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일본학 연구 (학부전공>책소개)/1.일본역사(고대.중세)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일본 통일을 이루다

동방박사님 2021. 12. 7. 08:35
728x90

책소개

영욕의 세월을 살아간 도요토미 히데요시
전국을 통일한 영웅이자 조선을 침략한 원흉
지금도 살아 있는 그의 생애와
영향력을 집중 조명한다

‘전국 3영걸’ 중 한 사람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사를 정확히 알기 위한 어려운 첫걸음

이 책은 난세를 극복하고 일본천하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생애를 가감 없이 묘사한다. 바늘 장사를 하다 마침내 도요토미 정권을 수립하게 되는 그 파란만장한 일생을 차근차근 짚어가며, 우리에게 ‘임진왜란’으로만 유명하던 일본역사 속 인물을 균형 있게 알아간다. 역사를 공부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역사관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자의 목표이자 당부다.

목차

머리말·‘타자(他者)’로서의 일본역사 이해를 기대하며…

제1장 신분의 벽을 넘어서

제2장 유력 다이묘 하시바 히데요시

제3장 ‘혼노지의 변’과 히데요시 정권의 성립

제4장 도요토미 히데요시 권력의 탄생

제5장 천하통일의 도정

제6장 조선 침략과 히데요시 정권

맺음말·독자 스스로의 역사관을 세워야
 

저자 소개 (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교토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책 속으로

강화 교섭과정은 3국의 이해가 충돌하는 사안이었다. 명·일 사이의 교섭에서 조선이 배제되는, 이른바 ‘조선패싱’ 현상도 보인다. 또한 조선·명의 일본에 대한 전략과 이해의 차이로 말미암은 명의 전투에 대한 소극성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냉혹하고 엄중한 국제사회 속에서 근자에 회자되는 ‘코리아패싱’을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 p.6

히데요시는 바늘을 사서, 바늘장사를 하면서 세상을 떠돌았다. 히데요시가 왜 바늘장사를 택했는지는 알 수 없다. 히데요시가 집을 나선 것은 그의 나이 15세로 당시에는 독립할 나이였고 가난한 가정을 돕기 위해서는 장사라도 해야겠다는 절박한 마음이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바늘장사는 여의치 않았으나 히데요시는 세상을 떠돌면서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인간관계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당시의 정치·경제 정세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리고 세상살이가 얼마나 어려운지 등을 경험하였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더욱이 좁아터진 고향의 시골 마을만이 세상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도 실감했을 것이다. --- p.9

고향으로 돌아온 히데요시는 1554년경 오와리의 맹주인 오다 노부나가의 고모노(小者)가 되었다. --- p.10

그러던 중 히데요시는 1564년 미노(美濃)의 사이토 다쓰오키(?藤龍興)와 싸움에서, 마쓰쿠라성(松倉城) 성주 쓰보우치 도시사다(坪?利定)와 우누마성(?沼城) 성주 오사와 지로자에몬(大?次?左衛門) 회유공작에 성공하여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기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의 유력 부장으로 인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 p.12

또한 히데요시가 나가하마 성주가 된 것은 그에게도 대단히 중요한 사건이었다. 그가 요코야마 성주로 활동한 시기가 있었으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군사작전 수행을 위한 임시적인 것으로 영지가 제공된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히데요시가 여러 싸움에서 전공을 인정받았으나 영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 p.27

오사카성의 수축과 히데요시의 관위 취임은 천하에 히데요시의 지배를 알리는 상징이었다. 이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우에스기 가게카쓰·모리 데루모토·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 등등 각지의 유력 다이묘들은 히데요시에게 사자를 보내 승리를 축하하면서 화해를 표했다. 이렇게 오다가의 실력자들을 차례로 제거한 히데요시는 오다가의 가신 중 제일의 지위를 확립하였으며 표면상으로는 산보시를 받들면서 오다가를 좌우했다. --- pp.72~73

이렇게 호쿠리쿠 지역의 안정을 확보한 후 1586년 9월 9일 히데요시는 오기마치 천황(正親町天皇)에게서 도요토미(豊臣)라는 성을 하사받고 12월 25일 율령이 규정한 최고지위 다조다이진(太政大臣)에 취임했다. 이로써 히데요시는 오다 정권의 그늘에서 완전히 벋어나 명실상부한 도요토미 정권을 수립하였다. --- pp.98~99

히데요시는 우지마사와 일가 필두인 우지테루(氏照)와 호조가 가중(家中)의 대표인 마쓰다 노리히데(松田憲秀)와 다이도지 마사시게에게 개전의 책임을 물어 할복을 명했다. 7월 7~9일에 걸쳐 검사(?使)들로 하여금 오다와라성을 접수하게 했다. 오다와라성이 접수된 후 오시성은 7월 13일(16일이라고도 함) 굴복하였다. 이로써 센고쿠 다이묘 호조씨는 멸망하였다. 이것은 센고쿠 시대가 끝난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히데요시의 일본 통일을 의미한다 하겠다. --- pp.125~126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의 원인에 대해서는 일본이 조선을 중개로 명과의 무역을 부활시키고자 하였다는 일명감합무역(日明勘合貿易)설, 무사 불만 해소설, 히데요시의 공명심에 의한 해외 정복설, 영토 확장설, 동아시아 질서에의 반역설, 국제정세 무지설 등등 구구하다. 그러나 이러한 학설들은 조선 침략이 근세 형성기에 발생하였다는 엄연한 사실을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히데요시 정권의 모순을 눈여겨보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즉 팽창주의 성격이 근세 권력 형성기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pp.135~136

정응태 일파의 강화 구상은 조선의 외교·군사권을 명이 장악하여 조·일 사이에 생기는 문제를 차단하고 일·명이 강화를 맺는 것으로 전쟁을 끝내고자 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선조는 양위와 정사 중단, 진주사 파견 등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 이러한 대응을 통하여 선조는 조선의 외교·군사권의 독립을 지키고 일·명의 강화교섭을 차단하려 했던 것이다. 이것이 임진왜란 후 조선이 일본과의 강화교섭에 적극성을 보인 이유 중 하나다.
--- p.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