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논문 초록
면암 최익현은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그는 오늘날 대부분의 국민에게 존경받는다. 전국 각지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일제가 주는 음식은 먹지 않겠다!”던 외고집으로 단식 끝에 순절하신 면암 선생의 기개를 숭고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그를 역사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인물이라고 여긴다. 왜냐하면 그가 조선의 고위 관료로서 일본 제국주의의 폭압을 막지 못했고, 서구의 근대 사상과 기술을 배척하며 기존 고루한 유교적 질서를 고수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저자는 둘 다 일리가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살면서 단 한 번도 변하지 않은 그의 올곧은 신념은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는 한편,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뒤떨어졌던 한계를 지닌 건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인류가 밟아온 역사 속 모든 인물은, 정말 극히 일부 인물을 제외하곤 양면성이 있다. 심지어 이완용도 러일전쟁(1904)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독립협회 설립(1896) 등 애국적 활동을 했고, 나라를 팔아먹고 난 뒤인 일제강점기에도 고종의 신임을 받았던 게 사실이다.
이완용과는 결이 다르지만, 면암 최익현도 이처럼 양면성과 관련한 논란이 많기에, 이 논문에서는 최익현 선생 업적의 잘잘못을 따질 생각은 없다. 그리고 저자가 그럴 만한 위치에 있는 사람도 아니다.
다만 저자는 오늘날 역사의 뿌리가 되는 ‘근현대사’를 특히 좋아하기 때문에, 그 혼란의 역사 속에서 시대에 뒤처진 사상을 가진 인물 최익현을 왜 현대인들이 존경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었다. 그래서 다양한 근현대사 교양서를 읽던 중... 깜짝 놀랐다. 그가 고종황제와 주고받은 수 백통의 서신 안에 충격적인 내용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고루하고 옛것만 고집하는 노인네인 줄 알았던 면암 최익현이, 엄청난 현실 감각과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가졌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 제국주의의 본질, 강화도조약으로 일어날 연쇄적인 조약 등을 예측하고, 이를 경계해야 한다고 고종에게 수십 년간, 수백 통의 상소문을 올렸다.
저자는 이를 깨닫고 ‘시대에는 뒤처졌지만, 자신의 신념을 지킨 최익현’이란 뿌리박힌 프레임을 깨고 싶다는 ‘발칙한’ 생각을 했다. 그리고 아프리카TV 역사 토론 방송 진행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반응을 본 후, 기존 교육체계에 혁명적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큐니버시티’ 최성호 총장과의 논의 끝에 이를 논문으로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미리 말하지만, 저자는 ‘아마추어’ 역사 전문가이다. 고등학교 이과 출신에, 인문학과 관련 없는 ‘생명과학대학’을 졸업했고, 역사를 공부한 거라고는 ‘공무원 한국사’, ‘고등학교 세계사’와 다수의 교양서가 전부이다. 이 책도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썼다.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경로도 전공자보다는 한계가 있고, 그렇기에 논문에 쓴 역사적 사실 일부가 틀릴 수 있다. 저자는 혹시라도 존재하는 역사적 오류를 지적해 주는 것은 당연히 수용한다. 역사는 어디까지나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역사 왜곡’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역사에는 ‘자신만의 관점’이라는 다양성도 함께 존재한다는 관용 정신을 가지고 이 논문을 읽어주면 감사하겠다.
일부 사람들은 “면암 최익현은 고집만 셌지, 존경받을 만한 인물은 아니야.”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저자는 개인적으로 최익현 선생의 흔들리지 않는 철학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선견지명에 감명을 받았다. 그리고 현대를 사는 우리도 본받을 만한 점이 있다고 생각해서 이 논문을 발간하게 되었다.
역사를 한가지 관점만으로 바라보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란 걸 이제 온 국민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고, 이에 동의한다. 이를 아는 독자라면 이 논문이 기존의 학설과 조금 벗어나더라도, 흥미롭게 읽어 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거라 믿는다.
면암 최익현은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그는 오늘날 대부분의 국민에게 존경받는다. 전국 각지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일제가 주는 음식은 먹지 않겠다!”던 외고집으로 단식 끝에 순절하신 면암 선생의 기개를 숭고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그를 역사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인물이라고 여긴다. 왜냐하면 그가 조선의 고위 관료로서 일본 제국주의의 폭압을 막지 못했고, 서구의 근대 사상과 기술을 배척하며 기존 고루한 유교적 질서를 고수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저자는 둘 다 일리가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살면서 단 한 번도 변하지 않은 그의 올곧은 신념은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는 한편,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뒤떨어졌던 한계를 지닌 건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인류가 밟아온 역사 속 모든 인물은, 정말 극히 일부 인물을 제외하곤 양면성이 있다. 심지어 이완용도 러일전쟁(1904)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독립협회 설립(1896) 등 애국적 활동을 했고, 나라를 팔아먹고 난 뒤인 일제강점기에도 고종의 신임을 받았던 게 사실이다.
이완용과는 결이 다르지만, 면암 최익현도 이처럼 양면성과 관련한 논란이 많기에, 이 논문에서는 최익현 선생 업적의 잘잘못을 따질 생각은 없다. 그리고 저자가 그럴 만한 위치에 있는 사람도 아니다.
다만 저자는 오늘날 역사의 뿌리가 되는 ‘근현대사’를 특히 좋아하기 때문에, 그 혼란의 역사 속에서 시대에 뒤처진 사상을 가진 인물 최익현을 왜 현대인들이 존경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었다. 그래서 다양한 근현대사 교양서를 읽던 중... 깜짝 놀랐다. 그가 고종황제와 주고받은 수 백통의 서신 안에 충격적인 내용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고루하고 옛것만 고집하는 노인네인 줄 알았던 면암 최익현이, 엄청난 현실 감각과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가졌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 제국주의의 본질, 강화도조약으로 일어날 연쇄적인 조약 등을 예측하고, 이를 경계해야 한다고 고종에게 수십 년간, 수백 통의 상소문을 올렸다.
저자는 이를 깨닫고 ‘시대에는 뒤처졌지만, 자신의 신념을 지킨 최익현’이란 뿌리박힌 프레임을 깨고 싶다는 ‘발칙한’ 생각을 했다. 그리고 아프리카TV 역사 토론 방송 진행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반응을 본 후, 기존 교육체계에 혁명적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큐니버시티’ 최성호 총장과의 논의 끝에 이를 논문으로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미리 말하지만, 저자는 ‘아마추어’ 역사 전문가이다. 고등학교 이과 출신에, 인문학과 관련 없는 ‘생명과학대학’을 졸업했고, 역사를 공부한 거라고는 ‘공무원 한국사’, ‘고등학교 세계사’와 다수의 교양서가 전부이다. 이 책도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썼다.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경로도 전공자보다는 한계가 있고, 그렇기에 논문에 쓴 역사적 사실 일부가 틀릴 수 있다. 저자는 혹시라도 존재하는 역사적 오류를 지적해 주는 것은 당연히 수용한다. 역사는 어디까지나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역사 왜곡’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역사에는 ‘자신만의 관점’이라는 다양성도 함께 존재한다는 관용 정신을 가지고 이 논문을 읽어주면 감사하겠다.
일부 사람들은 “면암 최익현은 고집만 셌지, 존경받을 만한 인물은 아니야.”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저자는 개인적으로 최익현 선생의 흔들리지 않는 철학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선견지명에 감명을 받았다. 그리고 현대를 사는 우리도 본받을 만한 점이 있다고 생각해서 이 논문을 발간하게 되었다.
역사를 한가지 관점만으로 바라보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란 걸 이제 온 국민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고, 이에 동의한다. 이를 아는 독자라면 이 논문이 기존의 학설과 조금 벗어나더라도, 흥미롭게 읽어 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거라 믿는다.
목차
저자 소개
논문 초록
차례
I. 서론
(A) 현대인에게 ‘보수’란 무엇인가?
(B) 면암 최익현의 보수적 사상
(C) 최익현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
ⓐ 흥선대원군 섭정기
ⓑ 명성황후 집권기
ⓒ 고종 집권
II. 현실의 민심을 꿰뚫던 맹자의 후예
(A) 경복궁 중건이 백성에게 무슨 도움이 된단 말인가?
(B) 서원철폐 반대 상소로 흥선대원군을 탄핵하다
(C) 단발령은 ‘민심’을 거역한 행위
III. 최익현의 예지력
(A) 강화도조약(1876)은 한일병합조약(1910)의 서막
(B) 조선 유학자의 시장 자본주의 통찰
ⓐ 인플레이션
ⓑ 세계 자유 무역 질서
(C) 서양의 종교는 유교를 어지럽힐 것이다
(D) 을사조약 이후 상황, 최익현의 예측
ⓐ 모든 주권 강탈
ⓑ 민족 말살 통치
ⓒ 제1·2차 세계대전
IV. 면암이 현대인에게 건네주는 시대 화두
(A) 시세의 흐름을 ‘올바르게’ 파악하라
(B) 면암 선생에게서 배우는 ‘진짜 보수’란?
논문 초록
차례
I. 서론
(A) 현대인에게 ‘보수’란 무엇인가?
(B) 면암 최익현의 보수적 사상
(C) 최익현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
ⓐ 흥선대원군 섭정기
ⓑ 명성황후 집권기
ⓒ 고종 집권
II. 현실의 민심을 꿰뚫던 맹자의 후예
(A) 경복궁 중건이 백성에게 무슨 도움이 된단 말인가?
(B) 서원철폐 반대 상소로 흥선대원군을 탄핵하다
(C) 단발령은 ‘민심’을 거역한 행위
III. 최익현의 예지력
(A) 강화도조약(1876)은 한일병합조약(1910)의 서막
(B) 조선 유학자의 시장 자본주의 통찰
ⓐ 인플레이션
ⓑ 세계 자유 무역 질서
(C) 서양의 종교는 유교를 어지럽힐 것이다
(D) 을사조약 이후 상황, 최익현의 예측
ⓐ 모든 주권 강탈
ⓑ 민족 말살 통치
ⓒ 제1·2차 세계대전
IV. 면암이 현대인에게 건네주는 시대 화두
(A) 시세의 흐름을 ‘올바르게’ 파악하라
(B) 면암 선생에게서 배우는 ‘진짜 보수’란?
'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 > 2.개항기.구한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혁명 : 갑신정변 연구 (0) | 2022.08.19 |
---|---|
마지막 선비 최익현 (0) | 2022.08.19 |
19세기 인민의 탄생 (0) | 2022.08.18 |
말 위 에서 본 조선 (헐버트 조선시대 1890 평양 여행기) (0) | 2022.08.14 |
오백년 왕국의 종말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