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인문교양 (독서)/7.역사문화교양

역사교육의 이론 (2009)

동방박사님 2024. 3. 12. 08:39
728x90

책소개

역사교육의 현장에서 적용되는 이론적인 바탕을 주제로 구성한 역사교육 이론서이다. 역사 교사 양성을 위해 교육 현장에서 활동해온 양호환, 이영효, 김한종, 정선영, 송상헌 교수 등 다섯 명의 역사교육 전문가들이 ‘역사교육의 이론’에 대해 토론과 협의를 거쳐 구성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들, 역사교육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역사교육의 개념에서 역사학, 역사 이해, 역사적 설명, 역사적 사고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연구해온 결과물을 모았다.

저자들은 역사교육의 이론을 망라하는 원칙을 제시하기보다는 역사 수업의 이론적 근거 및 타당성을 뒷받침할 가설적인 이론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이론체계를 정리하였다. 역사교육에 관한 다양한 시각과 문제인식은 더욱 수준 높은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역사교육의 개념과 연구 영역
2장 역사학과 역사교육
3장 역사 이해와 역사교육
4장 역사적 설명과 역사교육
5장 역사적 사고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김한종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전반 격변의 시기에 대학을 다니고 사회에 본격적인 발걸음을 내디뎠지만, 그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일 없이 살아왔고 지금도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에 진학하면서 학교 교육에 대해 조금씩 생각하게 되었고, 당시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으레 그렇듯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대학 졸업 후 평생 직업이라는 생각으로 서울에서 고등학교...

저 : 이영효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역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1년 현재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미국학》(공저), 《서양문명과 인종주의》(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8세기말 대서양 흑인의 삶과 의식>, <미국 흑인건국세대의 이념과 활동>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새로 정리된 역사교육 이론서
역사 교사 양성을 위해 교육 현장에서 활동해온 양호환, 이영효, 김한종, 정선영, 송상헌 교수 등 다섯 명의 역사교육 전문가들이 ‘역사교육의 이론’에 대해 토론과 협의를 거쳐 구성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들, 역사교육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역사교육의 개념에서 역사학, 역사 이해, 역사적 설명, 역사적 사고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연구해온 결과물을 모았다.
기성의 다른 학문 분야와는 달리 역사교육의 분야는 연구의 대상과 영역, 방법을 새롭게 모색해야 하는 처지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구자들이 착안한 주제와 문제인식을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확연히 구분해서 범주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또 이론이라고 하는 것은 체제를 온전히 갖춘 원리를 뜻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하나의 가설 또는 지향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필자들은 역사교육의 이론을 망라하는 원칙을 제시하기보다는 역사 수업의 이론적 근거 및 타당성을 뒷받침할 가설적인 이론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책은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이론체계를 정리한 것이다.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이은 역사교육 필독서
지금까지 책과함께는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역사수업의 원리』 등 역사교육에 관한 다양한 시각과 문제인식을 반영한 수준 높은 연구 결과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해왔다.
이번에 출간하는『역사교육의 이론』은 이미 2년 전에 출간된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최상훈 외, 2007)과 함께 기획된 책이다.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역사 학습의 실제, 수업 지도의 현장적인 측면에 중심을 두었다면, 이 책은 그러한 현장에 적용되는 역사교육의 이론적인 바탕을 주제로 구성하였다. 이런 취지에서 책의 제목도 ‘역사교육의 이론’이라고 하였다. 『역사교육의 이론』의 완간으로 역사교육의 이론적인 면, 방법적인 면이 더욱 보완되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두 책 모두 역사 교사 양성 과정에서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수법, 교재 연구 등 역사교육 관련 강좌에 반드시 필요한 교재이다.

주요 내용

1장 역사교육의 개념과 연구 영역
역사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진단하여 목적론, 교수 학습론, 역사 서술과 역사 이해 등의 주제에 대한 쟁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진단하고 있다.

2장 역사학과 역사교육
역사학의 전반적인 추세 속에서 국내외 역사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거쳐왔는지를 소개하고 있다. 더불어 자주 등장하는 역사학의 이론적 쟁점이 역사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항목별로 제시하고 있다.

3장 역사 이해와 역사교육
역사 이해의 개념과 종류를 개괄하고 역사 이해를 함양하기 위한 역사 학습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이해라는 개념을 폭넓게 파악하여 상상, 해석, 판단 등 여러 가지 이해의 양상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4장 역사적 설명과 역사교육
역사적 설명의 의미와 성격을 규정하고 일반적인 역사 설명 외에 과학적 역사 설명, 인간 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범주를 분류하여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5장 역사적 사고
최근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역사적 사고에 관한 초기의 주요 이론과 최근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사고력의 구성 요소와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