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웹북] <역사>/2.대한제국사 (1897~1910) 28

[웹북] 만민공동회 (1897~1899)

만인공동회 종로 집회 전경.만민공동회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했다. 1897년(광무 1년) 초 독립협회의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등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만민공동회는 독립협회 주최하에 민중대회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한성부의 시민, 소상인, 일부 지식인층이 참여했다. 이후 1897년 10월 박정양을 비롯한 정부의 개혁적 관료들과 독립협회가 함께 주관하면서 범국민적인 대회, 단체로 성장했다. 정부 측의 박정양, 이상재, 독립협회 측의 서재필, 윤치호 등이 이를 지도하였다. 만민공동회는 처음에는 사교 모임 형태였..

[웹북] 독립협회 (1896~1898)

독립협회의 모임 장소로 이용되던 독립관 (2020년, 서울연구원)독립협회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대한제국의 협회이다. 초기에는 사교 형식으로 출발하여 민중계몽단체, 근대적인 정치단체 및 근대적인 정당으로 발전하였다. 1897년에는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해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다. 1898년 12월 해산되었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은 그해 이어 7월 2일, 내부적으로는 민중 스스로 인권과 참정권을 주장하게 하고, 대외적으로는 자주국을 표방, 독립문 건립과 독립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독립협회를 창설하였다. 독립협회의 참여자 수가 늘면서 각지의 백성들이 참여하는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였고, 학생들에게 토론과 타협을 가르치는 협성회를 산하 기관으로 조직, ..

[웹북]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1872~1909)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裵說 Ernest Thomas Bethell 개인정보출생 1872년 11월 3일 / 잉글랜드의 기 잉글랜드 브리스틀사망 1909년 5월 1일(36세) /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한성부교파 개신교(잉글랜드 성공회)전직 대한제국 외무아문 자문관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영어: Ernest Thomas Bethell 어니스트 토머스 베설, 1872년 11월 3일 ~ 1909년 5월 1일)은 1904년에서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언론인, 신문기자이다. 한국명인 "배설(裵說)"이라는 이름 또한 사용하였다.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조선의 항일 운동 발생에도 꽤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생애영국의 브리스틀에서 출생한 베델은 16살에서 32살까지 16년..

[웹북] 대한매일신보 (1904~1910)

대한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특파원으로 머무르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이후 서울신문의 전신인 일제강점기시대에 매일신보로 바뀌었다. 대한매일신보는 사장이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었기에 통감부에게 검열받지 않고 항일 논설을 자유롭게 실을 수 있어 일반 민중의 지지도가 높았고 발행 부수도 가장 많았다.[출처 필요] 영문판의 제호는 《The Korea Daily News》였다. 주요 논설진으로는 양기탁 외에 신채호·박은식·장도빈 등이 있었다. 양기탁이 편집과 경영의 실질적 책임을 지고 있었으며 주요 논설의 대부분 역시 그에 의해..

[웹북] 한성부

한성부 / 漢城府조선의 부남산의 정상에서 바라본 한양의 풍경 한성부 행정국가 조선 조선 → 대한제국 대한제국행정 구역 한성부역사설립 1392년경복궁 앞 흥례문근정전 어좌의 모습한성(漢城) 또는 한양(漢陽)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수도였다. 1392년 조선이 개국하면서 조선 태조는 풍수 도참설에 따라 1394년 조선의 수도를 이곳으로 정하였다. 3년 후에 경복궁을 짓고 창덕궁을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었다. 이 당시 한성부의 영역은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동서남북 방향)과 성곽 외부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데, 즉 현재의 서울시의 강북지역 대부분이 포함된다. 성곽은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유교의 오상 인의예지신(五常 仁義禮智信) 이념을 구체화하여 성문을 건축하였다. 즉 중앙은 시간을 알려주기 위해 보신각을..

[웹북] 광무개혁 (1807~1904)

광무개혁광무개혁(光武改革)은 1897년부터 1904년까지 고종이 시행한 개혁을 말한다.개요1897년 대한제국에서 집권한 수구파 행정부는 구제도를 근본으로 하고 신제도를 참작한다는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시정 방향을 제시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급진성을 비판하면서 점진으로 하는 개혁을 추구하였다. 이어서 법률과 칙령 개정안을 마련하려는 황제 직속 특별입법기구인 교전소를 설치하였다. 1899년(광무 3년) 오늘날의 헌법과 같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를 반포하여 황권의 절대성을 명시하였다. 이어서 태황제는 국정의 주요 권한을 황제에게 집중시켜 전제군주제 강화를 추구하였고 갑오개혁 때 23부로 개편한 행정을 13도로 재개편하였다. 또한 군사 분야에서 황제가 군권을 장악하게끔 원수부를 설치하였고 서울의 중앙군..

[웹북] 대한제국 육군

맥심 기관총을 시연중인 외국 교관과 참관하는 대한제국 육군 병사대한제국 육군(大韓帝國陸軍, Korean Imperial Army)은 대한제국의 육군이었다. 편성1897년 10월 12일에 황제국이 되면서 기존에 조선군에서 대한제국군으로 바뀌었다. 1902년 10월에 최대 규모를 달성하였는데, 당시 주요 사령부와 부대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원수부 : 최고 사령부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 등의 부서로 구성호위대 : 대한제국 황실 경호 담당 (1개 대대 700명 규모)친위대 : 수도 한성부 방어 1차 편성 부대 (2개 연대, 4개 대대, 4,400명 규모)시위대 : 수도 한성부 방어 2차 편성 부대 (2개 연대, 7개 대대, 5,200명 규모)진위대 : 각 지역의 방어, 치안 담당 부대 (6개 연대, ..

[웹북] 대한제국 해군

초창기1892년에 조선 조정은 기존의 조선 수군을 대체할 새로운 근대식 해군의 양성을 위해 영국 총영사에게 교관 파견을 요청하였고, 1893년 3월에는 근대식 해군학교인 통제영학당을 설치하였다. 당시 처음으로 영국에서 파견된 군사 교관인 콜웰(W. H. Callwell) 예비역 해군대위와 조교로 온 커티스(J. W. Curtis) 하사가 교육을 맡게 되었으며, 1893년 9월에 사관생도 38명과 수병 3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일본을 비롯한 대외의 압박이 나타나면서 통제영학당은 오래 못가 1894년 11월에 폐교된다.대한제국의 군함 양무호대한제국이 성립된 이후에도 한동안 실질적으로 해군이 없다가 일본에서 1903년에 중고로 상선(석탄 운반선)을 한 척 구입하여 갑판에 대포를 얹어 군함..

[웹북] 광제호 (1904)

광제호대한제국의 군함 광제호광제호광제호(廣濟號)는 대한제국의 두 번째의 군함이다.배경이 군함이 건조된 것은 1904년(광무 8년) 11월이고, 무선전신시설이 장치된 것은 1910년 9월이다. 원래 근대식 군함 도입 추진은 1881년(고종 18)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공채를 모집하면서부터였다. 광제호는 새로운 군함 발주 계획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1904년에 건조되었다. 그러나 을사늑약 이후 군함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고 연안세관 감시선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미국공사 알렌이 정리한 외교사연표>(1904)에 "1902년 12월 - 한국정부가 등대감시 및 수송선 입출항시 세관순시 및 경비용으로 선박 1척을 일본으로부터 발주하였다"고 나와있다. 대금이 당시 돈으로 약 35만원이라고 기록해 놓은 구절이 있는데, 이는..

[웹북] 양무호 (1881: 1903~1907)

양무 揚武KIS Yangmu 함명 양무 揚武 KIS Yangmu함종 코르벳자매함 없음제작 레이튼 딕슨 앤 컴퍼니운용 대한제국 해군, 이후 일본제국 해군진수 1881년취역 1881년배치 1903년 4월 15일퇴역 1907년최후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러일 전쟁 기간 해군 신병의 연습함으로 사용가격 1,100,000원배수량 3,432 장톤 / (3,487t) (보통 적재)전장 105m선폭12.5m흘수 4.2m / 7.3 m (만재)설치동력 1,750 shp (1,300 kW)추진 증기 기관속력13.5 노트 (25 km/h; 15.5 mph)승조원 72명무장 4문 80mm 함포 / 2정 5mm 기관총양무호(揚武號)는 대한제국의 첫 번째 근대식 군함이었다. 배경1866년 병인양요를 시작으로 한반도를 공격해온 서..

[웹북] 대한 매일신문 (1904)

대한매일신보 창간호대한매일신보《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특파원으로 머무르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이후 서울신문의 전신인 일제강점기시대에 매일신보로 바뀌었다. 대한매일신보는 사장이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었기에 통감부에게 검열받지 않고 항일 논설을 자유롭게 실을 수 있어 일반 민중의 지지도가 높았고 발행 부수도 가장 많았다.[출처 필요] 영문판의 제호는 《The Korea Daily News》였다. 주요 논설진으로는 양기탁 외에 신채호·박은식·장도빈 등이 있었다. 양기탁이 편집과 경영의 실질적 책임을 지고 있었으며 주요 논설의 대부분 역시 그에 의해 집..

[웹북] 한일 신협약 (정미7늑약)

한일신협약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은 1907년 7월 24일 일본이 대한제국의 군대 해산 및 내정권 장악 등을 위하여 대한제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한 불평등 조약이다. 조약이 체결된 해가 정미년이었기 때문에 정미7늑약(丁未七勒約)이라고 부르며 제1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등과 구분하기 위해 제3차 한일 협약(第三次韓日協約, 일본어: 第三次日韓協約)이라고도 하며,정미협약(丁未協約), 정미7조약(丁未七條約), 제2차 을사 늑약(第二次乙巳條約) 등의 별칭이 있다. 헤이그 특사 사건이 을사보호조약 위반이라는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킨 후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시켰다. 이에 대한 반발로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났으나 일본에 의해 제압당하고 말았다. 배경1905년 7월에 일본은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

[웹북] 고종 양위사건 (1907)

대한제국 고종이 대한제국 순종에게 양위(讓位)함을 호외로 보도한 대한매일신보고종 양위 사건고종 양위 사건(高宗讓位事件)은 1907년 7월 19일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는 일본의 강압에 못이겨 제위를 순종에게 위임했다가 바로 양위한 사건이다. 고종이 헤이그 회의에 이상설과 이준 등을 보내 밀서를 전달하려 한 사실을 접한 일본이 이토 히로부미에게 책임을 추궁했고, 이토 히로부미는 고종에게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 당시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은 고종이 책임지고 퇴진하는 것으로 사태를 종결하려 했으나,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사건의 전말 원인을사조약 및 헤이그 밀사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고종은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에게 헤이그 밀사 편으로 밀서를 전달하였다. 190..

[웹북] 헤이그 특사사건 (1907)

헤이그 특사 사건헤이그 특사인 이준, 이상설, 이위종참가자 이상설, 이준, 이위종, 호머 헐버트장소 네덜란드 네덜란드 (헤이그)날짜 1907년사망자 이준원인 을사조약이 대한제국 황제의 뜻에 반하여 일본 제국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을사조약을 파기하기 위함.결과 일본의 고종 강제 퇴위 및 순종 즉위. 한일신협약 체결.헤이그 특사 사건(海牙特使事件, 문화어: 헤그 밀사 사건)은 1907년 고종이 당시 개신교와 감리교회의 지원을 받아 비밀리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참가하기 위한 특사로 정사 이상설, 부사 이준, 통역관 이위종과 이들을 도울 호머 헐버트를 파견하였던 사건이다. 배경1907년 고종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2세가 소집하는 제2회 만국 평화 ..

[웹북] 포츠머스 조약 (1905)

포츠머스 조약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대표들이 회담하는 장면 포츠머스 조약 유형 강화 조약서명일 1905년 9월 5일서명장소 미국의 기 미국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주요내용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포츠머스 조약(일본어: ポーツマス条約, 러시아어: Портсмутский мирный договор, 영어: Treaty of Portsmouth)은 1905년 9월 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의 대통령의 중재로 미국 뉴햄프셔주에 있는 군항 도시 포츠머스에서 일본 제국의 전권외상 고무라 주타로와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 세르게이 비테 간에 맺은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이다. 러일 강화 조약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동부 뉴햄프셔주의 항구 도시 포츠머스 시에서 회담이 이뤄졌으며, 조약 내용을 협상한 회의(8월 10일부터)를 포..

[웹북] 러일전쟁 (1904~1905)

러일 전쟁러일전쟁날짜 1904년 2월 8일 - 1905년 9월 5일장소 만주와 한반도, 주변 해역결과 일본 제국의 승리 / 포츠머스 조약 체결교전국러시아 제국 / 일본 제국지휘관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세 / 러시아 제국 알렉세이 쿠로팟킨 / 러시아 제국 아나톨리 스테셀 / 러시아 제국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 러시아 제국 스테판 마카로프 † / 러시아 제국 빌헬름 비트게프트 † / 러시아 제국 로버트 비렌 / 러시아 제국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일본 제국 메이지 천황 / 일본 제국 가쓰라 다로 / 일본 제국 오야마 이와오 / 일본 제국 고다마 겐타로 / 일본 제국 노기 마레스케 / 일본 제국 구로키 다메모토 / 일본 제국 오쿠 야스카타 / 일본 제국 이토 스케유키 /일본 제국 도고 헤이하치로병력50만-100..

[웹북] 독립협회

독립협회독립협회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대한제국의 협회이다. 초기에는 사교 형식으로 출발하여 민중계몽단체, 근대적인 정치단체 및 근대적인 정당으로 발전하였다. 1897년에는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해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다. 1898년 12월 해산되었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은 그해 이어 7월 2일, 내부적으로는 민중 스스로 인권과 참정권을 주장하게 하고, 대외적으로는 자주국을 표방, 독립문 건립과 독립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독립협회를 창설하였다. 독립협회의 참여자 수가 늘면서 각지의 백성들이 참여하는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였고, 학생들에게 토론과 타협을 가르치는 협성회를 산하 기관으로 조직, 후원하였다.고종의 환궁을 성사시켰고, 1896년 11월 지..

[웹북] 순헌 황귀비 (의민태자 영친왕 생모)

순헌황귀비순헌황귀비대한제국 고종의 후궁신상정보출생1854년 1월 21일 조선 한성부 서소문방사망1911년 7월 20일(57세) 경성부 덕수궁 함녕전부 엄진삼 / 모 밀양 박씨 / 배우자 고종 / 자녀 영친왕 이은 (의민황태자)능묘 영휘원(永徽園)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홍릉로90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1월 21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고종의 후궁이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의민태자(영친왕)의 어머니이다. 양정고등학교, 진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전신이 되는 양정의숙, 명신여학교, 진명학원 등을 설립하였다.생애 / 출생1854년 음력 1월 5일 / 양력 2월 2일 한성부 서소문방 서소문에서 평민인 엄진삼(嚴鎭三)의 장녀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

[웹북] 덕혜옹주

덕혜옹주옹주(翁主) 이름휘 이덕혜(李德惠) / 별호 복녕당 아기씨신상정보출생일 1912년 5월 25일출생지 일본 제국령 조선 경성부 중구 정동 덕수궁 / (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사망일 1989년 4월 21일(76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창덕궁 수강재왕조 조선 왕조  / 가문 대한제국 황실부친 고종  /  모친 복녕당 귀인 양씨 / 배우자 소 다케유키(이혼) / 자녀 소 마사에(딸)기타 친인척 순종 (이복 오빠)의친왕 (이복 오빠) / 영친왕 (이복 오빠) / 이준 (장손자) 묘소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 / 능묘 부속림 덕혜옹주묘덕혜옹주(德惠翁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던 고종과 귀인 양씨 사..

[웹북] 의친왕 이강

의친왕대한제국 의친왕 이강조선국 내의원 제조 겸 사옹원 제조임기 1894년 7월 1일 ~ 1895년 4월 30일군주 고종황제 이형섭정 김홍집(1894.06.25.~1894.07.19.) / 영선군 이준(1894.07.19.~1894.07.27.) / 왕세자 이척(1894.08.28.~1894.09.08.)신상정보출생일 1877년 3월 30일 / 출생지 조선 한성부 범숙의궁 /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 성동구 화양동 별궁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동궁 안동별궁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성북동 성락원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관훈동 사동궁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사망일 1955년 8월 16일(78세) /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사동궁 안동별궁학력  일본 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