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2.북한탐구

북한의 군사 국가 지도기관 (2022 이수원) : 당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화,국무위원회

동방박사님 2023. 1. 4. 17:43
728x90

책소개

당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국무위원회 등북한의 군사·국가 지도기관을 분석하다

북한은 1962년 12월 당시 불리했던 외부 상황에 대응키 위해 당중앙위원회 군사위원회를 창설한다. 그 후 김일성과 김정일 시기의 당중앙군사위원회는 군 지휘권, 군 인사와 군사 외교, 군수산업, 군 복지 문제 등 국방 문제 전반을 다루었고 국가의 중요사항을 결정하는 일 등에도 관여하였다. 물론 김정일 집권 후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김정은 시대에는 당의 군사 분야 협의체로서의 역할이 정상화되었고 국가 위기관리 기관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김정일과 김정은으로의 군권 승계 과정에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한국전쟁 당시 운용되었던 ‘공화국 군사위원회’가 시원인 국방위원회는 최초에는 중앙인민위원회의 군사 분야 역할을 보좌하는 기관이었다. 이 기관은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북한을 향한 국내외 위협으로 인해 역할이 확대되어 위상이 급성장한다. 김정일이 정권 유지와 국가의 생존을 위한 비상수단으로 선군정치를 선택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국가체계를 개편하며 국방위원회를 강화한 것이다.

이후 김정일 시대의 국방위원회는 군사 관련 명령, 결정, 지시등을 내고 군 인사나, 군사기관의 개편, 후방지역 방어와 군사동원, 군수공업과 후방사업, 외교, 공안, 대규모 건설 공사와 이를 위한 주민동원 등도 지도하였다. 군을 지원하는 역할과 국정 전반을 운영하는 국가 주권의 최고 지도기관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도 대외 선전기구 역할이 추가되는 등 역할만은 지속적으로 확대된 것이다. 그리고 국방위원회는 군권 장악의 완료점이었다. 김정일과 김정은 모두 군사기관들 중 마지막으로 국방위원회에 진출하였다.

 

목차

일러두기
감사의 글

제1장 북한 군사 · 국가 지도기관 연구의 필요성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기존 연구 검토
4. 분석 틀

제2장 북한 군사 지도기관과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의 기원 · 형성 · 발전

1. 사회주의 체제의 군사 지도기관과 최고 국가 권력기관
2. 김일성 시대 핵심 군사기관들과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의 창설 및 변화
3.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와 군사 및 국정 운영기관들의 변화
4. 김정은 시대 당 중심 군사 · 국정 운영의 정상화

제3장 당중앙군사위원회의 위상과 역할

1. 당의 최고 군사 지도기관
2. 군사 분야에 대한 당적 지도
3. 후계자의 영군 체계 구축 수단

제4장 국방위원회의 위상과 역할

1. 국가 주권의 최고 국방지도기관
2. 국가의 군사 분야 사업지도
3. 국가의 비군사 분야 중요 사업 집행 주도

제5장 국무위원회의 위상과 역할

1. 헌법으로 규정된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
2. 헌법 규정대로 수행하고 있는 국정 지도
3.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다운 간부 구성

제6장 북한 군사 지도기관 및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의 관계와 변화 특징

1. 사회주의 체제의 군사 지도기관 및 최고 국가 권력기관 운용 특징
2. 북한 군사 지도기관의 위상 · 역할 변화요인
3. 북한 당중앙군사위원회와 국방위원회의 관계
4. 당 중심 군사 지도체계와 수령의 유일영도체계 결합
5. 최고 지도자 중심의 지배체제 강화를 위해 변화된 국가 주권 최고 지도기관

제7장 평가와 전망

[부록] 김정은 시대 국방위원회 관여 발표 내용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이수원
동국대학교 북한학 박사
전) 합참 정보본부 사무관
현) 안양대학교 통일사회정책연구소 상임연구위원, 통일교육협의회 국고보조사업(통일교육) 모니터링 평가위원
 
 

출판사 리뷰

북한의 군사 문제와 국정 운영은 한국의 대내외 정치적 상황과 정책은 물론이고 보통 사람들의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소식들은 거의 실시간으로 각종 매체들을 통해 전해지고 그에 따라 일반인들도 상당한 수준으로 정보를 접하고 있으며 관심도 높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과 관심에도 북한의 군사와 국정 운영을 주도하고 있는 기관들인 당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국무위원회에 대한 학술적 접근은 매우 부족하다. 당중앙군사위원회와 국방위원회를 전문으로 다룬 박사학위논문은 2022년 11월 현재―이 책의 저자인 이수원 박사의 논문 외에는 없으며―발표된 학술 논문들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그리고 국무위원회 관련 연구도 기관 자체가 만들어진 지 오래 되지 않았으며, 정보 역시 충분히 확인되지 않고 있어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북한의 군사와 국정 운영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관련 기관들에 대한 학술적 접근의 시발점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북한의 최고 군사지도 기관과 국가 주권의 최고 지도기관들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을 대부분 북한 측 자료들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독자들이 북한의 의도를 있는 그대로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전시 국정 운영과 군에 대한 지원을 위해 만든 공화국 군사위원회에 대한 내용들은 학술적으로 처음 정리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