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중국.동아시아 이해 (책소개)/1.중국역사문화

문화 대혁명 : 중국현대사의 트라우마

동방박사님 2021. 11. 18. 09:12
728x90

소개

중국의 문화대혁명은 한두 줄의 정부 공식 입장을 통해 정리될 수 없는 중대한 역사적 사건이다. 20세기 중국의 모든 모순은 사실 문화대혁명 시기에 집약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주의 시기의 국가 · 당 · 대중의 모순이라는 문제의 복판에서 문화대혁명을 다시 읽어낼 필요가 커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문화대혁명을 이해하는데 친절한 안내자가 될 것이다.

목차

오늘날의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에 이르는 길
당내 정풍에서 홍위병 운동까지
문화대혁명의 확대
문화대혁명의 봉합
문화대혁명이 남긴 것
부록: 문혁16조

 

저 : 백승욱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주립대학에 있는 페르낭 브로델 센터의 객원연구원과 한신대학교 중국지역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진보연대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정책 : '단위체제'의 해체』『문화대학명 : 중국 현대사의 트라우마』『중국 노동자의 기억의 정치』『자본주의 역사강의』『'미국의 세기'...
 
 

책 속으로

‘사회주의 30년, 개혁개방 30년’이라는 말이 보여주듯, 사회주의 이후 시기를 사회주의 시기만큼 지내 온 중국에서는 그 사회주의 시기와는 대비되는 새로운 문제들, 즉 사회양극화?실업문제?국유기업구조조정 등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사회적 갈등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당연히 이런 사회 문제에 대한 불만들이나 그로부터 촉발된 집단적 행동 또한 다양하게 분출되고 있는데, 특이한 점은 이런 사회적 불만의 표출 과정에서 과거 문화대혁명의 경험이 심심치 않게 새로운 형태로 해석되어 되살아난다는 것이다.
--- p. 4
이 <16조>는 대중적으로 공표된 문화대혁명에 대한 최초의 당의 공식 입장이었으며, 문화대혁명의 본 무대가 대중조직에게 넘어가고 있음을 알리고, 이 운동이 당에 대한 대중조직의 공격으로 전화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계기이기도 했다. 그러나 동시에 ?16조?는 여전히 당이 주도하는 운동이라는 범위에 문화대혁명을 한정하고 있었고, 다만 당의 정풍을 위해 대중의 참여를 확대한다는 범위 내에 머물러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운동이 상부구조에 대한 혁명이라는 틀을 넘어서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 p. 40~41
문화대혁명은 중국사회주의의 역사적 경험의 가장 정점에 있던 사건이었는데,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사회주의가 과연 무엇이었는지, 자본주의 세계체계 속에서 개별 사회주의 국가들을 건설한다는 것, 그럼으로써 민족적 공산주의라는 형태로 건립된 개별 사회주의 국가들이 어떤 구조적 제약 하에 놓였고, 그것이 어떤 이데올로기적 왜곡과 정치적 왜곡을 낳았는지를 질문하게 된다.
--- p.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