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편찬책임자
조윤수(趙胤修)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일관계사 1965~2015』 (공저, 역사공간, 2015),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 (공저,
2019, 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위안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일협정과 한일관계』 (공
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집필진
남상구(南相九)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소장
『한일관계사 1965~2015Ⅰ(정치)』(공저, 역사공간, 2015), 『일본 정치의 구조 변동과 보수화』
(공저, 2017, 박문사), 『식민청산과 야스쿠니』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김숭배(金崇培) 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초빙교수
『?史認識から見た?後日韓?係: ?1965年?制?の?史?·政治?的考察』(공저, 社?評論社,
2019), ?반(反)베르사유: 국제적 민족자결론과 한국적 분화의 연계성?( 『국제정치논총』 제59
집 2호, 2019),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 비(非)서명국들: 소련, 한국, 중국과
평화조약의 규범 보전?(『일본비평』 22호, 2020)
안도 준코(安藤純子) 후쿠오카대학 준교수
「동북아 근해협력으로서의 한일대륙붕협정: 공동개발 협력 레짐의 구축을 향하여」 (공저, 『일
본공간』 20, 2016), 「日韓間における非正式接?者の?遷課程- 個人から組織化された非正式
接?者(日韓協力委員?)の設立まで-」 ( 『 福岡大??究論集 』 Vol.18(2), 2018)
최희식(崔喜植)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부교수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3),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대
외전략의 변화』 (공저, 동아시아재단, 2014),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 (공저, 서울
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日韓?係史 1965~2015 I(政治)』 (공저, 東京大?出版?, 2015),
『한일관계사 1965~2015 』 (공저, 역사공간, 2015), 『전후 한일관계 70년』 (선인, 2016)
도가시 아유미(??あゆみ) 도요에이와여학원대학 전임강사
『日韓安全保障協力の?? -冷?以後の 「 脅威 」 をめぐる力?』(?紀書房, 2017), ?정권 교체와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지속성-정책 이념과 미일동맹?(『한국정당학회보』 16(2), 2017)
엄태봉(嚴泰奉) 대진대학교 강의교수
『한일협정과 한일관계: 1965년 체제는 극복 가능한가?』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일
본의 중·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와 독도 문제: 2008년과 2009년의 ‘소극적인 표현’을
둘러싼 일본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논총』 50, 2019), 「북일회담과 문화재 반환문
제: 한일회담의 경험과 그 함의를 중심으로」 ( 『아세아연구』 62, 2019), 「한일회담 문화재 반
환 협상의 재조명」 ( 『아태연구』 26, 2019)
윤석정(尹錫貞) 국립외교원 연구교수
「1990년대의 한일관계와 한일공동선언: 한일관계의 구조변동에 의한 탈냉전기 협력과 제도화 시도」 ( 『일본학보』 120, 2019), 「아베 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헌법해석변경과 일본 의 정당 정치: 7·1 각의결정 과정을 둘러싼 정당정치 동학」 (공저, 『국제지역연구』 28 (2),2019), 「1965년 체제와 아베 정권의 보통의 한일관계 만들기: 12·28 합의, 강제동원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 『 IFANS 주요국제문제분석』 2020?18, 2020)
마츠우라 마사노부(松浦正伸) 후쿠야마시립대학 전임강사
「冷?期韓?政府と在日韓?人社?の相互?係の?史的?容: 1950年代末から1960年代
初頭の政情不安とディアスポラ」 ( 『東アジア?究 』 第21?, 2017), 「 『 疑似環境』と政治:
北朝鮮??事業における?連と北朝鮮ロビ?の役割を中心として」 ( 『?際政治』 第187?,
2017), 「한반도 유사시 일본인 비전투원후송작전관련 한일 안보협력 방안 ? 한일관계, 미일 관계, 국제비교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7집, 2019)
-책소개
역사 문제를 둘러싼 양국 간 갈등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특수한 사례는 아니다.
19~20세기는 제국주의와 전쟁의 시대였다. 세계 곳곳에서 역사인식을 둘러싼 충돌이 벌어졌다. 역사를 바라보는 기준이 국가에 따라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현실적인 갈등 요인이 된다. 한·일 간 역사 문제의 기원이 되는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1965년 청구권협정 문제도 결국 역사인식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이상 한·일 양국은 갈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역사인식을 공유할 수 없다면 이것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도 정치·경제·시민사회 등 여러 채널을 통해서 대화를 유지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이 한·일 양국이 직면한 역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조윤수(趙胤修)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일관계사 1965~2015』 (공저, 역사공간, 2015),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 (공저,
2019, 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위안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일협정과 한일관계』 (공
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집필진
남상구(南相九)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소장
『한일관계사 1965~2015Ⅰ(정치)』(공저, 역사공간, 2015), 『일본 정치의 구조 변동과 보수화』
(공저, 2017, 박문사), 『식민청산과 야스쿠니』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김숭배(金崇培) 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초빙교수
『?史認識から見た?後日韓?係: ?1965年?制?の?史?·政治?的考察』(공저, 社?評論社,
2019), ?반(反)베르사유: 국제적 민족자결론과 한국적 분화의 연계성?( 『국제정치논총』 제59
집 2호, 2019),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 비(非)서명국들: 소련, 한국, 중국과
평화조약의 규범 보전?(『일본비평』 22호, 2020)
안도 준코(安藤純子) 후쿠오카대학 준교수
「동북아 근해협력으로서의 한일대륙붕협정: 공동개발 협력 레짐의 구축을 향하여」 (공저, 『일
본공간』 20, 2016), 「日韓間における非正式接?者の?遷課程- 個人から組織化された非正式
接?者(日韓協力委員?)の設立まで-」 ( 『 福岡大??究論集 』 Vol.18(2), 2018)
최희식(崔喜植)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부교수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3),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대
외전략의 변화』 (공저, 동아시아재단, 2014),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 (공저, 서울
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日韓?係史 1965~2015 I(政治)』 (공저, 東京大?出版?, 2015),
『한일관계사 1965~2015 』 (공저, 역사공간, 2015), 『전후 한일관계 70년』 (선인, 2016)
도가시 아유미(??あゆみ) 도요에이와여학원대학 전임강사
『日韓安全保障協力の?? -冷?以後の 「 脅威 」 をめぐる力?』(?紀書房, 2017), ?정권 교체와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지속성-정책 이념과 미일동맹?(『한국정당학회보』 16(2), 2017)
엄태봉(嚴泰奉) 대진대학교 강의교수
『한일협정과 한일관계: 1965년 체제는 극복 가능한가?』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일
본의 중·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와 독도 문제: 2008년과 2009년의 ‘소극적인 표현’을
둘러싼 일본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논총』 50, 2019), 「북일회담과 문화재 반환문
제: 한일회담의 경험과 그 함의를 중심으로」 ( 『아세아연구』 62, 2019), 「한일회담 문화재 반
환 협상의 재조명」 ( 『아태연구』 26, 2019)
윤석정(尹錫貞) 국립외교원 연구교수
「1990년대의 한일관계와 한일공동선언: 한일관계의 구조변동에 의한 탈냉전기 협력과 제도화 시도」 ( 『일본학보』 120, 2019), 「아베 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헌법해석변경과 일본 의 정당 정치: 7·1 각의결정 과정을 둘러싼 정당정치 동학」 (공저, 『국제지역연구』 28 (2),2019), 「1965년 체제와 아베 정권의 보통의 한일관계 만들기: 12·28 합의, 강제동원 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 『 IFANS 주요국제문제분석』 2020?18, 2020)
마츠우라 마사노부(松浦正伸) 후쿠야마시립대학 전임강사
「冷?期韓?政府と在日韓?人社?の相互?係の?史的?容: 1950年代末から1960年代
初頭の政情不安とディアスポラ」 ( 『東アジア?究 』 第21?, 2017), 「 『 疑似環境』と政治:
北朝鮮??事業における?連と北朝鮮ロビ?の役割を中心として」 ( 『?際政治』 第187?,
2017), 「한반도 유사시 일본인 비전투원후송작전관련 한일 안보협력 방안 ? 한일관계, 미일 관계, 국제비교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7집, 2019)
-책소개
역사 문제를 둘러싼 양국 간 갈등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특수한 사례는 아니다.
19~20세기는 제국주의와 전쟁의 시대였다. 세계 곳곳에서 역사인식을 둘러싼 충돌이 벌어졌다. 역사를 바라보는 기준이 국가에 따라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현실적인 갈등 요인이 된다. 한·일 간 역사 문제의 기원이 되는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1965년 청구권협정 문제도 결국 역사인식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이상 한·일 양국은 갈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역사인식을 공유할 수 없다면 이것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도 정치·경제·시민사회 등 여러 채널을 통해서 대화를 유지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이 한·일 양국이 직면한 역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책머리에
1.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_ 남상구
1. 서론
2.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에 대한 공식 견해
3. 일본 정부의 전후 배상과 식민지 처리
4.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역사인식
5. 결론
2. 해방과 전후의 한·일 관계 1945년 직후의 인식적 괴리 _ 김숭배
1. 서론
2. 전쟁에 대한 일본의 시공간 인식
3. 전쟁에 대한 한국의 시공간 인식과 식민 문제
4. 결론
3. 한일회담 교섭 참석자의 인식 변화와 그 영향 어업 및 평화선 위원회를 중심으로 _ 조윤수
1. 서론
2. 한일회담 어업위원회의 교섭 과정
3. 교섭 참석자의 한일회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영향
4. 결론
4. 1960~1970년대 한·일 양국의 대일·대한 인식_ 안도 준코
1. 서론
2. 1960년대: 협력과 현상 유지
3. 1970년대: 마찰과 협력
4. 결론
5. 전두환 정부하의 역사 문제 1980년대 한·일 역사 문제의 새로운 전개 _ 최희식
1. 서론
2. ‘65년체제’의 역사 문제 구조
3. 전두환 정부의 등장과 과거사 문제
4. 결론
6. ‘위안부’ 문제에 관한 관방장관 담화의 책정 요인 외교적 요인과 정치외교이념을 중심으로 _ 도가시 아유미
1. 서론
2. 선행 연구
3. 담화 발표의 경위와 쟁점
4. 제1차·제2차 가토 담화와 고노 담화 및 한·일 관계
5. 결론
7.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간 담화, 한일도서협정을 중심으로 _ 엄태봉
1. 서론
2. 간 담화와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3. 한일도서협정과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4. 결론
8.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와 한국 배제 _ 윤석정
1. 서론 · 254
2. 무라야마 담화와 아베 신조
3. 전후 70년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의 키워드
4. 국제질서, 관용 그리고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
5.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6. 결론
9. 역사화해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한·일 공동선언과 북·일 평양선언 _ 마츠우라 마사노부
1. 서론
2. 김대중과 한·일 공동선언
3.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북·일 평양선언
4. 결론
찾아보기
1.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_ 남상구
1. 서론
2.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에 대한 공식 견해
3. 일본 정부의 전후 배상과 식민지 처리
4.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역사인식
5. 결론
2. 해방과 전후의 한·일 관계 1945년 직후의 인식적 괴리 _ 김숭배
1. 서론
2. 전쟁에 대한 일본의 시공간 인식
3. 전쟁에 대한 한국의 시공간 인식과 식민 문제
4. 결론
3. 한일회담 교섭 참석자의 인식 변화와 그 영향 어업 및 평화선 위원회를 중심으로 _ 조윤수
1. 서론
2. 한일회담 어업위원회의 교섭 과정
3. 교섭 참석자의 한일회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영향
4. 결론
4. 1960~1970년대 한·일 양국의 대일·대한 인식_ 안도 준코
1. 서론
2. 1960년대: 협력과 현상 유지
3. 1970년대: 마찰과 협력
4. 결론
5. 전두환 정부하의 역사 문제 1980년대 한·일 역사 문제의 새로운 전개 _ 최희식
1. 서론
2. ‘65년체제’의 역사 문제 구조
3. 전두환 정부의 등장과 과거사 문제
4. 결론
6. ‘위안부’ 문제에 관한 관방장관 담화의 책정 요인 외교적 요인과 정치외교이념을 중심으로 _ 도가시 아유미
1. 서론
2. 선행 연구
3. 담화 발표의 경위와 쟁점
4. 제1차·제2차 가토 담화와 고노 담화 및 한·일 관계
5. 결론
7.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간 담화, 한일도서협정을 중심으로 _ 엄태봉
1. 서론
2. 간 담화와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3. 한일도서협정과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4. 결론
8.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와 한국 배제 _ 윤석정
1. 서론 · 254
2. 무라야마 담화와 아베 신조
3. 전후 70년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의 키워드
4. 국제질서, 관용 그리고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
5.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6. 결론
9. 역사화해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한·일 공동선언과 북·일 평양선언 _ 마츠우라 마사노부
1. 서론
2. 김대중과 한·일 공동선언
3.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북·일 평양선언
4. 결론
찾아보기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5.전후한일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한일문제의 기원 : 한일회담과 '전후 한일관계' (0) | 2023.01.11 |
---|---|
근현대 지식인과 한일 역사화해 (0) | 2022.09.22 |
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022) : 식민지배 책임문제 (0) | 2022.08.07 |
일본, 한국을 상상하다 : 한국 인식의 역사와 현재 (0) | 2022.07.30 |
한일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