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2.서울이야기

골목길 산책 (서울편)

동방박사님 2022. 8. 20. 08:12
728x90

책소개

조선 건국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
서울골목에 서린 우리 역사를 걷다!


우리는 미래를 계획하고 지향하며 현재를 살아간다. 그 미래가 현재를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아 결정되듯, 지금 발 딛고 선 현재도 과거로부터 축적된 모든 시간이 모여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생각, 행동, 외적인 환경 등 그 어느 것도 지난 역사에서 비롯되지 않은 것이 없다. 오늘은 어제의 산물이며 내일도 그렇게 오늘의 산물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그 사실을 잊은 채 현재의 뿌리를 찾아 나서는 일에 인색한 상태로 지금 이 순간만을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현재의 나를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처럼, 자랑스러운 조국이어야 할 대한민국을 알고자 하는 일에도 무심하다.

《골목길 역사산책_서울편》은 바로 이 부분에 주목한다. 바쁜 발걸음을 잠시 멈추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나의 뿌리를, 내가 속한 나라의 뿌리를 찾아보자고 말한다. 급변하는 현대에 점점 희박해지는 역사 인식을 일깨워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되찾아 진정한 ‘나’와 만나보자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걷는 것’이다. 저자 최석호 박사는 스스로 ‘역사산책자’라 지칭한다. 독자들이 골목골목 걸으며 그 역사현장에서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어떻게 ‘나’와 연결되는지 생각해볼 수 있게끔 친절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자청한다. 특히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격동의 시대를 보낸 서울의 골목길에서 대한민국 근대사의 핵심인 조선 건국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부암동, 정동, 북촌, 서촌, 동촌
서울 강북 곳곳에 남아 있는 파란만장했던 근대의 흔적을 찾아 나서다!


저자는 부암동, 정동, 북촌, 서촌, 동촌 다섯 지역을 이번 ‘역사산책’의 장소로 삼았다.

●부암동 무릉도원길 ― 남쪽 왜 오랑캐, 북쪽 청 오랑캐에게 네 번이나 짓밟혔다. 조선 선비들은 혼란을 겪으면서도 낙원을 꿈꾸었고, 부암동에서 바로 그 무릉도원을 발견했다. ‘그저 땀 흘린 만큼 거둘 수 있으면 낙원’이라는 생각이 IMF와 금융위기를 겪으며 지난하게 살아온 우리에게 간절함을 느끼게 한다.
●정동 역사길 ― 서울 한가운데에 자리한 정동은 조선 건국부터 개항, 임시정부 환국, 한국전쟁까지 대한민국 심장부의 아픔이 얼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사대문 안 정중앙에 세워진 서울주교좌성당에서 출발하여 그 역사길을 걸어본다.
●북촌 개화길 ― 조선을 세운 주인공들은 한양에 도읍을 정했다. 어느덧 200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중쇠기에 접어들자, 조선 선비들은 크게 깨우치고 조선을 다시 세우려 했다. 부강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개화에 대한 열망을 가진 사람들이 북촌으로 모여들었다. 그 열망이 한옥으로 조선의 모습을 간직한 골목길에 서려 있다.
●서촌 조선중화길 ― 나라의 위기에도 최고의 문화를 꽃피웠다. 조선중화에 바탕을 둔 진경시대가 펼쳐지며 삼천리 방방곡곡 두루 걸어서 우리 풍속을 시로 읊고, 금수강산을 그림으로 그렸다. 서촌에서 시를 읊고, 진경산수화를 그리던 당시의 선비와 화가를 보는 듯하다.
●동촌 문화보국길 ―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총칼을 앞세우고 한양으로 들어왔다. 선각자들은 빼앗긴 나라의 수도, 한양을 등지고 힘든 세월을 견뎌냈다. 우리 집을 짓고 우리 문화재를 보호하며 훗날을 기약했다. 그 자취가 남아 있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수연산방까지, 목숨 바쳐 되찾은 동촌을 걷는다.

이 다섯 곳의 역사현장을 저자는 세 방향으로 접근한다. 우선 각 지역이 갖는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이어서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핵심이 되는 골목길을 직접 걸으며 한 곳 한 곳, 그곳에 어린 숨결과 발자취를 좇는다. 자칫 무거운 역사지식 전달에 치우쳐 산책이 주는 재미를 놓치지 않도록, 저자는 수위 조절에 부단히 애를 썼다. 풍부한 사진과 직접 그린 자세한 지도를 곁들여 독자의 이해를 한층 더 돕는다. 우리는 순서에 구애됨이 없이 이 책에 소개된 어느 골목길을 가든 그곳에서 만나는 역사와 반갑게 조우할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던가? 이제 ‘걷는 만큼 보인다’. 새봄처럼 산책하기 좋을 때도 드물다. 이 책 손에 들고 ‘걸으면 역사가 되는 골목길’을 걸어보자.

“나를 찾아 역사를 걷는다. 한양도성 안팎을 걷는다. 조선을 걷는다.”

 

목차

서론: 골목길 역사산책
진경시대 | 신진경시대 | ‘역사산’책

1.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
부암동―세속을 잊은 산속 별천지


부암동 사람들―이상향을 꿈꾼 사람들
못다 이룬 꿈, 몽당붓에 실어 펼치다: 추사 김정희 | 나는 대한의 명필이로소이다: 소전 손재형

부암동 산책―무릉도원길
신선의 별장에 둥실 뜬 보름달: 석파랑 | 저문 강에 칼을 씻고: 세검정 | 북악산 기슭 신선이 노닐던 곳: 유당 김노경 별서 터 | 태양 아래 그들처럼: 라 카페 갤러리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환기미술관 | 신선이 노니는 별서: 삼계동산정 석파정 | 무릉도원 계곡: 무계정사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로

2. 정동 역사길 산책
정동―세우고 빼앗기고 되찾은 나라


정동 사람들―삶으로 역사를 쓴 사람들
임시정부 지킴이: 백범 김구

정동 산책―역사길
70년 대역사: 서울주교좌성당 | 비겁한 임금, 의로운 백성: 경운궁 | 인재를 기르는 집: 배재학당 | 배꽃 핀 언덕: 이화학당 |
언덕 밑 하얀 교회당: 정동제일교회 | 헤이그 밀사: 중명전 | 아관파천: 러시아공사관 | 국내 임시정부청사: 경교장

정동 역사길 산책로

3. 북촌 개화길 산책
북촌―고귀한 북리


북촌 사람들―부강한 나라를 만들자
양반자제 일어서다: 고균 김옥균 | 만민이 일어서다: 송재 서재필

북촌 산책―개화길
북학을 넘어 개화로: 재동 백송집 박규수 집터 | 왕립병원: 재동 제중원 홍영식 집터 | 친일매국을 넘어 자주독립으로: 백인제 가옥 | 3.1독립만세운동: 계동 중앙고등학교 | 건축왕 정세권: 가회동 북촌한옥마을 | 맹감사현: 북촌동양문화박물관 | 독립운동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안국동 윤보선 가옥 | 고요히 배우고 즐거이 놀게 하자: 세계 어린이운동 발상지 | 하늘과 한 자 다섯 치: 운현궁

북촌 개화길 산책로

4. 서촌 조선중화길 산책
서촌―군더더기 없이 담백한 마을


서촌 사람들―조선시대 한류 주도자
진경시대: 겸재와 사천 | 조선중화주의: 삼연 김창흡

서촌 산책―조선중화길
하얀 하늘, 파란 바람 그리고 미운 나: 윤동주문학관 | 물소리의 추억: 수성동계곡 | 봄바람 피우는 집: 갤러리 서촌재 | 다시 찾은 우리 얼: 박노수미술관 | 푸른 마음밭: 청전화옥 | 우리 집, 남 커피: 커피숍 서촌산책 | 세상의 중심에서 매국노의 아방궁으로: 송석원 터

서촌 조선중화길 산책로

5. 동촌 문화보국길 산책
동촌―힘든 시절 살아 견디어낸 곳


동촌 사람들―나라 잃은 개화파
물처럼 흘러서 맘껏 푸르다: 간송 전형필 | 절필 낙향하여 모진 세상 견디어내다: 상허 이태준

동촌 산책―문화보국길
포목시장을 열어 나라를 지키다: 흥인지문 | 내 이름은 명품: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문화보국 보화각: 간송미술관 | 동산에서 본 동서울: 창신동 | 정겨운 우리 동네: 이화 벽화마을 | 편안한 낙타 등허리: 낙산공원 | 다시 찾은 조선집: 수연산방

동촌 문화보국길 산책로

결론: 나는 역사를 걷는다
조선 사람, 청나라를 걷다 | 한국 사람, 역사를 걷다

미주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최석호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레저관광사회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에서 유산관광을 전공하고 문화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소장과 서울신학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관광세계화·문명화과정·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UN 여가 관련 자문을 맡고 있는 World Leisure Organization의 학술지『World Leisure Journal...
 

책 속으로

새봄처럼 산책하기 좋을 때도 드물다. 약간 서늘하지만 걸으면 몸에 열이 나서 금방 걷기에 적당해진다. 지루할 즈음 두루 핀 꽃으로 이야기꽃을 피운다. 성가신 벌레도 없다. 봄기운 듬뿍 받은 산책자들은 더없이 밝고 활달하다.
한양도성 안에 살았던 우리 조상들도 이맘때 순성(巡城)을 했다. 새봄이 오면 한양도성 성곽을 한 바퀴 걸었다. 특히 과거를 앞둔 거자(擧子)들은 순성 후에 흥인지문(동대문)에서 돈의문(서대문)까지 한양도성을 가로질러 걸었다. 성곽을 따라 걷고 난 뒤 동대문에서 서대문으로 가로질러 걸으면 순성길은 어느새 가운데 중(中) 자 모양이 된다. 가운데 중 자는 ‘급제하다, 합격하다’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시험을 앞둔 거자들은 도성을 한 바퀴 걸은 후에 동대문에서 서대문으로 가로질러 걸음으로써 가운데 중 자 모양으로 순성했다. 합격을 기원한 순성이다. 저마다 취향과 사정에 따라 순성한 것이다.
-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 중에서

서촌재를 지나니 박노수미술관이 나온다. 한국화가 남정(藍丁) 박노수 화백이 지난 1973년부터 2011년까지 살던 집이다. 2013년 타계한 박노수 화백이 모두 1천여 점에 달하는 그림, 소장품 등과 함께 사회에 환원하여 지금은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이 되었다. 건축가 박길룡이 한국식, 일본식, 서양식 등 건축기법을 절충하여 1939년에 설계한 집이라고 하는데, 그 멋스러움과 아늑함이 정말로 놀랍다. 박길룡은 조선인 최초의 건축사이자 일제강점기 최대의 건축물이었던 화신백화점, 민가다헌(閔家茶軒), 경성제국대학 본관, 평양대동공전 교사(현재 김일성대학교사), 보화각(현재 간송미술관) 등을 설계한 이로 잘 알려져 있다. 박길룡은 서양식과 일본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것을 비판하면서, 우리의 생활을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함으로써 주택과 온돌을 개량하여 민중의 주거생활을 개선하고자 했다. 그러나 박길룡이 설계한 이 집은 가슴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네거티브 헤리티지(negative heritage)다.
- ‘서촌 조선중화길 산책’ 중에서

2017년 겨우내 얼어붙은 밤을 밝힌 촛불은 헌법재판소와 청와대를 오갔다. 자랑스러운 촛불 역사의 현장으로 자리 잡은 헌법재판소는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빤히 보이는 대리석 건물이다. 헌법재판소는 조선시대로부터 구한말에 이르는 시기에도 역사의 현장이었다. 헌법재판소 오른쪽에 우리나라 첫 근대식 왕립병원 재동 제중원이 있었다. 그 뒤편 언덕 백송은 개화파를 길러낸 박규수의 집터다.
- ‘북촌 개화길 산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