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심리학 연구 (책소개)/8.정신분석학

선과 정신분석 (2023)

동방박사님 2024. 5. 22. 08:39
728x90

책소개

『선(禪)과 정신분석』은 ‘스즈키 다이쎄쓰, 에리히 프롬, 리처드 드 마르티노’라는 위대한 석학들의 공동 저작으로, 앞으로도 다시 나오기 힘든 명저다. 불교와 심리, 정신분석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반드시 이 책을 숙독할 필요가 있겠다. 선(禪)에 대해서, 선(禪)과 정신분석에 대해서, 선(禪) 심리에 대해 이 만큼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는 책은 없기 때문이다.

스즈키 다이쎄쓰는 불립문자(不立文字)로 이심전심(以心傳心)한다는 선(禪)을 이 책에서 완벽하게 글로 풀어내어 설명 해 주고 있다. 역시 서양 선(禪)의 초조(初祖)인 스즈키 박사가 아니면 쉽지 않는 일이다. 에리히 프롬은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 역시 선(禪)과 정신분석에 대한 폭 넓은 통찰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는 현대 불교학자나 정신분석학자들조차 따라잡기 힘든 깊이이다.리처드 드 마르티노는 일본에서 직접 선(禪)수행을 하였다.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선(禪) 심리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데, 이는 선(禪)심리분석에 대한 탁월한 논문으로 평가 받고 있다.

당대 석학들의 저작인 『선(禪)과 정신분석』은 인간 본성과 역할, 자아실현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지혜의 문을 활짝 열어주고 있다. 역자 김혜원 선생은 심리와 철학을 함께 전공한 드문 교수이다. 그런 그녀가 읽기가 쉽지 않은 이 책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주옥처럼 달아 놓았다. 읽는 독자들은 그녀의 해박한 지식과 설명으로 더 폭넓은 지혜의 바다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목차

서문
역자 서문

Ⅰ. 선(禪)불교 강연 / 스즈키 다이쎄쓰(鈴木大拙)

1. 동양과 서양
2. 선불교(禪佛敎)의 무의식
3. 선불교의 자기 개념
4. 공안(公案)
5. 오위(五位)

Ⅱ. 정신분석과 선(禪)불교 / 에리히 프롬(Erich Fromm)

1. 오늘날 정신 위기와 정신분석의 역할
2.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가치와 목표
3. 행복의 본질과 인간 정신의 진화
4. 의식과 억압 그리고 억압 제거의 본질
5. 선(禪)불교의 원리
6. 억압의 제거와 깨달음

Ⅲ. 인간의 상황과 선(禪)불교 / 리처드 드 마르티노(Richard De Martino)

저자 소개

저 : 에리히 프롬 (Erich Fromm)
에리히 프롬은 한평생 근대인에게 있어서 자유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물었으며 소외를 넘어선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위해 보이지 않는 우리 마음 속의 적과 싸운 사람이었다. 그는 마르크스로부터 사회 구조의 변혁에 대한 감각을, 프로이트로부터 인간의 심연을 분석하고 해방하려는 의도를 배웠다. 방법론적으로는 '사회적 조건'과 '이데올로기' 사이에 '사회적 성격'이라는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이 3자의 역학관계에 의해 역사와 사회...

저 : 스즈키 다이쎄쓰 (鈴木大拙)

(1870-1966) 일본 임제종 출신으로 서양에 선을 소개 하였다. 젊은 시절 참선 중에 견성(見性)을 체험하여 샤쿠슈엔(釋宗演) 노사로부터 다이쎄쓰(大拙)라는 법명을 받았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00년에 『대승기신론』을 영어로 번역하였으며, 1907년에 『대승불교개론』을 저술하였다. 평생을 불교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영국, 중국, 유럽,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불교를 강의 했으며, 불교...
 
저 : 리처드 드 마르티노 (Richard De Martino)
(1922-2013) 템플대학에서 종교학과 교수로 20년간 재직했다. 2차 세계대전 뒤에는 도쿄 극동 국제 군사재판소 변호인단의 역사 고문으로도 근무했으며, 이 시기에 이 책의 저자 스즈키 박사를 만나 선을 배웠다. 또 선 사상가로 유명한 히사마쓰 신이치(久松眞一)와 함께 공부했으며, 그의 글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마르티노는 서구인으로써 선을 직접 체험한 1세대 학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