어가기 위한 보급로 확보를 목적으로 쌓은 성이다. 이러한 연결성인 ‘쓰타이노시로(つたいの城)’는 조선의 읍성을 고쳐서 사용하거나 간단하게 새롭게 축성되었다. 다른 하나는 통치성(仕置の城)으로 일본군이 보급로를 확보하고 통치의 교두보로 사용할 목적으로, 전세를 유리하게 전개하기 위해 한반도 남해안에 쌓은 성이다. 남해안에 있는 왜성은 일본 근세성곽의 쇼쿠호계 성곽에 해당하는 성곽군이다. 이 왜성은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성이 축성 당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왜성은 한일과거사 문제에서 일본 침략을 입증하는 살아있는 증거물이다. 이 책에서는 제1장에서 성곽의 일반적인 개념을, 제2장에서는 일본성곽의 개요와 근세성곽의 일반적인 내용을, 제3장에서는 왜성에 대해 설명하며, 제4장에서는 왜성을 현장 답사하여 그 모습과 구조를 살핀다. 조선 백성들이 동원되어 건축된 왜성은 4백여 년 전 한반도와 일본을 이어주는 사료로서 일본 침략의 역사를 되짚으며 그것이 지닌 의미와 교훈을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