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한국근대사 연구 (독서)/2.개항기조선

세계관 충돌과 한말 외교사 1866-1882 (2001)

동방박사님 2024. 3. 25. 17:18
728x90

책소개

 
서남동양학술총서 14번째 시리즈. 유럽 열강의 세력 확장으로 한반도가 이질적인 국제 사회 유형들과 처음 충돌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그런 현상들이 남긴 국제 정치의 영향을 심도 있게 탐구하여 우리나라 19세기 외교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목차

1. 세계 외교사와 한말 외교사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약탈 제국주의와 19세기 조선
1866년 프랑스 침략
미국 상선의 해적행위
1871년 미국의 침략

3. 교린 질서와 국제법 질서의 충돌(Ⅰ)-교린 질서의 해체
두 질서 충돌의 교섭
두 질서의 충돌과 조선의 새로운 인식
국제법 관계의 출발 - 조선. 중국. 그리고 일본
1876년 조선-일본 조약의 내용

4. 교린 질서와 국제법 질서의 충돌(Ⅱ)-조선의 대응과 열강
교린 질서 해체와 조선의 대응
두 질서 충돌과 열강의 태도

5. 사대질서와 국제법 질서의 충돌(Ⅰ)-조선의 대응
이동인과 서양 국제법
조선의 새로운 세계인식- 수신사 김홍집의 파견
조선책략
조선의 새로운 외교정책

6. 사대질서와 국제법 질서의 충돌(Ⅱ)-중국과 열강
사대 질서 변형의 배경
사대질서의 변형(1)- 리홍장과 슈펠트
사대질서의 변형(2)- 윌리스 조약과 브란트조약
사대질서의 변형(3)- 영국과 독일
사대질서의 변형(4)- 러시아와 프랑스
사대- 교린질서 파괴의 조약들

7. 결론에 대신하여

저자 소개

저 : 김용구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나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거쳐 같은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2년 정년퇴임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학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는 『소련국제법이론연구』(1979), 『세계관 충돌과 국제정치학』(1997), 『...

책 속으로

19세기 후반 조선이 서양 세력의 공권력과 처음 만나게 된 것은 신부,깡패, 그리고 해적들의 행위를 거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일은 19세기의 전세계적인 현상이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와 같은 현상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최후의 단계에서 이들 공권력의 대리자들과 만나게 된다. 서로'야만이'들이라고 간주하는 행위자들간의 만남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만남은 매우 극단적이고 과격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 불행한 시작이 한말 외교사의 방향을 이미 결정하여버렸다.
--- p.79

출판사 리뷰

'외교diplomacy'라는 낱말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즉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유럽 열강들의 대외적 교섭 과정과 제국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국제 사회 행위자들 사이의 교섭을 의미하는 뜻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의미를 내포하는 세계 '외교'사는 유럽 열강들이 유럽 밖의 지역으로 확장해나가는 과정을 서술하기 때문에 유럽 문명권과 그 밖의 문명권들간의 충돌에 관한 서술 체계이기도 하다. 그러한 기본 인식과 문제 의식을 갖고 있는 저자는 이 책에서 한반도에서 일어난 이런 충돌의 초기 현상을 분석하고 그런 현상들이 남긴 국제 정치의 영향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16개의 명제들을 전제로 각 문명권 안의 행위자들의 외교 관계와 외교 문서 속에 숨어 있는 그들 세계관의 특징과 본질을 탐구하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카톨릭교를 전파해야 한다는 명분 아래 행해진 1866년부터의 프랑스 한반도 침략과 해적 행위에서 시작한 미국의 한반도 침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조선-일본의 불행한 근대 역사의 시작과 그 외교의 진행 과정, 즉 교린과 국제법 질서에 입각한 두 나라 세계관의 뚜렷한 충돌의 한일 관계사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으며, 제5장에서는 승려 이동인을 비롯한 개혁파의 사적인 외교 형태와 수신사 김홍집을 통한 조선의 새로운 외교 정책 등에 대하여 살피고 있다. 제6장에서는 조선과 일본의 교린 질서가 파괴되면서 자기 모순에 빠지게 된 조선과 중국 등의 관계를 통해 변형된 사대 질서의 배경과 그 실례로서의 조약과 사례 등을 꼼꼼히 살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