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전쟁연구 (책소개)/1.세계전쟁사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동방박사님 2022. 1. 21. 09:47
728x90

책소개

전쟁은 왜,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죽은 이들의 흔적으로 살펴보는 전쟁의 민낯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개인적인 공격과 집단 간의 전투를 연결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책은 물음에 교과서와 같은 시대별로 정리한 전쟁사가 아닌 고고학을 통한 근본적인 답을 하고 있다. 특히 일본열도의 고고학적 상황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책을 읽다 보면, 일본열도의 무기 도입과 기술 혁신이 끊임없는 한반도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더 나아가 전쟁이 과거 사회에 미친 영향을 크게 평가해서, 현대의 전쟁이 오늘날의 사회와 사람들에게 또는 다음 세대에게 미치는 수많은 영향을 바로 알리고 있다.

목차

1장 전쟁의 근원을 좇아서

1 투쟁 본능과 전쟁에 대해 / 8
2 전쟁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 14
3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 24

2장 전사의 탄생― 야요이시대의 전투

1 전투가 시작되는 일본열도 / 32
2 격화되는 전투 / 45
3 야요이시대의 전투를 복원하다 / 65
4 ‘사상思想’화하는 전투 / 72

3장 영웅들의 시대― 야요이시대에서 고분시대로

1 고대 국가 이전의 ‘영웅시대’ / 82
2 단검·대도·동촉으로 무장을 혁신하다 / 93
3 한반도의 철을 찾아 바다를 건넌 왜인들 / 105
4 영웅의 등장 / 116
5 영웅숭배 사상 / 127

4장 왜군의 탄생― ‘경제 전쟁’으로서의 대외 전쟁

1 도시 국가적인 고대사회, ‘왜倭’ / 134
2 히미코卑?呼의 등장 / 141
3 거대 고분의 시대 / 154
4 바다를 건너는 영웅들 / 165
5 왜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173
6 왜군, 패하다 / 183
7 왜왕과 장군들의 연합왕권 ‘왜’ / 191

5장 영웅에서 귀족으로― 고대 국가의 형성

1 다양한 무력의 형태 / 206
2 이제는 ‘원시’가 아니다 / 210
3 변질되어가는 영웅 / 215
4 이와이磐井의 전쟁 / 222
5 정치적 전쟁으로의 전환 / 237
6 내란과 국제전쟁 / 247
7 율령적 군대의 완성 / 258

6장 국가의 형태, 무력의 형태― 고대에서 중세로

1 고대 일본의 군사적 특질 / 266
2 무사의 등장 / 270
3 일본열도의 군사 혁명과 사회 변화 / 279
4 일본의 군사적 특질 / 284
5 정복 전쟁 결여와 외적 부재가 만든 통일 / 293

7장 전쟁을 없앨 수 있는가?

1 전쟁 억제의 두 열쇠 / 310
2 전쟁 억제로 가는 멀지만 착실한 발걸음 / 314

후기 / 327
역자 후기 / 329
부록 / 335
 

저자 소개

저 : 마쓰기 타케히코 (松木武彦)
 
1961년 에히메(愛媛)현에서 태어났다. 오사카(大阪)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오카야마(岡山)대학 문학부 교수로 부임했다. 현재는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고고연구계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고고학으로 문학박사(오사카대학)를 취득했다. 2008년 ‘전집 일본의 역사1(全集日本の?史1)’ 중에서 『열도창세기?구석기·조몬·야요이·고분시대(列島創世記??石器·?文·?生·古墳時代)』로 ‘산토리(サント...
 
역 : 천선행
 
부산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리츠메이칸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했고, 현재 전라문화유산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는 『거대한 고분에 새겨진 고대인들의 죽음에 관한 관념』(2019),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2015)가 있다.
 
책 속으로
벼농사와 함께 무기를 지니고 쓰시마 해협을 건너 규슈 북쪽 해안에 상륙한 사람들은 이처럼 이미 무기와 전쟁에 대해 잘 알고 있던 격동의 한반도에서 태어나고 자란 이들이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그들은 격동 속에서 쫓겨나 새로운 땅을 찾아 건너왔을지도 모른다.

어떻든 그들은 도구로서의 무기만이 아니라, 집단을 아우르는 조직적인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전란사회의 사고를 가지고 있었고, 이것을 하나의 사회적인 행동원리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항상 무기를 주위에 준비해두고 취락 주위에 도랑을 둘러 적을 경계하는 습성은 바로 그 행동원리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 p.36

벼농사 초기에 규슈로부터 동쪽으로 확산된 전투는 벼농사를 위해 조금이라도 유리한 영역을 확보하려는 농경민 집단 사이에서 비롯되었다.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의 하루나리 히데지春成秀爾는 이 전투가 처음에는 벼농사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 집단과 나중에 그 위치를 노리는 집단이 경작지를 두고 벌인 전투였다고 생각한다.
--- p.43

게다가 왜인이 한반도로 건너간 또 하나의 큰 목적이 있다. 바로 철이다. 1세기부터 3세기라고 하면 가장 먼저 철기가 확산되기 시작한 규슈 북부를 포함해 그 이외의 일본열도 각지에도 철기가 전해져 석기와 거의 교체되던 시기에 해당한다. 그 사이에 일본열도에서는 철의 수요가 착실하게 증가하고 있었는데, 그 수요를 충족시킬 정도로 일본열도 안에서 철이 생산된 흔적은 아직 확실히 발견되지 않았다.

통설대로 이 단계에 철기 소재의 대부분은 일본열도 외부에서 유입되었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입수처를 몇몇 추정할 수 있는데, 주된 것은 가장 왜와 가까운 곳에 있고 오래전부터 철 자원을 개발하고 있던 한반도 남부였다고 생각된다.
--- p.110

다만 일본열도의 고대 국가가 진정으로 아시아형 전제 국가로 성장했는지, 아니면 그리스에 가까운 방향성을 내포하며 성장했는지를 밝히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써 그 과정에서 일어났던 전쟁과 군사 조직의 성격을 바로 꿰뚫어보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 p.139

이와이의 전쟁을 통해 왜왕의 군사력이 인정받게 되면서 비로소 왜왕 정권은 일본열도 안에서 군사적 실력자로 인정받게 되었을 것이다. 이것이 왜왕의 세속적 권위를 높이고, 그때까지 대등한 지위를 주장할 기회를 엿보고 있던 지방의 대귀족이 종교적 의미뿐 아니라 세속적으로도 왜왕 정권을 우러러보는 큰 계기가 되었음은 틀림없다.
--- p.233
 

출판사 리뷰

고고학으로 읽는 전쟁의 탄생

선사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벌어지고 있는 전쟁의 근원을 파헤치기 위해서는 집단 간의 전투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인류 역사에서 전쟁은 문자보다 앞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쟁이 발생한 정확한 시기와 내용을 고고학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이 책은 무기로 훼손된 인골, 거대한 무덤, 그리고 그곳에 부장된 방대한 무기 등 고고학의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일본열도에서 벌어진 전쟁의 양상을 밝히고 있다. 더불어 전쟁이 어떻게 의식적?사상적으로 포장되어 왔는지를 설명한다.

야요이시대에 한반도로부터 벼농사와 전쟁 사고가 들어와 일본열도에 뿌리내리는 과정과 원인, 무기와 전투 기술의 혁신이 이루어지는 고고학적 배경 속에서 사람들의 추대로 세워지는 영웅의 모습, 고분시대에 백제와의 교섭관계를 바탕으로 철과 선진 문물 입수를 위해 바다를 건너는 왜인이 고구려와의 전쟁을 겪으면서 완성시킨 왜군의 모습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일본열도의 당시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전쟁에 대한 관념과 사상적 배경이 무엇이었는지,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무엇이고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해왔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한 선사시대 이래 한반도와 끊임없이 다양한 관계를 지속해왔던 일본열도의 상황이 한반도의 양상을 이해하고 두 지역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19.전쟁연구 (책소개) > 1.세계전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이 만든 신세계  (0) 2022.01.21
총의 과학  (0) 2022.01.21
도감 무기 갑옷 투구  (0) 2022.01.21
십자가 초승달 동맹  (0) 2022.01.21
제국을 설계한 사람들  (0) 2022.01.21