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한일관계사 연구 (독서)/5.전후한일관계

일본, 한국을 상상하다 : 한국 인식의 역사와 현재

동방박사님 2022. 7. 30. 09:58
728x90

책소개

“도쿠가와 막부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일본인들의 잠재되거나 표현된 인식들의 구조와 한계를 규명하다”

이 책은 일본의 한국인식이라는 주제로 6인의 연구자가 지난 1년간 진행한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필자들은 도쿠가와 막부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 사회의 상층부를 구성한 정치인과 지식인, 그리고 기층 서민이 갖는 대한 인식의 구조와 그것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 그리고 인식 내용의 시대적 변화 추이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오늘날 일본인들의 한반도 문제에 대해 잠재되거나 표현된 인식들의 구조와 한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일본인의 대한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대한반도 정책과 그 집행이라는 구체적 행위의 이념적 토대를 규명하는 작업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과정에서 필자들은 한국사회가 일본에 대해 흔히 갖고 있는 편견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노력하였다. 여기에는 일본을 과대평가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과소평가하는 과도함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도함은 일본 사회 혹은 일본 역사를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적지 않은 장애가 된다. 일본의 역사와 사회에 관한 불충분한 지식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필자들이 일본 사회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을 가졌다고 자부하기는 어렵지만, 정치학, 역사학, 사상사학, 외교사학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나름대로의 학문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이 과연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는지에 관해서는 오직 독자 여러분들의 엄정한 비판을 겸허하게 기다릴 뿐이다.

목차

서문

1장 한일 인식의 시대적 모습
1. 일본의 문화적 동질성이라는 신화
2. 이 책의 문제의식과 내용

2장 임진왜란[壬辰戰爭]과 그에 대한 한일 양국의 기억
1. 들어가며
2. 임진왜란 기간 중에 발생한 중요 사안들
3. 정유재란 발발 원인 및 이 시기의 특징적인 사안
4. 임진왜란 이후의 상황에 대한 몇 가지 쟁점
5. 일본에서의 임진왜란 관련 문헌의 형성과 최근 몇 가지 발견에 대하여
6. 전근대 일본에서 제작된 임진왜란 관련 회화
7. 전근대 한국에서 제작된 임진왜란 관련 회화
8. 나가며

3장 ‘왜’ 메이지 유신은 성공하였는가?: 근세말~근대초기 일본 지식인 사회의 세계관 전환 동향
1. 메이지유신은 일본 근대화의 원점인가?
(1) 일본은 왜 근대화에 적극적이었는가?
(2) 일본 엘리트의 세계관 전환
2. 막말·유신초 개국 풍경
(1) ‘개국화친’의 의미
(2) 요코스카 조선소 건설
(3) 청일수호조규의 성립 과정
3. 메이지 신지식인의 초상
(1) 신속한 세계관 전환의 요인
(2) 메이지 신지식인의 초상
4. 의사와 근대국가 일본
(1) 금서령 완화와 난학의 태동
(2) 해체신서의 발간과 에도 난학의 등장
(3) 난학의 분화(分化)와 확산
(4) 막부의 공인과 주류 학문 진입
5. 문명개화의 의미

4장 근대 일본외교의 ‘무사상성’과 조선 인식(1868~1894)
1. 서론
2. 1870년대 조일 신관계의 모색
(1) 미지의 나라, 조선
(2) 국격 문제의 대두
(3) 조선의 국제적 지위에 관한 일본 외무당국의 견해
(4) 조일수호조규와 국격 문제의 미봉
3. 1880년대 소극정책
(1) 청의 정치적 압력 심화
(2) 조선 중립화 구상
(3) 거문도사건과 대청협조주의
4. 1890년대 한반도 침략론
(1) 지정학적 논리의 부상
(2) 외교의 종속
5. 결론

5장 근대 일본의 한국 인식: 역사의 재구성과 구조적 이해
1. 서론
2. 예비적 고찰
(1) 사상구조 이해는 왜 필요한가?
(2) 근세와 근대 한일의 사상구조
3. 식민지화 이전 일본의 한국 인식
4. 식민지 지배의 한국 인식
5. 공감의 탁월함과 이해의 한계
6. 포괄적 사상 구조를 통한 이해와 대화
7. 결론

6장 현대 한일관계의 구조변화와 다이내미즘
1. 한일관계 어떻게 볼 것인가?
(1) 한일관계를 움직이는 변수
(2)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일관계
(3) 수직적인 관계에서 수평적인 관계로
(4) 가치와 규범을 공유하는 한일관계
2. 한일관계 1965년 체제: 성립과정과 평가
(1) 난항했던 한일회담
(2) 타결의 힘: 안보논리와 경제논리
(3) 한일조약과 과거사 청산의 한계
(4) 한일조약의 종합적 평가
3. 21세기 동북아 세력전이와 한일관계 악화
(1) ‘전 방위 갈등’ 상태가 된 한일관계
(2) 한일관계 주요 갈등 쟁점의 분석
(3) 한일관계 악화의 구조적 배경
(4) 한일관계 악화의 직접적 원인
4. 대일 관계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1) 대일외교의 중요성
(2) 갈등의 뇌관 징용 문제의 해법
(3) 수출규제와 GSOMIA
(4)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일본 역할
5. 21세기 한일관계의 미래 비전

7장 혐한과 한일관계의 미래
1. 혐한의 내용
2. 혐한의 배경
3. 한일관계의 장래
(1) 낙관적 견해: 유사동맹 (Quasi-Alliance)론과 체제공유론
(2) 체제수렴(System Convergence)론
4. 한일관계 미래에 관한 비관적 견해
5. 한일관계 미래와 정치 지도자 역할
 

저자 소개

저 : 강동국
 
나고야대학교 법학부 교수

저 : 김시덕

일주일에 서너 번은 동네 근처에서 먼 지방까지 다니며 도시 곳곳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도시 답사가이자, 도시에 남아 있는 지나간 시대의 흔적과 자취를 추적하며 도시의 역사와 현재를 탐구하고 예측하는 도시 문헌학자이다.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학부와 석사를 거쳐, 일본의 국립 문헌학 연구소인 국문학 연구 자료관(총합연구 대학원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일본연구 센터 HK연구교수와 서울대학교 규...
 

저 : 김종학

 
국립외교원 조교수, 외교사연구센터 책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