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한국근대사 연구 (책소개)/1.한국근대사

신식 소학교와 탄생과 학생의 삶

동방박사님 2022. 4. 26. 07:55
728x90

소개

1876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
근대 신식 소학교의 탄생, 그리고 고난과 격정의 세월 속 학생들의 고민과 열정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은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총서의 하나로, 1876년 국교 확대 이후 1919년 3·1운동에 이르기까지 고난과 격정의 세월 속에서 어린 학생들의 일상적인 삶과 이를 둘러싼 시대의 만남과 부딪힘, 그리고 어른들과 함께 시대의 어둠을 헤치며 새로운 세계를 열려는 학생들의 고민과 열정을 역동적으로 그려내고자 했다. 특히 학생이 맞닥뜨린 시대적 과제 및 교육제도의 변화와 함께 학교 안팎의 생활에서 겪은 여러 경험을 집중해서 다루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설립된 신식 소학교의 면모와 소학생들의 일상생활이 중세교육이 근대교육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잘 보여 줄뿐더러, 전통교육이 일제 침략으로 변용되거나 소멸되는 가운데 우리 스스로 신식교육을 내면화하면서 저항과 순응의 갈림길에 서서히 들어서는 과정을 명료하게 보여 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했다.

첫째, 학생의 처지와 시선을 중심으로 이들을 둘러싼 넓은 의미의 학습 환경에 중점을 두었다. 둘째, 학생들의 일상생활도 집중 다루고자 했다. 셋째, 근대 개혁기 영어교육의 실태를 추적함으로써 영어교육의 기원은 물론 오늘날 영어교육의 허와 실을 드러내고자 했다. 넷째, 소학교육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기존의 법령 관련 자료, 신문 자료, 통계 자료와 함께 외국인 견문록, 문학작품, 일기, 노래, 사진 등의 자료도 적극 활용했다.

 

목차

총서를 펴내며
머리말

1 우리 정부의 신식 소학교 설립과 보통교육의 제도화

1 신식학교의 설립과 이원적 근대 학제의 구상
신식학교의 설립 | 근대 학제의 구상
2 시무교육 위주의 신학제 추진과 신식 소학교의 설립
3 소학교·사범학교의 재설립과 소학교 증설 시책 추진
갑오개혁기 | 광무개혁기

2 우리 정부 아래 학생의 학업과 일상생활

1 교육목표와 학습내용의 특징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구성 | 교과내용의 특징
2 외국어교육의 허와 실
영어 중심, 일어 부중심의 외국어교육 | 외국어학교의 성쇠와 외국어학교 학생 수의 추이 | 영어학교의 교과과정 | 영어학교의 교과서
3 교실의 탄생과 학교생활
교실의 탄생과 공간의 분할 | 학교생활과 시간관념 | 운동회와 소풍
4 입학과 진급, 졸업, 그리고 시험

3 일제 통감부의 우민화교육과 한국인 학생의 생활문화

1 일본 교육의 침투와 일본인 교사의 활동
일본 교육의 침투 | 일본인 교사의 활동과 학교 공간
2 교육구국운동과 일제의 탄압
민립학교설립운동과 교육자치론의 제기 | 교과서 편찬과 학교교육 | 교육구국운동으로서의 운동회 | 일제의 민립학교 탄압
3 학생의 일상생활과 문화
단발의 확산과 복장 지도 | 기숙 생활

4 강점 초기 일제의 점진적 동화주의교육 추진과 한국인 학생의 기개

1 [조선교육령] 제정과 한국인 민립학교 억압
2 교원의 책무와 활동
3 교과서의 편찬과 내용
교과서 편찬 방향 | 침략 교육의 선봉, 수신 과목 | 동화정책의 근간, 일본어(국어), 일본사(국사) 과목 | 연산만 배우는 산술 과목 | 천황과 일본을 찬양하는 음악 과목
4 성적과 품성 평가, 그리고 훈육
성적과 품성 평가 | 훈육과 조회
5 한국인 학생의 기개와 3·1운동
학생의 일상생활 | 3·1운동과 학생들의 시위 | 일제의 유혈 탄압과 어린 학생들의 기백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김태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공저), 『어윤중과 그의 시대』,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 『한국사의 이해』(공저), 『이주노동자, 그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나』, 『국사교육의 편제와 한국근대사 탐구』, 『우리 역사 어떻게 읽...
 

출판사 리뷰

소학교에서 외국어학교까지, 학생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다

이 책은 크게 4장으로 구성됐다. 1장은 1876년 국교 확대 직후부터 1905년 을사늑약 직전까지 학생들의 학업과 일상생활을 둘러싼 역사적·사회적 기반과 교육 안팎의 환경을 서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근대적 국민교육체제를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초등교육 개혁의 추이와 소학교 설립 과정에 중점을 두고 접근하되, 크게 갑오개혁 이전, 갑오개혁기, 광무개혁기 세 시기로 구분해 각각의 역사적 특징을 추출했다.

2장은 1894년 학제 개편부터 1905년 을사늑약 직전까지 학생들의 학업과 일상생활을 직접적으로 규정하는 국가의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학생들의 학업 내용과 일상생활을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별로 주목하지 않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가능한 한 담아 보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영어교육의 원조라 할 영어학교를 비롯한 주요 외국어학교의 교수학습 실태와 교과목을 소개했다.

3장은 1905년 을사늑약 직후부터 1910년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직전까지 한국의 내정을 실질적으로 장악한 통감부의 교육목표와 교육정책 방향, 한국인의 교육구국운동, 그리고 근대적 시공간으로 편입되는 한국 학생들의 학업과 일상생활이 지니는 역사적·사회적 특징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일제강점 직후 조선총독부의 교육 시책 및 한국인의 교육구국운동과 연계함으로써 이 시기 한국 교육의 역사적 위상을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4장은 1910년 일제 강점 직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 조선총독부의 교육시책과 교원들의 근무 환경, 학생들의 학업과 일상생활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3·1운동 시위 학생들의 내면세계와 연계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드러나는 3·1운동의 특징을 추출하고자 했다.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총서 안내
교육은 개인의 생활양식과 세계관을 변화시키고 자아를 형성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총서는 ‘학교와 학생’을 공통 주제로 삼아 역사학자와 교육학자 10명이 의기투합해 저술한 결과물(총 10권)로서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근현대 학교의 풍경과 학생의 일상생활을 공통 소재로 삼아 전통과 근대의 충돌, 일제하 근대성의 착근과 일본화 과정, 해방 후 식민지 유제의 지속과 변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적 근대성의 실체를 구명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한국의 교육을 동아시아 각국의 근현대교육과 비교하고 연관시킴으로써 상호작용과 반작용을 드러내고 그 의미를 추출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